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의 샘이 되어 주실래요?

가톨릭부산 2020.12.30 11:42 조회 수 : 18

호수 2632호 2021.01.03 
글쓴이 이동욱 신부 

위로의 샘이 되어 주실래요?

 

이동욱 신부 / 꼰솔라따 선교수도회, 케냐 말란디 교구 아두 선교지, 복자 요셉 알라마노 성당 주임

 


요즈음엔 세상 어디를 가나 쉽게 가톨릭 신자를 만날 수 있고 성당에서 미사를 드리는 것도 어렵지 않으나, 제가 20161월에 도착해 사목하고 있는 케냐 말린디교구의 아두 선교지는 달랐습니다. 충격적인 사실이지만 가톨릭은 전혀 알려지지 않은 종교였습니다. 처음 제가 도착했을 때 이 교구는 이슬람인들이 많아 그러려니 생각했지만 실은 교구가 설립된 지 20년 정도여서 사제나 수도자와 선교사의 손길이 미치지 못한 곳이 많기 때문이었습니다. 다시 말해 복음 선포가 시급한 곳이었습니다. 이곳 사람들은 가톨릭을 접한 적이 없다 보니 미사 드리는 모습을 신기하게 바라보고, 특히 결혼하지 않는 사제나 수녀가 어떤 사람인지 궁금해합니다.

 

이곳 사람들은 대부분 농사(옥수수, , 카사바)를 짓고 가축(염소나 소)을 기르며 숯을 만들어 살아갑니다. 관계시설 미비로 농사는 비에 의존하고, 식수는 주로 빗물이 고인 웅덩이나 마을 공동 우물에서 조달하지만 많은 마을 주민들이 이용하다 보니 수급이 매우 어렵습니다. 한마디로 교육·보건·수도·전기시설 등 사회 기반 시설이 전체적으로 열악한 곳입니다.

 

제가 처음 선교를 시작할 당시에는 본당과 공소 2, 신자 가정 한 가족을 포함하여 100명 정도의 예비신자(대부분 초··고등학생)들이 있었습니다. 본당 부지에 천막을 지어 미사를 봉헌하고, 간단한 양철 지붕을 세워 교리실로 사용하였습니다. 또 세 번이나 계속된 우물 공사 실패에도 더 이상 다목적 강당과 사제관 공사를 미룰 수 없어 많은 은인들의 도움을 받아 2018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2019년에 완공하였습니다.

 

지금 아두는 본당과 공소 5, 유아세례를 포함하여 300여 명의 영세자들로 발전하였습니다. 또 소공동체와 성인들 제 단체, 교황청어린이전교회와 복사단, 성가대 등 다양한 단체를 통해 나름대로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본당 숙원사업인 우물 공사를 위해 본당 부지로부터 1km 떨어진 곳의 땅을 매입하여 우물을 파고 있습니다. 마침내 140m 깊이에서 물을 발견하여 어렵게 마무리 공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5년 동안 많은 이들의 기도와 도움으로 눈부신 성장을 이루어낸 기록을 사진과 함께 선교지에서의 일화와 선교 일기, 말씀 묵상을 모아 위로의 샘이라는 책에 담았는데요, 이 책이 케냐 아두 교회의 초기 역사가 되고 동시에 후배 선교사들이나 그리스도 신앙인들에게는 작은 나눔이 되길 바랍니다. 하지만 여기 아두 선교지가 나아갈 길은 아직도 멀기만 합니다. 그러나 주님의 뜻대로이루어지리라 믿고 모든 것을 주님께 맡깁니다. 생명수와도 같은 위로의 샘인 우물 공사가 마무리되기를 기도하면서 저는 오늘도 하루하루를 열심히 살아갑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89 2674호 2021.10.24  제3차 부산교구 평신도 아카데미에 초대합니다. 박시현 가브리엘라  76
288 2673호 2021.10.17  “수확할 것은 많은데 일꾼은 적다.”(루카 10,2) 최재석 사도요한  17
287 2671호 2021.10.03  레지오 마리애 설립 100주년 특집 (2) 가톨릭부산  31
286 2670호 2021.09.26  레지오 마리애 설립 100주년 특집 (1) file 가톨릭부산  111
285 2667호 2021.09.05  2021 사회교리학교 심화강좌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정의평화위원회  5
284 2666호 2021.08.29  부산가톨릭평화방송 유튜브 채널 콘텐츠를 소개합니다! file 부산가톨릭평화방송  13
283 2665호 2021.08.22  부산교구가톨릭대학생연합회를 아시나요? file 청소년사목국  14
282 2665호 2021.08.22  소공동체지 "함께" 활용 지침서 file 선교사목국  7
281 2656호 2021.06.20  나만의 ‘빨간 코트’를 찾아서 - 문화적 폭력을 넘어 평화로! 손서정 베아트릭스  20
280 2649호 2021.05.02  희망의 봄을 기다리며 길선미 미리암  39
279 2643호 2021.03.21  그리움이 향하는 곳 최영수 요셉  27
278 2640호 2021.02.28  3월 1일은 가경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 탄생 200주년 기념일 입니다. file 가톨릭부산  9
277 2639호 2021.02.21  프란치스코 교황 『Let us dream 꿈을 꿉시다!』 (2) 장재명 신부  9
276 2638호 2021.02.14  프란치스코 교황 『Let us dream 꿈을 꿉시다!』 (1) 장재명 신부  10
275 2637호 2021.02.07  베드로 형제님, 초대합니다! file 이동화 신부  2090
274 2637호 2021.02.07  주보 형식의 새로운 교재 file 청소년사목국  10
273 2636호 2021.01.31  “제가 있지 않습니까? 저를 보내십시오.” 이상경 부제  40
272 2636호 2021.01.31  교황님과 함께 기도합시다. <2021년 교황님 기도 지향> file 가톨릭부산  11
271 2635호 2021.01.24  새사제 모토 및 감사인사 file 가톨릭부산  34
» 2632호 2021.01.03  위로의 샘이 되어 주실래요? 이동욱 신부  18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