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안에 머무는 것

가톨릭부산 2020.01.08 11:02 조회 수 : 18

호수 2579호 2020.01.12 
글쓴이 윤경일 아오스딩 

사랑 안에 머무는 것

 

윤경일 아오스딩 / 좌동성당·의료인 ykikhk@hanmail.net

 

밤하늘에는 밝은 빛을 내는 북극성과 같은 별도 있지만 어둡고 작은 이름모를 별들이 무수히 많습니다. 별이 반짝이는 것은 나 여기에 있어요.’라고 자신을 알리는 몸짓이라고 여겨봅니다. 몸짓을 드러내지 않는 별들은 몸짓을 드러내는 별에게 스스로 어두워지고 작아짐으로써 밝은 별이 더 광채가 나도록 배경이 되어 주고 있는 것이지요.

 

꽃의 삶도 그렇습니다. 사람들에게 듬뿍 사랑받는 장미와 백합이 있는가 하면 들판에서 홀로 피는 꽃들이 무수히 많습니다. 향기를 내뿜는 꽃은 전체 꽃의 1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예쁘지도 않고 향기도 나지 않는 꽃은 버림받은 꽃일까요? 그렇다면 꽃이 되지도 못한 잎사귀들은 얼마나 가엾은 존재인가요. 정말로 중요한 것은 겉으로 드러나기보다 안으로 숨겨져 있다는 사실입니다. 잎들이 탄소동화작용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해 주지 않는다면 장미과 백합이 어떻게 필 수 있겠습니까.

 

숲속을 걷다 보면 시냇물 흐르는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물 속에 깔려있는 조약돌들을 걷어내 버린다면 졸졸거리는 물소리는 그만 사라지고 말 것입니다. 보잘것없어 보이는 작은 돌이지만 흐르는 물과 어우러져 상큼한 화음을 만들어 냅니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치고 하찮은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모두가 소중하고 필요한 존재들이지요.

 

이름 없는 별, 무수한 잎, 조약돌은 모두 배경적 존재들입니다. 대상은 돋보이지만 배경은 조용히 품어줍니다. 그럼, 사람들 사이는 어떤가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상이 되기를 원하지 배경 역할은 맡으려 하지 않습니다. 관심의 대상이 되기 위해 경쟁을 하게 되고 그러다 보면 서로 간에 틈이 생기고 벽이 쌓여갑니다. 무엇으로 벌어진 틈을 메우고, 두껍게 쌓인 벽을 허물 수 있을까요? 그 대답은 사랑 안에 머무는 것입니다.

 

하느님께서 먼저 우리를 사랑하셨으므로 우리는 그분 사랑의 화답으로 서로 사랑을 해야 합니다. “사랑 안에 머무는 사람은 하느님 안에 머물고 하느님도 그 사람 안에 머무십니다.”(요한 4,16) 사랑 안에 머무는 사람이란, 밤하늘에 빛나는 별과 정원에 이름답게 핀 꽃만 되려고 하기보다는 때로는 조용히 그 배경이 되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 생각해 봅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865호 2025. 4. 13.  다시 오실 주님을 기다리며 안덕자 베네딕다 
2864호 2025. 4. 6.  최고의 유산 양소영 마리아 
2863호 2025. 3. 30.  무리요의 붓끝에서 피어나는 자비의 노래 박시현 가브리엘라 
2862호 2025. 3. 23.  현세의 복음적 삶, 내세의 영원한 삶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861호 2025. 3. 16.  ‘생태적 삶의 양식’으로 돌아가는 ‘희망의 순례자’ 박신자 여호수아 수녀 
2860호 2025. 3. 9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2025년 사순 시기 담화 프란치스코 교황 
2859호 2025. 3. 2  ‘나’ & ‘우리 함께 together’ 김민순 마리안나 
2858호 2025. 2. 23.  예수님 깨우기 탁은수 베드로 
2857호 2025. 2. 16  “내가 너를 지명하여 불렀으니 너는 나의 것이다.”(이사 43,1) 최경련 소화데레사 
2856호 2025. 2. 9.  우리는 낙심하지 않습니다. 안경숙 마리엠마 수녀 
2855호 2025. 2. 2  2025년 축성 생활의 날 담화 유덕현 야고보 아빠스 
2854호 2025. 1. 29  이 겨울의 시간 윤미순 데레사 
2853호 2025. 1. 26  우리가 사랑할 때 윤경일 아오스딩 
2852호 2025. 1. 19  2027 세계청년대회 WYD가 시작되었습니다! file 한미현 에스텔 
2851호 2025. 1. 12  우리와 같으신 그분 강은희 헬레나 
2850호 2025. 1. 5  새 마음, 새 각오 원성현 스테파노 
2848호 2024. 12. 29  우리 가정에 예수님 모시기 이준혁 사무엘 & 강선희 루치아 
2846호 2024. 12. 22  들음의 성모님을 만나다 오지영 젬마 
2845호 2024. 12. 15  나의 신앙 일지 서현우 요셉 
2844호 2024. 12. 8  “그 누구도 죽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이영훈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