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 2692호 2022. 2. 13 |
---|---|
발췌 | 43항~47항 |
43. 인간도 생명권과 행복권을 누리며 고유한 존엄성을 지닌 이 세상의 피조물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환경 훼손, 현재의 개발 방식, 버리는 문화가 사람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44. 오늘날 우리는 많은 도시들이 불균형적이고 무분별하게 확대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46. 세계적 변화의 사회적 요인들 가운데에는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 혁신, 사회적 소외, 에너지와 그 밖의 공공 서비스의 불평등한 분배와 소비, 사회적 붕괴, 폭력 증가, 새로운 형태의 사회 폭력의 증가, 마약 매매, 젊은이들의 마약 사용 증가, 정체성 상실이 있습니다.
47. 더 나아가 매체와 디지털 세계가 어디에나 존재하면서 사람들이 현명한 삶의 방식을 배우고 깊이 생각하며 넉넉히 사랑하는 법을 배우지 못하도록 영향을 행사합니다.
『찬미받으소서』 43항~47항 발췌
교회 문헌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농업, 농촌의 가치를 귀하게 여기며, 석탄 발자국 줄일 수 있는 로컬 식료품 구매하기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51 |
『찬미받으소서』 함께 읽기를 마무리하며...
![]() | 가톨릭부산 | 2022.11.16 | 86 |
50 |
Ⅸ. 태양 너머
![]() | 가톨릭부산 | 2022.11.09 | 27 |
49 |
Ⅷ. 모든 피조물의 모후
![]() | 가톨릭부산 | 2022.11.02 | 38 |
48 |
Ⅶ. 삼위일체와 피조물들의 상호 관계
![]() | 가톨릭부산 | 2022.10.26 | 19 |
47 |
Ⅵ. 성사의 표징들과 안식의 거행
![]() | 가톨릭부산 | 2022.10.19 | 25 |
46 |
V. 시민적이고 정치적인 사랑
![]() | 가톨릭부산 | 2022.10.12 | 17 |
45 |
IV. 기쁨과 평화
![]() | 가톨릭부산 | 2022.10.05 | 21 |
44 |
Ⅲ. 생태적 회개
![]() | 가톨릭부산 | 2022.09.28 | 28 |
43 |
Ⅱ. 인류와 환경 사이의 계약에 대하여 교육하기
![]() | 가톨릭부산 | 2022.09.21 | 16 |
42 |
I. 새로운 생활양식을 향하여
![]() | 가톨릭부산 | 2022.09.14 | 24 |
41 |
제6장 생태 교육과 영성
![]() | 가톨릭부산 | 2022.09.07 | 21 |
40 | V. 과학과 종교의 대화 | 가톨릭부산 | 2022.08.31 | 21 |
39 |
Ⅳ. 인간의 충만함을 위한 정치와 경제의 대화
![]() | 가톨릭부산 | 2022.08.24 | 22 |
38 |
Ⅲ. 정책 결정 과정의 대화와 투명성
![]() | 가톨릭부산 | 2022.08.17 | 21 |
37 |
Ⅱ. 새로운 국가적 지역적 정책을 위한 대화
![]() | 가톨릭부산 | 2022.08.10 | 19 |
36 |
I. 환경에 관한 국제적 정치안에서의 대화
![]() | 가톨릭부산 | 2022.08.03 | 19 |
35 |
제5장 접근법과 행동 방식
![]() | 가톨릭부산 | 2022.07.27 | 18 |
34 |
Ⅴ. 세대 간 정의
![]() | 가톨릭부산 | 2022.07.20 | 18 |
33 |
IV. 공동선의 원리
![]() | 가톨릭부산 | 2022.07.13 | 22 |
32 |
Ⅲ. 일상생활의 생태론
![]() | 가톨릭부산 | 2022.07.06 | 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