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 2690호 2022. 1. 30 |
---|---|
발췌 | 27항~31항 |
30. 인간이 이용할 수 있는 물의 질은 계속해서 악화되어 가고 있음에도, 어떤 지역에서는 이 부족한 자원을 민영화하려는 추세가 나타나 물이 시장 논리에 지배되는 상품으로 변해 버렸습니다. 그러나 안전하게 마실 수 있는 물에 대한 접근권은 기본적이며 보편적인 인권입니다. 물은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것이며, 바로 그래서 다른 인권들을 행사하는 데에 전제 조건이 됩니다. 물을 마실 수 없는 가난한 이들에게 이 세상은 커다란 사회적 부채를 지고 있습니다. 그들의 침해할 수 없는 존엄에 맞갖은 생명권이 부인되기 때문입니다.
31. 서둘러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몇 년 안에 극심한 물 부족 현상이 발생하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환경의 충격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다국적 대기업들이 물을 통제하면 21세기의 커다란 분쟁 요소가 될 것입니다.
『찬미받으소서』 27항~31항 발췌
교회 문헌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나 홀로 운전족 되지 않기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51 |
『찬미받으소서』 함께 읽기를 마무리하며...
![]() | 가톨릭부산 | 2022.11.16 | 90 |
50 |
Ⅸ. 태양 너머
![]() | 가톨릭부산 | 2022.11.09 | 29 |
49 |
Ⅷ. 모든 피조물의 모후
![]() | 가톨릭부산 | 2022.11.02 | 44 |
48 |
Ⅶ. 삼위일체와 피조물들의 상호 관계
![]() | 가톨릭부산 | 2022.10.26 | 20 |
47 |
Ⅵ. 성사의 표징들과 안식의 거행
![]() | 가톨릭부산 | 2022.10.19 | 26 |
46 |
V. 시민적이고 정치적인 사랑
![]() | 가톨릭부산 | 2022.10.12 | 18 |
45 |
IV. 기쁨과 평화
![]() | 가톨릭부산 | 2022.10.05 | 23 |
44 |
Ⅲ. 생태적 회개
![]() | 가톨릭부산 | 2022.09.28 | 29 |
43 |
Ⅱ. 인류와 환경 사이의 계약에 대하여 교육하기
![]() | 가톨릭부산 | 2022.09.21 | 17 |
42 |
I. 새로운 생활양식을 향하여
![]() | 가톨릭부산 | 2022.09.14 | 25 |
41 |
제6장 생태 교육과 영성
![]() | 가톨릭부산 | 2022.09.07 | 22 |
40 | V. 과학과 종교의 대화 | 가톨릭부산 | 2022.08.31 | 22 |
39 |
Ⅳ. 인간의 충만함을 위한 정치와 경제의 대화
![]() | 가톨릭부산 | 2022.08.24 | 23 |
38 |
Ⅲ. 정책 결정 과정의 대화와 투명성
![]() | 가톨릭부산 | 2022.08.17 | 22 |
37 |
Ⅱ. 새로운 국가적 지역적 정책을 위한 대화
![]() | 가톨릭부산 | 2022.08.10 | 20 |
36 |
I. 환경에 관한 국제적 정치안에서의 대화
![]() | 가톨릭부산 | 2022.08.03 | 20 |
35 |
제5장 접근법과 행동 방식
![]() | 가톨릭부산 | 2022.07.27 | 19 |
34 |
Ⅴ. 세대 간 정의
![]() | 가톨릭부산 | 2022.07.20 | 19 |
33 |
IV. 공동선의 원리
![]() | 가톨릭부산 | 2022.07.13 | 25 |
32 |
Ⅲ. 일상생활의 생태론
![]() | 가톨릭부산 | 2022.07.06 | 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