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692호 2022. 2. 13 
글쓴이 이영훈 신부 
우리의 이웃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

 
 
이영훈 신부 / 노동사목
free6403@hanmail.net 

 
  몇 년 전 무거운 마음으로 양산으로 향했습니다. 책상 위에는 많은 사람들의 추모글과 함께 낯선 이의 사진 하나가 놓여있었습니다. 사진 속 자매는 한국에 온 지 약 7년이 된 결혼이주여성이었습니다. 가끔 성당에서 기도한 적이 있다는 주변의 증언을 들은 분이 노동사목으로 연락을 주신 겁니다. 처음 본 분이었습니다. 빈소를 지키고 있던 분의 이야기를 듣고 마음이 더 아팠습니다. 한국에 온 뒤 한 번도 고국에 가보지 못했다는 것과 상습적인 폭력, 그리고 그 결과 이러한 죽음을 당했다는 사실. ‘주변에서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졌다면 이 죽음을 막을 수 있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지금도 떠나지 않습니다.
 
   이제 외국인들은 우리에게 익숙한 존재입니다. 저는 약 15년 전 어느 본당 신부로 있었을 때 만난 결혼이주여성들과 그들의 자녀들을 통해 그들의 아픔과 불안을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이전보다 더 내밀한 어둠들을 접하고 있으며 그때마다 깊은 고민에 빠집니다. ‘교회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는 같은 형제자매인 그들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낯선 문화와 서툰 언어는 결혼이주여성에게는 차별과 고통의 원인들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그들을 더욱 힘들게 하는 것은 ‘단절된 인간관계’입니다. 그들에게는 믿음과 사랑으로 연결된 ‘이웃’이 없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그들은 ‘이방인’에 불과합니다. ‘한국인’인 그들의 자녀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고급 아파트에 사는 아이와 값싼 아파트에 사는 아이를 구분 짓는 우리 사회가 이 아이들을 ‘서툰 말과 다른 외모’로 구분 짓습니다. 그러나 그들 또한 우리가 사랑해야 할 이웃이자, 형제자매입니다.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보내주신 귀한 손님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는 이주민들을 향한 “환대, 보호, 증진, 통합”(『모든 형제들』 129항)을 강조하십니다. 열린 마음으로 그들을 한 형제로 받아들이기를 촉구하십니다. 교구장 주교님께서 작년 사목지침을 통해 ‘이주민 가정 돌보기’를 강조하신 것 또한 교황님의 지향과 일치하는 것으로 그들을 향한 사랑의 연대는 노동사목과 같은 특정 기관만의 역할이 아니라 지역 본당과 우리 모두가 더 온전히 참여해야 할 사명임을 밝히신 것입니다. 
 
   우리는 혈연이 아니라, 하느님을 한 아버지로 모시고 있는 그리스도인입니다. 그들 또한 하느님의 자녀이자 우리의 가족입니다. 한 가족으로서 그들에게 우리의 관심과 배려, 믿음과 사랑을 전달했으면 좋겠습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865호 2025. 4. 13.  다시 오실 주님을 기다리며 안덕자 베네딕다 
2864호 2025. 4. 6.  최고의 유산 양소영 마리아 
2863호 2025. 3. 30.  무리요의 붓끝에서 피어나는 자비의 노래 박시현 가브리엘라 
2862호 2025. 3. 23.  현세의 복음적 삶, 내세의 영원한 삶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861호 2025. 3. 16.  ‘생태적 삶의 양식’으로 돌아가는 ‘희망의 순례자’ 박신자 여호수아 수녀 
2860호 2025. 3. 9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2025년 사순 시기 담화 프란치스코 교황 
2859호 2025. 3. 2  ‘나’ & ‘우리 함께 together’ 김민순 마리안나 
2858호 2025. 2. 23.  예수님 깨우기 탁은수 베드로 
2857호 2025. 2. 16  “내가 너를 지명하여 불렀으니 너는 나의 것이다.”(이사 43,1) 최경련 소화데레사 
2856호 2025. 2. 9.  우리는 낙심하지 않습니다. 안경숙 마리엠마 수녀 
2855호 2025. 2. 2  2025년 축성 생활의 날 담화 유덕현 야고보 아빠스 
2854호 2025. 1. 29  이 겨울의 시간 윤미순 데레사 
2853호 2025. 1. 26  우리가 사랑할 때 윤경일 아오스딩 
2852호 2025. 1. 19  2027 세계청년대회 WYD가 시작되었습니다! file 한미현 에스텔 
2851호 2025. 1. 12  우리와 같으신 그분 강은희 헬레나 
2850호 2025. 1. 5  새 마음, 새 각오 원성현 스테파노 
2848호 2024. 12. 29  우리 가정에 예수님 모시기 이준혁 사무엘 & 강선희 루치아 
2846호 2024. 12. 22  들음의 성모님을 만나다 오지영 젬마 
2845호 2024. 12. 15  나의 신앙 일지 서현우 요셉 
2844호 2024. 12. 8  “그 누구도 죽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이영훈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