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 있어줘서 고맙다아이가

가톨릭부산 2022.02.16 10:49 조회 수 : 28

호수 2693호 2022. 2. 20 
글쓴이 박선정 헬레나 
살아 있어줘서 고맙다아이가

 
 
박선정 헬레나 / 남천성당, 인문학당 달리 소장
whitenoise99@hanmail.net

 
   라떼는 말이야, ‘각설이’라는 사람들이 있었다. 대문 밖에 시끄러워 나가보면, 영화에서나 볼 법한 딱 그 모양새로 한 손에는 밥그릇, 다른 손에는 숟가락 하나 들고 종합예술 공연을 펼치던 사람들이다. “작년에 왔던 각설이 죽지도 않고 또 왔네.”
 
   어린 나는 그런 각설이가 무섭고 싫었다. 다 해지고 더러운 옷에 언제 씻었는지 알 수 없는 얼굴과 그 웃음까지도 다 싫었다. 냄새는 또 어떻고. 우리 무서운 할배가 와서 딱 쫓아버렸으면 좋겠는데, 어찌 알고 할배가 없을 때만 골라서 찾아온다. 그런데 내 속도 모르는 할매는 이내 정지(‘부엌’의 방언)로 달려가서 보리밥 한 덩이를 들고나온다. 찌그러진 그릇에 보리밥 덩어리를 받아 든 각설이는 더 크게 노래를 부르면서 골목길 한가득 춤을 춘다. 한바탕 그러고 나서야 각설이는 연신 헤헤거리며 큰길로 사라진다. 그제야 조용하다.
 
   “할매, 우리 묵을 것도 없는데 왜 맨날 각설이한테는 저 아까운 밥을 주능교?” “안 죽고 살아 왔다아이가. 고맙다아이가.” “안 죽고 살아온 게 우리캉 무슨 상관인교? 고맙기는 무슨 얼어 죽을...” 
 
   빈농의 여식으로 일자무식이었던 우리 할머니는 남편인 할아버지를 따라 스무 대여섯 살에 만주로 건너가셨다. 일제강점기 시절이다. 배고파 우는 어린 딸 하나 등에 업고 그 머나먼 길을 떠났던 할머니는 몇 년의 죽을 고생 후 아들 하나를 더 업고 여전히 고픈 배를 안은 채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 긴 여정과 이국만리 타향에서의 고생을 할머니는 길게 얘기한 적이 없다. 그저 ‘안 죽고 살아 왔다아이가’였다. 할머니는 힘든 삶의 여정 속에서 살아낸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알고 있었다. 굴복하지 않고 살아냈다는 것의 숭고함을 알기에, 한 해 동안 전국을 떠돌며 겪었을 추위와 질병과 멸시와 냉대를 다 이겨내고 작년에 왔던 각설이가 살아서 다시 돌아온 것을 환대한 것이다. 40년이 지나서야 할머니의 그 마음을 알겠다.
 
   세상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풍족해지는 듯하지만 여전히 우리는 물질적 정신적으로 배고픔을 느끼는 각설이들이다. 그러니 포기하거나 추락하지 않고 열심히 살아가고 있는 서로를 더욱 따뜻하게 ‘공감’하고 ‘환대’해야 하지 않을까. 특별히 더 힘든 삶을 살아가는 나와 이웃들에게 ‘살아줘서 고맙다아이가’라고 다독이며 ‘함께’ 살아간다면, 하느님을 뵙는 그 날 하느님께서도 똑같은 말씀을 하시지 않겠나. “잘 살다 와줘서 고맙데이.”라고 말이다.
호수 제목 글쓴이
2897호 2025. 11. 9  2025년 부산교구 평신도의 날 행사에 초대합니다. 추승학 베드로 
2896호 2025. 11. 2  나를 돌아보게 한 눈빛 김경란 안나 
2895호 2025. 10. 26  삶의 전환점에서 소중한 만남 김지수 프리실라 
2893호 2025. 10. 12  우리는 선교사입니다. 정성호 신부 
2892호 2025. 10. 6  생손앓이 박선정 헬레나 
2891호 2025. 10. 5  시련의 터널에서 희망으로! 차재연 마리아 
2890호 2025. 9. 28  사랑은 거저 주는 것입니다. 김동섭 바오로 
2889호 2025. 9. 21  착한 이의 불행, 신앙의 대답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888호 2025. 9. 14  순교자의 십자가 우세민 윤일요한 
2887호 2025. 9. 7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마태 18,20) 권오성 아우구스티노 
2886호 2025. 8. 31  희년과 축성 생활의 해 김길자 베네딕다 수녀 
2885호 2025. 8. 24  사랑에 나이가 있나요? 탁은수 베드로 
2884호 2025. 8. 17  ‘옛날 옛적에’ 박신자 여호수아 수녀 
2883호 2025. 8. 15  허리띠로 전하는 사랑의 증표 박시현 가브리엘라 
2882호 2025. 8. 10  넘어진 자리에서 시작된 기도 조규옥 데레사 
2881호 2025. 8. 3  십자가 조정현 글리체리아 
2880호 2025. 7. 27  나도 그들처럼 그렇게 걸으리라. 도명수 안젤라 
2879호 2025. 7. 20  “농민은 지구를 지키는 파수꾼이자 하느님의 정원사입니다.” 서현진 신부 
2878호 2025. 7. 13  노년기의 은총 윤경일 아오스딩 
2877호 2025. 7. 6  그대들은 내 미래요, 내 희망입니다. 이나영 베네딕다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