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 2690호 2022. 1. 30 |
---|---|
발췌 | 27항~31항 |
30. 인간이 이용할 수 있는 물의 질은 계속해서 악화되어 가고 있음에도, 어떤 지역에서는 이 부족한 자원을 민영화하려는 추세가 나타나 물이 시장 논리에 지배되는 상품으로 변해 버렸습니다. 그러나 안전하게 마실 수 있는 물에 대한 접근권은 기본적이며 보편적인 인권입니다. 물은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것이며, 바로 그래서 다른 인권들을 행사하는 데에 전제 조건이 됩니다. 물을 마실 수 없는 가난한 이들에게 이 세상은 커다란 사회적 부채를 지고 있습니다. 그들의 침해할 수 없는 존엄에 맞갖은 생명권이 부인되기 때문입니다.
31. 서둘러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몇 년 안에 극심한 물 부족 현상이 발생하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환경의 충격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다국적 대기업들이 물을 통제하면 21세기의 커다란 분쟁 요소가 될 것입니다.
『찬미받으소서』 27항~31항 발췌
교회 문헌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나 홀로 운전족 되지 않기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1 |
Ⅳ. 인간 삶의 질의 저하와 사회 붕괴
![]() | 가톨릭부산 | 2022.02.09 | 35 |
10 |
Ⅲ. 생물 다양성의 감소
![]() | 가톨릭부산 | 2022.02.03 | 41 |
» |
Ⅱ. 물의 문제
![]() | 가톨릭_부산 | 2022.01.26 | 29 |
8 |
공공재인 기후
![]() | 가톨릭_부산 | 2022.01.19 | 39 |
7 |
Ⅰ. 오염과 기후 변화 - 오염, 쓰레기, 버리는 문화
![]() | 가톨릭_부산 | 2022.01.12 | 31 |
6 |
제1장 공동의 집에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까?
![]() | 가톨릭부산 | 2022.01.05 | 49 |
5 |
저의 호소
![]() | 가톨릭부산 | 2021.12.29 | 33 |
4 |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성인
![]() | 가톨릭부산 | 2021.12.22 | 22 |
3 |
동일한 관심을 통한 일치
![]() | 가톨릭부산 | 2021.12.15 | 27 |
2 |
이 세상의 그 어떤 것도 우리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 | 가톨릭부산 | 2021.12.07 | 52 |
1 |
찬미받으소서
![]() | 가톨릭부산 | 2021.12.02 | 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