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579호 2020.01.12 
글쓴이 조성제 신부 

 

이룸”(성취)말고 만남”(자비)이 전부인 삶

 

조성제 신부 / 명촌성당 주임

 

우리가 종종 전쟁 같은 도심 생활 속에 살다 보면, 서로가 서로에게 다시는 치유할 수 없는 상처를 입히기도 하고, 자신도 상처를 입으며 살기 마련입니다. 그러다보면 도무지 용서가 안 되는 사람이 생기기도 합니다. 그래서 스스로를 자책하며 용서하지 못하는 못난 인간으로 전락하곤 합니다. 이런 일을 겪다보면 상처를 주고받으면서 용서하고 화해하는 일이 인간의 힘만으로는 매우 힘들다는 것을 느낍니다. 그래서 용서! 화해! 사랑!은 애초에 인간의 능력을 넘어서 원래부터 하느님 자비의 영역임을 고백하게 됩니다. 더러, 이 하느님 영역에 도전하거나, 더 큰 상처를 입는가하면 더 위축되고 좌절과 미움만 쌓여 극단적으로 다중인격자로 변질되기도 합니다. 그러면 아예 용서와 화해를 포기해야 하는 것일까요?

 

오늘 주님 세례 축일은 그 답을 우리에게 제시합니다. 예수님의 세례! 세례의 의미가 답이라 십니다. “용서와 화해하려고 부족한 우리 힘 소진하지 말고, 내가 우리가 처음부터 하느님 자비 안에 사랑받는 존재임을 먼저 깨닫도록 하라.”고 말씀하십니다. “네게 처음부터! 어머니 모태 때부터 하느님의 사랑을 받고 있었다는 사실, 네가 쉬고 있는 들숨과 날숨, 한 숨조차도 하느님의 숨이라는 것을 느끼도록 하라.”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래서 우리는 받은 상처 생각 말고, 하느님의 사랑받는 자녀라는 사실을 기억하며 서로 입고 입힌 상처를 어루만지고 쓰담쓰담 위로해 주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나 때문에 입은 다른 교우의 상처는 우리 모두의 상처이며, 곧 나 자신의 상처입니다. 그 상처는 우리의 힘으로만 치유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 자신이, 다른 교우가 하느님의 사랑받는 자녀임을 기억해 낼 때! 비로소 치유될 수가 있습니다.

 

예수님 세례는 이렇게 지금 나에게! 하느님의 사랑을 느끼게 해 주는 성사이며 묻거나 따지지 않고, 조건을 걸지 않고 거저 주시는 성사인 것입니다.

 

우리가 받은 세례는 예수님 세례와 같이, 하느님의 자녀가 아닌 사람을 하느님의 자녀로 만들어 주는 마술이 아니라 우리가 본래부터 하느님의 아들, 딸임을 일깨워 주는 하느님의 선물입니다. 이 깨달음을 통해 우주의 먼지같은 존재인 우리는 자비로우신 하느님과 온전히 만나게 되고, 이 만남을 통해 우리는 생명과 평화를 얻게 될 것입니다.

 

 

호수 글쓴이
2580호 2020.01.19  하느님의 어린양 file 김두윤 신부 
2579호 2020.01.12  “이룸”(성취)말고 “만남”(자비)이 전부인 삶 file 조성제 신부 
2578호 2020.01.05  구유의 마지막 등장인물 file 박상대 신부 
2577호 2020.01.01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제53차 세계 평화의 날 담화 (요약) 프란치스코 교황 
2576호 2019.12.29  가정 - “생명과 사랑의 요람” file 신요안 신부 
2575호 2019.12.25  육화하신 하느님 사랑 file 권지호 신부 
2574호 2019.12.22  하느님께서 우리와 함께 계시다 file 최승일 신부 
2573호 2019.12.15  2019년 12월 15일 대림 제3주일(자선 주일) file 문성호 신부 
2572호 2019.12.08  회개는 어떤 것? 심순보 신부 
2571호 2019.12.01  깨어 있어라! file 이재만 신부 
2570호 2019.11.24  권력과 봉사 file 이기환 신부 
2569호 2019.11.17  “내 인생인데, 딴 데 가면 불편하다.” file 박용조 신부 
2568호 2019.11.10  줄탁동시 file 김영곤 신부 
2567호 2019.11.03  주님과의 은혜로운 만남을 위한 욕심의 장벽 허물기 file 이기정 신부 
2566호 2019.10.27  바리사이의 기도와 세리의 기도 file 김석중 신부 
2565호 2019.10.20  전하면서 배우고 배우면서 전합니다 file 노영찬 신부 
2564호 2019.10.13  감사하는 마음의 필요성 file 김평겸 신부 
2563호 2019.10.06  묵주 기도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께 교구를 봉헌하면서 file 김영호 신부 
2562호 2019.09.29  예수님 사랑 깨닫기 file 김두완 신부 
2561호 2019.09.22  십자가는 고통이 아니라 하느님의 뜻을 따르는 것 file 정영한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