호수 | 2706호 2022. 5. 22 |
---|---|
발췌 | 115항~121항 |
117. 인간이 자연에 끼친 해악과 인간의 결정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에 태만한 것은 자연의 구조 안에 새겨진 메시지에 대한 무관심을 뚜렷하게 보여 줄 뿐입니다. 예를 들어, 현실에서 가난한 이, 인간 배아, 장애인이 지닌 가치를 인식하지 못할 때 자연의 울부짖음 자체에도 귀를 기울이기가 어려워집니다. 모든 것은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119. 피조물과 올바른 관계를 맺기 위해서 인간이 다른 사람들에게 마음을 여는 사회적 측면은 물론, 하느님이신 '당신'께 마음을 여는 초월적 측면을 약화시켜서는 안 됩니다. 사실 인간과 환경의 관계는 인간들 사이의 관계와 하느님과 인간의 관계와 결코 분리될 수 없습니다.
『찬미받으소서』 115항~121항 발췌
교회 문헌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외식할 경우에, 못먹을 반찬은 미리 돌려주고 음식은 남기지 않아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1 |
Ⅱ. 문화 생태론
![]() | 가톨릭부산 | 2022.06.29 | 18 |
30 |
I. 환경, 경제, 사회 생태론
![]() | 가톨릭부산 | 2022.06.22 | 22 |
29 |
제4장 통합 생태론
![]() | 가톨릭부산 | 2022.06.15 | 42 |
28 |
연구에서 비롯한 생물학적 혁신
![]() | 가톨릭부산 | 2022.06.08 | 22 |
27 |
고용 보호의 필요성
![]() | 가톨릭부산 | 2022.06.02 | 19 |
26 |
실천적 상대주의
![]() | 가톨릭부산 | 2022.05.25 | 23 |
» |
Ⅲ. 현대 인간 중심주의의 위기와 영향
![]() | 가톨릭부산 | 2022.05.18 | 32 |
24 |
Ⅱ. 기술 지배 패러다임의 세계화
![]() | 가톨릭부산 | 2022.05.11 | 23 |
23 |
I. 기술 : 창의력과 힘
![]() | 가톨릭부산 | 2022.05.04 | 21 |
22 |
제3장 인간이 초래한 생태 위기의 근원들
![]() | 가톨릭부산 | 2022.04.27 | 25 |
21 |
Ⅶ. 예수님의 눈길
![]() | 가톨릭부산 | 2022.04.20 | 25 |
20 |
Ⅵ. 재화의 공통적 목적
![]() | 가톨릭부산 | 2022.04.13 | 43 |
19 |
V. 보편적 친교
![]() | 가톨릭부산 | 2022.04.06 | 29 |
18 |
Ⅳ. 창조의 조화 안에서 모든 피조물이 전하는 메시지
![]() | 가톨릭부산 | 2022.03.30 | 26 |
17 |
Ⅲ. 세상의 신비
![]() | 가톨릭부산 | 2022.03.23 | 25 |
16 |
Ⅱ. 성경 이야기의 지혜
![]() | 가톨릭부산 | 2022.03.16 | 21 |
15 |
제2장 창조의 복음 - I. 신앙이 주는 빛
![]() | 가톨릭부산 | 2022.03.10 | 31 |
14 |
Ⅶ. 다양한 의견
![]() | 가톨릭부산 | 2022.03.03 | 25 |
13 |
Ⅵ. 미약한 반응
![]() | 가톨릭부산 | 2022.02.23 | 35 |
12 |
Ⅴ. 세계적 불평등
![]() | 가톨릭부산 | 2022.02.16 | 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