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궁이 불을 지피며

가톨릭부산 2021.10.20 10:15 조회 수 : 23

호수 2674호 2021. 10. 24 
글쓴이 박선정 헬레나 
아궁이 불을 지피며

 
박선정 헬레나 / 남천성당 · 인문학당 달리 소장
whitenoise99@hanmail.net

 
    내가 자랐던 시골집에는 정지라 불리던 부엌과 아궁이가 있다. 그러다 보니 시골집에 갈 때면 아궁이에 불부터 지핀다. 혼자서 버텨주는 오래된 집에 대한 고마움의 표현이다. 그러나 아궁이에 불을 지피는 게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우선 성냥 하나를 켜서 마른 짚에 불을 붙인 후 아궁이 속에 넣고, 잘 마른 잔가지들을 조심스레 그 위에 얹는다. 그리고는 아궁이 속을 들여다보면서 불이 잔가지에 옮겨붙도록 조심스레 부채질을 한다. 잔가지에 불이 붙으면 그제야 나무 장작을 아주 조심스레 넣는다. 이때 장작의 무게가 잔가지의 불꽃을 꺼뜨릴 정도가 되어선 안 된다. 마치 깃털을 얹은 듯 가볍게 느껴져야만 서로 불을 나눠 갖는다. 그렇게 옮겨붙은 장작불은 아궁이 안에서 함께 춤을 추며 가마솥을 데우고 아궁이 속과 구들장을 데우고 방을 데워 온 집을 따뜻하게 만든다. 얼마 전에는 아궁이에 불을 지피려고 일부러 시골집엘 들렀다. 흙과 돌과 나무로 된 혼자 남겨진 이 낡은 집이 잦은 비에 혹시라도 힘을 잃고 주저앉아버릴까 염려되어서다. 그런데 좀처럼 불길이 살아나질 않았다. 애써 종이에 불을 붙여 잔가지를 얹으면 어느새 꺼져버리고, 잔가지에 용케 불이 붙었다 싶어 장작을 얹으면 또다시 힘없이 꺼져 버렸다. 아궁이 안을 들여다보며 부채질을 하느라 눈물 콧물이 뚝뚝 떨어지고 연기로 목이 아팠지만 포기할 수는 없다. 그렇게 한참을 아궁이와 불과 장작을 바라보며 애를 태우다 그제야 알았다. 한참 동안 온기가 없었던 아궁이 안은 더없이 차고 습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그러니 불을 제대로 지피려면 우선 아궁이 안의 차고 습한 기운부터 달래야 했던 것이다. 
 
   사람도 아궁이 같다. 따뜻함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일수록 더 어둡고 차가울 수 있다. 이때의 ‘그’는 내 이웃일 수도, 내 가족일 수도, 그리고 ‘나 자신’일 수도 있다. 이러한 그를 위해서는 한층 더 부드러운 인내의 사랑이 요구된다. 그러니, 왜 빨리 불씨가 살아나지 않느냐며 불 지피기를 금세 포기해 버려서는 안 된다. 이처럼 사랑은 나와 세상을 데우기 위해 아궁이 속을 들여다보며 눈물 콧물 흘려가며 부채질하는 낮춤이자 정성이자 노력일 것이다. 사랑이 하찮은 것처럼 무시되는 물질만능의 현대 사회에서 다시금 ‘그중에 제일은 사랑’이 되길 기도한다. “사랑은 참고 기다립니다. 사랑은 친절합니다. 사랑은 불의에 기뻐하지 않고 진실을 두고 함께 기뻐합니다.”(1코린 13,4.6)
호수 제목 글쓴이
2693호 2022. 2. 20  살아 있어줘서 고맙다아이가 박선정 헬레나 
2692호 2022. 2. 13  우리의 이웃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 이영훈 신부 
2690호 2022. 1. 30  지구촌의 모든 나라는 내 이웃이다 김동섭 바오로 
2689호 2022. 1. 23  영적인 아스피린 윤경일 아오스딩 
2688호 2022. 1. 16  감사함의 생활화 송상철 요셉 
2687호 2022. 1. 9  예수님 꽃 피우기 조수선 안나 
2686호 2022. 1. 2  온 세상에 그리스도의 빛을 전합시다 우세민 윤일 요한 
2684호 2021. 12. 26  고귀한 ‘혼인성사’ 송현 신부 
2682호 2021. 12. 19  [이콘읽기] 마리아, 엘리사벳 방문하심 file 이인숙 안젤라 
2681호 2021. 12. 12  아직도 저를 버리지 않으셨군요! 정연순 안나 
2680호 2021. 12. 05  행복을 전하는 이방인들 이영훈 신부 
2679호 2021. 11. 28  나무의 일생과 대림 시기 이정재 요셉 
2678호 2021. 11. 21  성서 주간 말씀잔치 권순도 신부 
2677호 2021. 11. 14  통공을 믿으며 탁은수 베드로 
2676호 2021. 11. 7  “당신이 천주교인이오?”(1846년 8월 26일 김대건 신부님 옥중 서한 中) 최재석 사도요한 
2675호 2021. 10. 31  아! 옛날이여! 장혜영 루피나 
2674호 2021. 10. 24  아궁이 불을 지피며 박선정 헬레나 
2673호 2021.10.17  주어진 소임에 최선을 다하여 한영해 아가다 
2672호 2021.10.10  최재선 사도요한 주교님과 묵주 기도 정효모 베드로 
2671호 2021.10.03  저희는 사랑이 필요합니다. 최연수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