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지랖의 영성

가톨릭_부산 2022.01.12 10:00 조회 수 : 32

호수 2688호 2022. 1. 16 
글쓴이 김준한 신부 

오지랖의 영성

 
김준한 신부 / 남산성당 주임


 
 
  참으로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 그분의 사랑은 너무나 크고 간절해서 당신께서 먼저 우리를 향하여 다가오시고, 품어주시고, 높은 곳으로 들어 올려 주십니다. 그러기에 그분은 잠잠히도, 가만히도 계시지 못하며 우리가 잘 되어 세상의 어둠을 밝힐 횃불이 타오를 때까지 일하십니다.(이사 62,1 참조)
 
   부창부수(夫唱婦隨), 부전자전(父傳子傳)이라는 말이 있고, 또 그 어머니에 그 아들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사랑과 친교는 결코 홀로 머물지 않고 더불어 위에서 아래로 흐르기 마련이라는 것인데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에 이르러 그런 인간적인 관계는 새롭게 역전되어 다가옵니다. 오늘 복음에서 드러난 예수님과 성모님의 관계는 그 지극한 사랑으로 하나 된 가운데 그 어머니에 그 아들이 아니라, 그 아들에 그 어머니로서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곧 예수님의 지극한 사랑을 보고 닮은 성모님은 부족한 당신의 사랑을 예수님께 봉헌하고 아들의 처분을 겸손되이 기다려 은혜로운 하늘나라의 풍요로움을 이루는데 작은 도구가 되셨습니다. 
 
   나자렛에서 14km 떨어진 카나까지 그 먼 길을 마다하지 않고 혼인 잔치에 참여하신 성모님. 혼인 잔치에 초대된 손님이라면 그에 걸맞게 신랑신부에게 덕담도 하고, 신랑신부 부모님에게 축하의 인사도 건네며, 한 몸을 이룬 신혼부부의 사랑에 흠뻑 빠져 즐기면 될 것을 성모님은 거기서도 가만히 있지를 못합니다, 마치 예수님처럼.
 
   성모님은 마치 자기 자식 잔치인 양 가만히 즐기지 못하시고 남의 부엌을 넘나들며 음식은 부족한 것이 없는지, 급한 대로 당신이라도 소매 걷어붙이고 부침개라도 부쳐야 할지, 나물을 무쳐야 할지 분주합니다. 그러곤 잔치에 특별한 메뉴인 포도주가 떨어진 것을 집주인이나, 잔치 음식을 준비하고 내가는 책임을 맡은 일꾼인 과방장보다 먼저 알고서는 발을 동동 구르십니다. 
 
   이런 오지랖도 참 없습니다. 자기 일을 넘어서 간섭하는 주제넘은 행동을 가리키는 오지랖이라는 뜻이 참 부정적으로 읽히지만 여기서 성모님의 오지랖은 참으로 필요한 오지랖이었습니다. 그렇게 지극한 사랑으로 충만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은 오지랖이 넓어서 잠잠치 못하는 성모님의 애끓는 사랑과 만나 하늘나라의 풍요로움을 이루게 됩니다. 
 
   괜한 오지랖으로 눈총받기 싫어하는 이 시대에 가만히 있지 못하는 예수 그리스도와 성모님의 사랑을 본받아 우리도 이웃을 향한 선한 오지랖을 피워볼 만합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897호 2025. 11. 9  우리는 하느님의 성전입니다 file 최정훈 신부 
2896호 2025. 11. 2  우리의 영광은 자비에 달려있습니다 file 염철호 신부 
2895호 2025. 10. 26  분심 좀 들면 어떤가요. file 최병권 신부 
2894호 2025. 10. 19  전교, 복음의 사랑으로 file 김종남 신부 
2893호 2025. 10. 12  우리가 주님을 만날 차례 file 한종민 신부 
2892호 2025. 10. 6  복음의 보름달 file 김기영 신부 
2891호 2025. 10. 5  느그 묵주 가져왔나? file 김기영 신부 
2890호 2025. 9. 28  대문 앞의 라자로를 외면하지 마십시오. file 정창식 신부 
2889호 2025. 9. 21  신적 생명에 참여하는 삶 file 조성문 신부 
2888호 2025. 9. 14  나를 죽이고 십자가를 지는 삶 file 박재범 신부 
2887호 2025. 9. 7  더 크게 사랑하기 위해서는? file 이재원 신부 
2886호 2025. 8. 31  행복을 선택하는 삶 file 박호준 신부 
2885호 2025. 8. 24  ‘좁은 문’ file 이영훈 신부 
2884호 2025. 8. 17  사랑의 불, 진리의 불 file 이영창 신부 
2883호 2025. 8. 15  마리아의 노래-신앙인의 노래! 김대성 신부 
2882호 2025. 8. 10  그리움, 기다림, 그리고 깨어있는 행복! file 김대성 신부 
2881호 2025. 8. 3  “만족하십시오.” file 이재혁 신부 
2880호 2025. 7. 27  “노인(老人)=성인(聖人)” file 정호 신부 
2879호 2025. 7. 20  마르타+마리아=참으로 좋은 몫 file 이균태 신부 
2878호 2025. 7. 13  누가 저의 이웃입니까? file 계만수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