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638호 2021.02.14 
글쓴이 장재명 신부 
프란치스코 교황 『Let us dream 꿈을 꿉시다!』 (1)
(코로나19 대유행을 슬기롭게 이겨내기 위한 교황님의 말씀을 들어보세요.)

 
장재명 신부 / 우정성당 부주임

 
   코로나 3차 대유행이 한창이던 2020년 12월 7일,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이름으로 새로운 책이 한국에서 출판되었습니다. 제목은 『Let us dream』 직역하면 ‘꿈을 꿉시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꿈을 꾸어야 하는 근거를 교황님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우리가 지금껏 넘겨왔던 방식으로는 결코 피해 갈 수 없는 위기가 닥쳤기 때문에 자의로든 타의로든 우리는 새로운 삶을 시작해야 합니다.”
 
   교황님은 이번 코로나 상황이 그동안 우리 인류가 넘겨왔던 방식으로는 결코 피해 갈 수 없는 위기라고 진단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자의로든 타의로든 그동안 살아왔던 삶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삶을 시작해야 하고, 교황님은 그 새로운 삶을 우리가 어떻게 준비하고 꿈꾸어야 할지 이 책을 통해 제안하십니다.
 
   책은 3부로 나누어집니다. 1부는 ‘직시할 시간’입니다. 지금의 현실을 직시(直視)하자는 것입니다. 교황님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세상의 실상을 보고 싶다면, 실존의 경계지에 가봐야 합니다. 예부터 나는 주변부에서 세상이 더 명확히 보인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여러분도 새로운 미래를 발견하고 싶다면 주변부로 가야 합니다. 하느님도 피조물을 재건하려 하실 때 주변부로 가셨습니다.”
 
   교황님은 우리가 현실을 직시하려면 지금 내 삶의 자리가 아니라, 내 삶의 변두리(suburbs)로 가야 한다고 제안하십니다. 우리가 변두리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보지 못하면, 현실을 직시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교황님은 우리가 현실을 회피하는 세 가지 파멸적인 태도를 경고하십니다. 그것은 나르시시즘(narcissism), 낙심(落心), 비관주의(pessimism)입니다.
 
   교황님은 이 세 가지 태도가 우리의 성장을 방해하고, 우리를 마비시킨다고 하십니다. 그래서 이런 태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희망의 씨앗을 뿌리든 정의를 위해 일하든 간에, 작더라도 구체적이고 긍정적인 행동에 전념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십니다. 
 
   시련과 위기의 상황일수록 일상의 작은 일에 충실해야 합니다. 특히 신앙인들은 날마다 꾸준히 하느님을 만나는 시간을 마련하고, 그 시간에 충실하다 보면 시련과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내적인 힘이 자라납니다. 교회 역사 안에서 수많은 성인성녀들이 그 모범을 우리에게 잘 보여주었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78 2640호 2021.02.28  3월 1일은 가경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 탄생 200주년 기념일 입니다. file 가톨릭부산  9
277 2639호 2021.02.21  프란치스코 교황 『Let us dream 꿈을 꿉시다!』 (2) 장재명 신부  10
» 2638호 2021.02.14  프란치스코 교황 『Let us dream 꿈을 꿉시다!』 (1) 장재명 신부  10
275 2637호 2021.02.07  주보 형식의 새로운 교재 file 청소년사목국  10
274 2637호 2021.02.07  베드로 형제님, 초대합니다! file 이동화 신부  2091
273 2636호 2021.01.31  교황님과 함께 기도합시다. <2021년 교황님 기도 지향> file 가톨릭부산  11
272 2636호 2021.01.31  “제가 있지 않습니까? 저를 보내십시오.” 이상경 부제  45
271 2635호 2021.01.24  새사제 모토 및 감사인사 file 가톨릭부산  41
270 2632호 2021.01.03  2021년 부산교구 사제·부제 서품식 - 인터넷 방송 안내 file 가톨릭부산  26
269 2632호 2021.01.03  위로의 샘이 되어 주실래요? 이동욱 신부  19
268 2631호 2020.01.01  2021년 사제.부제 서품식 file 가톨릭부산  17
267 2631호 2020.01.01  제54차 세계 평화의 날 담화 (요약)- 평화의 길인 돌봄의 문화 file 프란치스코 교황  2
266 2628호 2020.12.20  부산가톨릭평화방송 대림 개편 file 부산가톨릭평화방송  6
265 2624호 2020.11.22  성서 주간을 맞이하며 권순도 신부  10
264 2623호 2020.11.15  천주교 부산교구 학교법인 성모학원 산하 고등학교 file 가톨릭부산  515
263 2622호 2020.11.08  주님을 전하는, 달리는 선교사 file 가톨릭부산  11
262 2621호 2020.11.01  대양고등학교(구, 대양전자통신고) file 대양고등학교  56
261 2620호 2020.10.25  코로나19 이겨내고, ‘행복하이소’ - 시장사목 탐방기 - file 가톨릭부산  7
260 2619호 2020.10.18  행복하여라! 주님의 가르침을 밤낮으로 되새기는 사람 file 김종철 레오  12
259 2618호 2020.10.11  “여보세요~ 성당 입니다, 잘 지내시죠?” file 김현미 엘리사벳  18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