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 2697호 2022. 3. 20 |
---|---|
발췌 | 65항~75항 |
66. 창조주와 인류와 모든 피조물의 조화는 우리가 하느님의 자리를 차지한다고 여기고 피조물로서 우리의 한계를 인정하지 않아서 깨어졌습니다. 결국 이는 이 땅을 “지배”(창세 1,28)하는 우리의 임무, 곧 “그곳을 일구고 돌보는”(창세 2,15) 임무를 왜곡하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인간과 자연이 맺은 본디의 조화로운 관계가 충돌하게 되었습니다(창세 3.17-19 참조).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성인이 모든 피조물과 체험한 그 조화가 이러한 불화의 치유로 여겨진 것은 의미가 있습니다. 보나벤투라 성인은 프란치스코 성인이 모든 피조물과 맺은 보편적 화해를 통하여 어느 모로 본디의 순수 상태로 돌아가려 하였다고 주장하였습니다.
75. 이 땅의 절대적 지배에 대한 인간의 주장을 멈추고 인간이 제자리를 찾는 가장 좋은 방법은, 창조주이시며 이 세상의 유일한 주인이신 하느님 아버지의 모습을 다시 알려 주는 것입니다.
『찬미받으소서』 65항~75항 발췌
교회 문헌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휴지보다는 손수건으로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1 |
Ⅱ. 문화 생태론
![]() | 가톨릭부산 | 2022.06.29 | 18 |
30 |
I. 환경, 경제, 사회 생태론
![]() | 가톨릭부산 | 2022.06.22 | 22 |
29 |
제4장 통합 생태론
![]() | 가톨릭부산 | 2022.06.15 | 42 |
28 |
연구에서 비롯한 생물학적 혁신
![]() | 가톨릭부산 | 2022.06.08 | 22 |
27 |
고용 보호의 필요성
![]() | 가톨릭부산 | 2022.06.02 | 19 |
26 |
실천적 상대주의
![]() | 가톨릭부산 | 2022.05.25 | 23 |
25 |
Ⅲ. 현대 인간 중심주의의 위기와 영향
![]() | 가톨릭부산 | 2022.05.18 | 32 |
24 |
Ⅱ. 기술 지배 패러다임의 세계화
![]() | 가톨릭부산 | 2022.05.11 | 23 |
23 |
I. 기술 : 창의력과 힘
![]() | 가톨릭부산 | 2022.05.04 | 21 |
22 |
제3장 인간이 초래한 생태 위기의 근원들
![]() | 가톨릭부산 | 2022.04.27 | 25 |
21 |
Ⅶ. 예수님의 눈길
![]() | 가톨릭부산 | 2022.04.20 | 25 |
20 |
Ⅵ. 재화의 공통적 목적
![]() | 가톨릭부산 | 2022.04.13 | 43 |
19 |
V. 보편적 친교
![]() | 가톨릭부산 | 2022.04.06 | 29 |
18 |
Ⅳ. 창조의 조화 안에서 모든 피조물이 전하는 메시지
![]() | 가톨릭부산 | 2022.03.30 | 26 |
17 |
Ⅲ. 세상의 신비
![]() | 가톨릭부산 | 2022.03.23 | 25 |
» |
Ⅱ. 성경 이야기의 지혜
![]() | 가톨릭부산 | 2022.03.16 | 21 |
15 |
제2장 창조의 복음 - I. 신앙이 주는 빛
![]() | 가톨릭부산 | 2022.03.10 | 31 |
14 |
Ⅶ. 다양한 의견
![]() | 가톨릭부산 | 2022.03.03 | 25 |
13 |
Ⅵ. 미약한 반응
![]() | 가톨릭부산 | 2022.02.23 | 35 |
12 |
Ⅴ. 세계적 불평등
![]() | 가톨릭부산 | 2022.02.16 | 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