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 2693호 2022. 2. 20 |
---|---|
발췌 | 48항~52항 |
48. 환경과 사회의 훼손은 특히 이 세상의 가장 취약한 이들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일상생활의 체험과 과학 연구는 가장 가난한 이들이 모든 환경 훼손의 가장 심각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49. 오늘날 우리는 참된 생태론적 접근은 언제나 사회적 접근이 된다는 것을 깨달아야 합니다. 그러한 접근은 정의의 문제를 환경에 관한 논의에 결부시켜 지구의 부르짖음과 가난한 이들의 부르짖음 모두에 귀를 기울이게 해야 합니다.
50. 우리는 생산된 식량 전체의 거의 3분의 1이 버려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음식을 버릴 때마다, 그 음식은 마치 가난한 이들의 식탁에서 훔쳐 온 것과 같은 것입니다.”
52. 우리가 하나의 인류 가족이라는 인식을 더욱 확고히 해야 합니다. 우리가 숨을 수 있는 정치적 사회적 국경도 장벽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더욱이 무관심의 세계화를 위한 공간은 더욱 존재하지 않습니다.
『찬미받으소서』 48항~52항 발췌
교회 문헌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친구, 가족, 동료와 기후변화에 대해 이야기 하기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51 |
『찬미받으소서』 함께 읽기를 마무리하며...
![]() | 가톨릭부산 | 2022.11.16 | 86 |
50 |
Ⅸ. 태양 너머
![]() | 가톨릭부산 | 2022.11.09 | 27 |
49 |
Ⅷ. 모든 피조물의 모후
![]() | 가톨릭부산 | 2022.11.02 | 38 |
48 |
Ⅶ. 삼위일체와 피조물들의 상호 관계
![]() | 가톨릭부산 | 2022.10.26 | 19 |
47 |
Ⅵ. 성사의 표징들과 안식의 거행
![]() | 가톨릭부산 | 2022.10.19 | 25 |
46 |
V. 시민적이고 정치적인 사랑
![]() | 가톨릭부산 | 2022.10.12 | 17 |
45 |
IV. 기쁨과 평화
![]() | 가톨릭부산 | 2022.10.05 | 21 |
44 |
Ⅲ. 생태적 회개
![]() | 가톨릭부산 | 2022.09.28 | 28 |
43 |
Ⅱ. 인류와 환경 사이의 계약에 대하여 교육하기
![]() | 가톨릭부산 | 2022.09.21 | 16 |
42 |
I. 새로운 생활양식을 향하여
![]() | 가톨릭부산 | 2022.09.14 | 24 |
41 |
제6장 생태 교육과 영성
![]() | 가톨릭부산 | 2022.09.07 | 21 |
40 | V. 과학과 종교의 대화 | 가톨릭부산 | 2022.08.31 | 21 |
39 |
Ⅳ. 인간의 충만함을 위한 정치와 경제의 대화
![]() | 가톨릭부산 | 2022.08.24 | 22 |
38 |
Ⅲ. 정책 결정 과정의 대화와 투명성
![]() | 가톨릭부산 | 2022.08.17 | 21 |
37 |
Ⅱ. 새로운 국가적 지역적 정책을 위한 대화
![]() | 가톨릭부산 | 2022.08.10 | 19 |
36 |
I. 환경에 관한 국제적 정치안에서의 대화
![]() | 가톨릭부산 | 2022.08.03 | 19 |
35 |
제5장 접근법과 행동 방식
![]() | 가톨릭부산 | 2022.07.27 | 18 |
34 |
Ⅴ. 세대 간 정의
![]() | 가톨릭부산 | 2022.07.20 | 18 |
33 |
IV. 공동선의 원리
![]() | 가톨릭부산 | 2022.07.13 | 22 |
32 |
Ⅲ. 일상생활의 생태론
![]() | 가톨릭부산 | 2022.07.06 | 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