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 2688호 2022. 1. 16 |
---|---|
발췌 | 20항~22항 |
20.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노출되는 오염들이 있습니다. 대기오염 물질에 대한 노출은 건강에, 특히 가장 가난한 이들의 건강에 광범위한 악영향을 끼쳐서 수많은 사람들이 일찍 사망하게 됩니다.
21. 산업 폐기물만큼이나 도시와 농촌 지역에서 사용하는 화학제품들도, 비록 지역의 독성 물질 수치가 낮다고 하더라도 그 주민들의 몸속에 유독 물질이 축적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흔히 사람들의 건강이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악화되기 전에는 아무런 조치도 취해지지 않습니다.
22. 이러한 문제들은 버리는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됩니다. 버리는 문화는 물건을 쉽게 쓰레기로 만들어 버리는 것처럼 소외된 이들에게 악영향을 미칩니다. 순환적 생산 방식은 현재와 미래 세대들을 위하여 자원을 보존할 수 있는 것이며, 재생 불가능한 자원 사용의 최소화, 소비 절제, 개발 효율의 극대화, 재사용, 재활용을 요구합니다.
『찬미받으소서』 20항~22항 발췌
교회 문헌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찬미받으소서』 20항~22항 영상 보기 (낭독 : 노인대학연합회장 김종철 레오)
공동 텃밭, 미니 상자 텃밭, 베란다 텃밭 등에서내가 먹을 작물들을 직접 길러봅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1 |
Ⅳ. 인간 삶의 질의 저하와 사회 붕괴
![]() | 가톨릭부산 | 2022.02.09 | 35 |
10 |
Ⅲ. 생물 다양성의 감소
![]() | 가톨릭부산 | 2022.02.03 | 41 |
9 |
Ⅱ. 물의 문제
![]() | 가톨릭_부산 | 2022.01.26 | 29 |
8 |
공공재인 기후
![]() | 가톨릭_부산 | 2022.01.19 | 39 |
» |
Ⅰ. 오염과 기후 변화 - 오염, 쓰레기, 버리는 문화
![]() | 가톨릭_부산 | 2022.01.12 | 31 |
6 |
제1장 공동의 집에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까?
![]() | 가톨릭부산 | 2022.01.05 | 49 |
5 |
저의 호소
![]() | 가톨릭부산 | 2021.12.29 | 33 |
4 |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성인
![]() | 가톨릭부산 | 2021.12.22 | 22 |
3 |
동일한 관심을 통한 일치
![]() | 가톨릭부산 | 2021.12.15 | 27 |
2 |
이 세상의 그 어떤 것도 우리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 | 가톨릭부산 | 2021.12.07 | 52 |
1 |
찬미받으소서
![]() | 가톨릭부산 | 2021.12.02 | 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