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비의 하느님

가톨릭부산 2022.03.30 10:10 조회 수 : 23

호수 2699호 2022. 4. 3 
글쓴이 김대하 신부 

자비의 하느님

 

 
김대하 신부 / 두왕성베드로성당 주임


 
   오늘 복음에서 우리는 간음한 여인을 용서하시는 예수님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자비의 하느님을 묵상해 볼 수 있습니다. 오늘 복음을 묵상하면서 문득 이런 노래가 떠올랐습니다. “누구야 누가 또 생각 없이 돌을 던지느냐 무심코 당신은 던졌다지만 내 가슴은 멍이 들었네.” 오은주의 ‘돌팔매’라는 노래 가사입니다. 하느님은 자비를 베풀어 주시는데, 여전히 돌을 던지는 사람이 많은가 봅니다.
 
   사실 당시 모세법에 의하면 간음한 여인은 돌로 죽일 수 있었습니다.(레위 20,10; 신명 22,22-24 참조) 예수님은 죄가 없었기에 충분히 그럴 자격이 있었지만 그렇게 하지 않으셨습니다. 그저 땅에 무엇인가 쓰시다가 “너희 가운데 죄 없는 자가 먼저 저 여자에게 돌을 던져라.”(요한 8,7ㄴ)라고 말씀하시고 여인에게는 “나도 너를 단죄하지 않는다. 가거라. 그리고 이제부터 다시는 죄짓지 마라.”(요한 8,11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로 인해 예수님은 돌을 던지려는 사람들이나 돌을 맞을 사람 모두를 다 안아주신 것입니다. 자비로우신 하느님 아버지의 마음을 보여주신 것입니다.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떤 사람이 큰 잘못을 저질렀습니다. 그러자 그 사람의 잘못을 심판하기 위한 징계위원회가 열렸습니다. 그들은 스승에게 사람을 보내어 꼭 참석하셔서 그의 잘못을 따져 달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스승은 자신을 데리러 온 한 제자에게 금이 간 항아리를 준비시키고 그 항아리에 물을 가득 채운 뒤 머리에 직접 이고서 길을 떠났습니다. 그가 제자들이 있는 곳에 도착했을 때 그의 모습은 항아리에서 줄줄 새어 나온 물 때문에 몸이 흠뻑 젖어 그 행색이 몹시 초라했습니다. 그런 스승의 모습을 본 제자들이 깜짝 놀라며 물었습니다. “스승님, 어떻게 된 일입니까?” 그러자 스승은 항아리를 내려놓지도 않고 말했습니다. “내가 저지른 잘못들이 내 뒤에서 떨어지고 있는데 나는 그것들을 보지 못한 채, 오늘은 다른 사람의 실수를 심판하러 온 것이네.”
 
   사랑하는 여러분! 은총의 사순 시기입니다. “너희 가운데 죄 없는 자가 먼저 저 여자에게 돌을 던져라.”하신 예수님 말씀을 기억하면서 먼저 자신을 돌이켜보고, 자비로우신 하느님께 의탁하는 복된 사순 시기 보냈으면 참 좋겠습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710호 2022. 6. 19  아비의 살을 먹어야 하는 운명 file 김지황 신부 
2709호 2022. 6. 12  삼위일체 하느님을 믿고, 그 사랑을 찾고 닮아가는 우리가 됩시다. file 이상율 신부 
2708호 2022. 6. 5  “오소서 성령님” file 염철호 신부 
2707호 2022. 5. 29  겸손과 자기비움 file 김종남 신부 
2706호 2022. 5. 22  “저희를 버려두지 마소서.” file 한종민 신부 
2705호 2022. 5. 15  “서로 사랑하여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여라.” file 김기영 신부 
2704호 2022. 5. 8  예수님의 부활을 믿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어디에 투자하시겠습니까? file 임성환 신부 
2703호 2022. 5. 1  부활 증인의 미사 file 정창식 신부 
2702호 2022. 4. 24  “저의 주님, 저의 하느님!”(Dominus meus et Deus meus!) file 정성철 신부 
2701호 2022. 4. 17  “너희에게 무엇이라고 말씀하셨는지 기억해 보아라.” file 신호철 주교 
2700호 2022. 4. 10  예루살렘을 넘어 file 박재범 신부 
2699호 2022. 4. 3  자비의 하느님 file 김대하 신부 
2698호 2022. 3. 27  우리는 파견된 사람입니다. file 박호준 신부 
2697호 2022. 3. 20  자비로운 기다림 file 이영훈 신부 
2696호 2022. 3. 13  부활의 십자가 file 이영창 신부 
2695호 2022. 3. 6  유혹의 기술과 하느님의 뜻 file 김대성 신부 
2694호 2022. 2. 27  “편하고 따뜻한 마음” file 이재혁 신부 
2693호 2022. 2. 20  “너희는 사랑하여라.” file 정호 신부 
2692호 2022. 2. 13  행복합니다, 하느님과 함께(syn) 길(hodos)을 가는 사람들! file 이균태 신부 
2691호 2022. 2. 6  주님, 저에게서 떠나 주십시오. file 계만수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