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수 | 2619호 2020.10.18 |
|---|---|
| 글쓴이 | 탁은수 베드로 |
“그 어느 때 보다 외롭다.”
탁은수 베드로 / 광안성당·언론인 fogtak@naver.com
타조는 맹수에 쫓기면 머리를 모래 속에 파묻는다고 합니다. 눈을 가려 위험을 아예 보지 않는 것으로 위안을 삼는 것이지요. 이를 빗대 ‘타조효과’란 말이 있습니다. 현실을 바로 보기보다 경고에 귀를 막고 위험을 회피하려는 현상입니다. 진실을 드러내기보다 자신의 입장만을 내세우는 현상으로는 ‘확증편향’이 있습니다.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는 태도입니다. 자기 눈의 들보는 보지 못하면서 남의 눈의 티를 보고 시비를 거는 것과 같습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과학문명과 경제 성장을 이룬 인류가 지구를 평정하고 인공지능과 생명공학을 통해 늙지 않고 죽지 않는 신의 영역까지 도전한다는 책들이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주장들이 코로나바이러스의 등장으로 치명타를 입었습니다. 인류는 지구의 지배자가 아니라 작은 바이러스의 출현에 평화로운 일상까지도 내놓아야 하는 나약한 존재임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오만과 욕심의 바벨탑을 쌓아 올리다 벼락을 맞은 꼴입니다. 지구 환경의 위기와 세계적 불평등에는 타조처럼 눈을 감고 과장된 풍요의 주장만 받아들인 확증편향의 결과가 아닐까요?
최근 교황께서 새 회칙 『모든 형제들』을 발표하셨습니다. 세계화는 우리를 이웃으로 만들긴 했지만 형제를 만들어 주진 않았다며 이웃이 아니라 형제로 살아가기를 권고하십니다. 개인적 차원의 사랑을 사회적 차원인 박애와 연대가 되도록 개방하고, 대립과 배제 대신 만남과 포용으로 공동의 집인 지구의 문제를 해결하자고 말씀하십니다. 코로나의 급습에 당황해하고 불평등과 환경 문제를 겪고 있는 인류에게 교황님께서 구체적 해결 방안을 짚어 주시는 것 같습니다. 이제 세상의 누구도 혼자일 수 없으며 공동체를 지키려는 서로의 노력 없이는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코로나를 막기 위해 마스크를 챙겨 쓰는 수고가 나와 다른 사람의 건강을 모두 챙기는 일이 되듯 말입니다. 보편된 교회임을 고백하는 가톨릭 교회는 이런 공동체적 삶의 모범이어야 합니다. 위험에 빠진 우리를 안타깝게 보시는 것 같아 교황님의 이 말씀이 저는 자꾸 마음에 남습니다. “개인의 이익만 강조하는 세상에서 우리는 그 어느 때 보다 외롭다.”
| 호수 | 제목 | 글쓴이 |
|---|---|---|
| 2897호 2025. 11. 9 | 2025년 부산교구 평신도의 날 행사에 초대합니다. | 추승학 베드로 |
| 2896호 2025. 11. 2 | 나를 돌아보게 한 눈빛 | 김경란 안나 |
| 2895호 2025. 10. 26 | 삶의 전환점에서 소중한 만남 | 김지수 프리실라 |
| 2893호 2025. 10. 12 | 우리는 선교사입니다. | 정성호 신부 |
| 2892호 2025. 10. 6 | 생손앓이 | 박선정 헬레나 |
| 2891호 2025. 10. 5 | 시련의 터널에서 희망으로! | 차재연 마리아 |
| 2890호 2025. 9. 28 | 사랑은 거저 주는 것입니다. | 김동섭 바오로 |
| 2889호 2025. 9. 21 | 착한 이의 불행, 신앙의 대답 |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
| 2888호 2025. 9. 14 | 순교자의 십자가 | 우세민 윤일요한 |
| 2887호 2025. 9. 7 |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마태 18,20) | 권오성 아우구스티노 |
| 2886호 2025. 8. 31 | 희년과 축성 생활의 해 | 김길자 베네딕다 수녀 |
| 2885호 2025. 8. 24 | 사랑에 나이가 있나요? | 탁은수 베드로 |
| 2884호 2025. 8. 17 | ‘옛날 옛적에’ | 박신자 여호수아 수녀 |
| 2883호 2025. 8. 15 | 허리띠로 전하는 사랑의 증표 | 박시현 가브리엘라 |
| 2882호 2025. 8. 10 | 넘어진 자리에서 시작된 기도 | 조규옥 데레사 |
| 2881호 2025. 8. 3 | 십자가 | 조정현 글리체리아 |
| 2880호 2025. 7. 27 | 나도 그들처럼 그렇게 걸으리라. | 도명수 안젤라 |
| 2879호 2025. 7. 20 | “농민은 지구를 지키는 파수꾼이자 하느님의 정원사입니다.” | 서현진 신부 |
| 2878호 2025. 7. 13 | 노년기의 은총 | 윤경일 아오스딩 |
| 2877호 2025. 7. 6 | 그대들은 내 미래요, 내 희망입니다. | 이나영 베네딕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