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은 생명을 준다

가톨릭부산 2021.08.18 10:49 조회 수 : 23

호수 2665호 2021.08.22 
글쓴이 원정학 신부 

영은 생명을 준다
 

원정학 신부 / 명지성당 주임




   군중들은 처음 ‘영원한 생명을 주는 빵’에 솔깃했습니다. 그래서 ‘그 빵을 저희에게 주십시오.’라고 청했습니다. 그러나 그 빵이 ‘예수님 당신 자신의 몸’이며 자신을 먹고 마셔야 한다는 말에 몹시 당황해합니다. 

   만일 예수님께서 눈에 보이는 어떤 빵의 형태를 보여주며 이것이 영원한 생명을 주는 빵이라고 말하며, 내 말을 잘 따르면 이 빵을 주겠다고 했다면 오히려 사람들이 믿지 않았을까요? 그냥은 안 믿었을지 몰라도 여러 기이한 기적을 보여주며 ‘내 말이 맞다’라고 한다면 사람들은 믿고 그 빵을 얻기 위해 무슨 일이든 시키는 대로 했을 것 같습니다. 사실 군중은 예수님께서 보리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수천 명을 먹이고도 남는 기적을 일으키신 것을 보고 찾아온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을 통한 ‘영원한 생명’의 빵은 사람들에게 착각을 불러올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군중들은 이 빵을 얻기 위해 세속적인 방식을 선택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율법주의가 하느님과의 계약을 세속적인 방식(무언가 획득하기 위한 형식)으로 바꾸어 버림으로써 왜 하느님께서 이스라엘 백성과 계약을 맺으셨는지 그 계약을 통해 무엇을 드러내려고 하셨는지를 잊어버리게 만든 것처럼 예수님께서는 이들도 그렇게 되리라는 것을 너무나 잘 알고 계셨습니다.

   때문에 ‘영원한 생명을 주는 빵’은 사람들이 노력해서 얻는 획득물이 아니라 예수님을 믿고(=하느님의 일) (요한 6,29 참조) 따르는 삶을 통해 주어지는 은총의 선물이라는 것입니다. 이 은총의 선물에는 하느님의 인간에 대한 지극한 사랑이 담겨 있으며 외아들을 통해 그 사랑이 온전히 드러나는 것입니다. 

   ‘영’이 아니라 육에 갇혀 예수님의 말씀을 세속적으로 이해하려는 군중은 딜레마에 빠지고 말았습니다. 당신의 몸을 먹고 마시라는 말씀은 이들에게 거북할 뿐이었습니다. 

   우리 역시 신앙생활을 하다 보면 자주 이런 딜레마에 빠지곤 합니다. 우리의 눈과 귀는 세속적 입장에서 보고, 듣는 데 익숙하기에 자칫 조금이라도 그런 견지에 빠진다면 참된 진리의 말씀은 의혹으로 바뀌고, 자신이 원하는 대로 당장 눈앞에 어떤 표징을 요구하게 됩니다. 그러나 ‘영’으로 볼 수 있는 표징을 어떻게 ‘육’으로 알 수 있겠습니까? “주님께는 영원한 생명의 말씀이 있습니다.”(요한 6,68ㄷ)는 베드로의 고백처럼 ‘생명의 빵’이신 주님을 세속적인 안목이 아니라 ‘영’을 통해 봄으로써 참된 진리의 표징을 볼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897호 2025. 11. 9  우리는 하느님의 성전입니다 최정훈 신부 
2896호 2025. 11. 2  우리의 영광은 자비에 달려있습니다 염철호 신부 
2895호 2025. 10. 26  분심 좀 들면 어떤가요. file 최병권 신부 
2894호 2025. 10. 19  전교, 복음의 사랑으로 file 김종남 신부 
2893호 2025. 10. 12  우리가 주님을 만날 차례 file 한종민 신부 
2892호 2025. 10. 6  복음의 보름달 file 김기영 신부 
2891호 2025. 10. 5  느그 묵주 가져왔나? file 김기영 신부 
2890호 2025. 9. 28  대문 앞의 라자로를 외면하지 마십시오. file 정창식 신부 
2889호 2025. 9. 21  신적 생명에 참여하는 삶 file 조성문 신부 
2888호 2025. 9. 14  나를 죽이고 십자가를 지는 삶 file 박재범 신부 
2887호 2025. 9. 7  더 크게 사랑하기 위해서는? file 이재원 신부 
2886호 2025. 8. 31  행복을 선택하는 삶 file 박호준 신부 
2885호 2025. 8. 24  ‘좁은 문’ file 이영훈 신부 
2884호 2025. 8. 17  사랑의 불, 진리의 불 file 이영창 신부 
2883호 2025. 8. 15  마리아의 노래-신앙인의 노래! 김대성 신부 
2882호 2025. 8. 10  그리움, 기다림, 그리고 깨어있는 행복! file 김대성 신부 
2881호 2025. 8. 3  “만족하십시오.” file 이재혁 신부 
2880호 2025. 7. 27  “노인(老人)=성인(聖人)” file 정호 신부 
2879호 2025. 7. 20  마르타+마리아=참으로 좋은 몫 file 이균태 신부 
2878호 2025. 7. 13  누가 저의 이웃입니까? file 계만수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