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름과 고자질?

가톨릭부산 2020.09.02 13:33 조회 수 : 25

호수 2613호 2020.09.06 
글쓴이 우종선 신부 

타이름과 고자질?

 
우종선 신부 / 남창성당 주임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은 우리들의 사고, 생각을 바꾸기를 원하십니다. 누구 하나 잘못되기를 원하시지 않는 분께서 가르침을 주고 계십니다. 우리는 주님의 가르침을 받들고 살아가야 하기에, 주님과 우리의 차이점을 알고 인정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중요합니다.
 
   “네 형제가 너에게 죄를 짓거든, 가서 단둘이 만나 그를 타일러라. 그가 네 말을 들으면 네가 그 형제를 얻은 것이다. 그러나 그가 네 말을 듣지 않거든 한 사람이나 두 사람을 더 데리고 가거라. ‘모든 일을 둘이나 세 증인의 말로 확정 지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가 그들의 말을 들으려고 하지 않거든 교회에 알려라. 교회의 말도 들으려고 하지 않거든 그를 다른 민족이나 세리처럼 여겨라. 너희가 무엇이든지 땅에서 매면 하늘에서도 매일 것이고, 너희가 무엇이든지 땅에서 풀면 하늘에서도 풀릴 것이다.”(마태 18,15~18)
 
   우리는 형제가 나에게 잘못하면, 미안해할까 봐 또는 심한 반발로 큰 싸움이 일까 봐 그냥 조용히 넘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형제를 포기해 버립니다. 두세 사람과 교회에 알리면 괜히 고자질한 것 같고, 그 형제의 반응은 “조용히 말해 주면 들었을 것을 왜 고자질하느냐?”고 말하고 기분 나빠합니다. 교회의 원로나 성직자들에게도 “당신들이 무슨 권한으로, 상관하지 말라.”고 하기도 합니다. 그 누구의 말도 듣지 않으면 이방인이나 세리처럼 여겨져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지 못하고 ‘영원한 생명’을 얻지 못한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그냥 내 방식대로 살면서 ‘하느님 나라’에 가기를 원합니다. 불가능한 일이지요.
 
   형제 여러분, 하느님은 모두를 사랑하십니다. 한 사람이라도 그 사랑에서 멀어진다면 하느님은 슬퍼하십니다. 따라서 우리는 주님의 가르침에 따라 살아가야 하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주님의 기도’를 가르쳐 주신 다음과, 오늘 복음 이후에 ‘용서’를 강조하고 계십니다. ‘용서’는 사랑하기 때문에, 사랑하고 사랑받기 위해서 꼭 해야 하는 것입니다. 사랑하고 용서하는 마음으로 형제의 잘못을 깨닫도록 타일러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 형제는 ‘사랑의 충고’를 ‘고자질’로 받아들이지 말고 진정 감사하는 마음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사랑하는 마음’으로  ‘매인 것’을 풀려고 노력해야 주님은 우리의 기도를 들어 주시며, 하느님 앞에서 진정한 ‘자유와 행복’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주님은 사랑이십니다.”
 
   형제 여러분, 하느님은 모두를 사랑하십니다. 한 사람이라도 그 사랑에서 멀어진다면 하느님은 슬퍼하십니다. 따라서 우리는 주님의 가르침에 따라 살아가야 하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주님의 기도’를 가르쳐 주신 다음과, 오늘복음 이후에 ‘용서’를 강조하고 계십니다. ‘용서’는 사랑하기 때문에, 사랑하고 사랑받기 위해서 꼭 해야 하는 것입니다. 사랑하고 용서하는 마음으로 형제의 잘못을 깨닫도록 타일러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 형제는 ‘사랑의 충고’를 ‘고자질?’로 받아들이지 말고 진심 감사하는 마음으로 받아 들여야 합니다. ‘사랑하는 마음’으로  ‘매인 것’을 풀려고 노력해야 주님은 우리의 기도를 들어 주시며, 하느님 앞에서 진정한 ‘자유와 행복’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주님은 사랑이십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630호 2020.12.27  ‘또 하나의 성가정’이 되고자 file 석판홍 신부 
2629호 2020.12.25  고통을 넘어 희망을 주시는 아기 예수님의 성탄 file 손삼석 주교 
2628호 2020.12.20  우리 함께 예수님께서 꾸셨던 꿈을 꾸어요. file 윤기성 신부 
2627호 2020.12.13  대림은 자선과 회개의 삶 file 주영돈 신부 
2626호 2020.12.06  대림절, 다시 시작되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file 이정민 신부 
2625호 2020.11.29  대림, 새색시가 새신랑을 맞이하듯이…. file 박상운 신부 
2624호 2020.11.22  믿고 희망하며 늘 사랑하고 더 사랑합시다! file 장재봉 신부 
2621호 2020.11.01  참행복을 누리는 성인이 됩시다 file 한건 신부 
2622호 2020.11.08  구원의 기름 file 윤정환 신부 
2623호 2020.11.15  나눔만이 우리를 우리답게 합니다. file 김윤태 신부 
2620호 2020.10.25  사랑, 이해부터 file 김경욱 신부 
2619호 2020.10.18  “정말 그것이 문제입니까?” file 이성주 신부 
2618호 2020.10.11  텅빈 잔치 file 김무웅 신부 
2617호 2020.10.04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file 박명제 신부 
2616호 2020.09.27  “이 둘 가운데 누가 아버지의 뜻을 실천하였느냐?” file 이장환 신부 
2615호 2020.09.20  나는 구세주가 우리 민족에 오시는 길을 닦겠습니다. file 서정웅 신부 
2614호 2020.09.13  내가 자비를 베푼 것처럼 file 박경빈 신부 
2613호 2020.09.06  타이름과 고자질? file 우종선 신부 
2612호 2020.08.30  하느님의 일과 사람의 일 file 장세명 신부 
2611호 2020.08.23  예수님 교회 file 윤희동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