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8일 부활 제3주간 목요일 미사 강론

천주교 부산교구 김해성당 이균태 안드레아



     노자 성체라는 말을 들어 본적이 있을 것이다. 여행 갈 때에 여비가 필요하듯이, 저승길 갈 때에, 노잣돈이 필요하다는 데에서 나온 말이다. 신자들 중에는 죽기 직전에 반드시 노자 성체를 받아 모셔야만, 그 성체 덕분에 영벌을 면한다고 믿는 이들이 있다. 노자 성체를 모시지 못하고 죽으면, 연옥에서 엄청난 고생을 한다고 믿는 이들도 있다. 죽기 전에 몇 년을 냉담을 하고, 수많은 죄를 지으며 살다가도, 죽기 직전에 종부 성사를 받고, 노자 성체를 받아 모시면, 영벌을 면할 거라고 믿는 이들도 있다. 종부 성사 받고, 노자 성체 받아 모시는 것이 무슨 천국행 티켓을 받는 것인 양 생각하는 민간 신앙의 영향 탓이다. 

     
노자 성체를 영했다고 해서 구원을 받고, 노자 성체를 영하지 못했다고 해서 구원을 받지 못하는 것이 아니다. 죽어서 주님을 직접 만나 뵈오면, 주님께서 « 입 벌려 봐라 » 하시겠는가? 그래서 성체가 입 안에 남아 있으면, 구원을 받고, 성체가 없으면, 구원을 받지 못하는 것인가? 말도 안 되는 소리다. 죽기 전에 노자성체를 모신다는 것은 죽음에 이르기까지,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자신 안에 모시겠다는 자신의 신앙고백에 다름 아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께서는 이런 말씀을 하신다. «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 있는 빵입니다. 누구든지 이 빵을 먹으면 영원히 살 것입니다. 내가 줄 빵은 세상에 생명을 주는 나의 살입니다 » 그리스도교 신자가 되려면 식인종이 되어야 한다는 말일까 ? 

     
교리 공부 열심히 한 사람은 그 빵이라는 것이 성체를 의미한다고 말한다. 한편으로는 맞는 말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그 빵을 먹기만 하면 영원히 사는 것은 아니다. 제아무리 불노장생의 영약을 먹은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결국은 죽는다. 제 아무리 좋은 약을 먹은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그 약을 통해서 건강을 회복했다 하더라도, 회복한 건강을 잘 유지하고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으면, 결국 또다시 건강을 나빠지게 되어 있는 것이 세상의 이치다. 

     
죄라는 죄는 다 지으며 살면서도, 성체만 받아 모시기만 하면, 영원히 산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소리다. 주님께서 당신을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 있는 빵이라고, 당신이 주실 빵은 세상에 생명을 주는 당신의 살이라고 말씀하시는 것은 당신 자신을 온전히 내어 놓을 만큼 세상을 사랑하고 있다는 말씀이고, 당신께서 그렇게 세상을 사셨듯이, 당신을 주님이라고 고백하는 이들, 당신의 성체를 받아 모시며 살아가는 이들도 당신께서 세상을 위해, 세상에 생명을 주기 위해 당신의 살을 내어 놓으셨듯이, 그렇게 살라는 말씀이다. 

     
주님께서는 우리들에게 이런 말씀을 하셨다. « 나더러 주님, 주님 한다고 모두 하늘 나라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오.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을 실행하는 이라야 들어갑니다 ». 아빠 하느님의 뜻, 그것은 아들 하느님께서 당신의 전 존재를 통해서 보여 주셨던 사랑의 삶이다. 그런 삶을 살기가 쉽지 않음을 우리는 이미 잘 안다. 그런 힘든 삶을 한번 살아 보고 싶다고 마음을 굳게 먹고, 어금니를 깨물고, 두 주먹을 불끈 쥐어 보지만, 이내 얼마 가지 않아 그 마음먹은 것들이 흐트러지는 자신을 쉽게 발견하는 우리이다. 때로는 내가 신자만 아니라면, 차라리 예수를 몰랐더라면, 하는 말들이 목젖에까지 차오름을 느끼기도 하는 우리다. 

     
그러나, 이런 우리임에도 불구하고, 사람이 되신 하느님은 몸소 허리를 굽혀 우리들의 발을 씻기셨다. 그리고 우리더러 « 내가 이렇게 여러분을 사랑했으니, 여러분도 서로 그렇게 사랑하시오 »라고 말씀하시면서, 그 사랑이 실현될 수 있는 힘을 낼 수 있도록 우리들에게 당신의 몸과 피까지도 내어 놓으셨다. 하느님이 밥이 되어 우리에게 먹히러 오셨다. 하느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는데, 무엇이 두렵겠는가 

          사랑하는 김해성당 형제 자매 여러분, 

     오늘 제1독서에 나오는 « 여기에 물이 있습니다. 내가 세례를 받는 데에 무슨 장애가 있겠습니까 ? »라는 에티오피아의 내관의 말이 우리들의 말이 되기를 바래 본다 : « 언제나 나와 함께 하시는 주님이 계시는데, 그 주님이 나에게 성체로 오셔서 나를 먹여 살리고 있는데, 내가 주님의 빵으로서 이 세상에 먹히는데, 내가 주님의 몸이 되어 이 세상을 사랑하는데, 무슨 장애가 있겠습니까 ? » 이 바램에 함께 동참하지 않으시겠는가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8 2025년 8월 이전 2025년 5월 18일 부활 제5주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7.19 11
437 2025년 8월 이전 2025년 5월 17일 부활 제5주일 주일학교 학생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7.19 4
436 2025년 8월 이전 2025년 5월 16일 부활 제4주간 금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7.19 0
435 2025년 8월 이전 2025년 5월 15일 부활 제4주간 목요일 미사 강론(정창식 신부)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7.19 2
434 2025년 8월 이전 2025년 5월 15일 부활 제4주간 목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7.19 2
433 2025년 8월 이전 2025년 5월 14일 수요일 성 마티아 사도 축일 미사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7.19 0
432 2025년 8월 이전 2025년 5월 13일 부활 제4주간 화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7.19 0
431 2025년 8월 이전 2025년 5월 12일 부활 제4주간 월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7.19 0
430 2025년 8월 이전 2025년 5월 11일 부활 제4주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7.19 1
429 2025년 8월 이전 2025년 5월 9일 부활 제3주간 금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7.19 0
» 2025년 8월 이전 2025년 5월 8일 부활 제3주간 목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7.19 0
427 2025년 8월 이전 2025년 5월 7일 부활 제3주간 수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7.19 0
426 2025년 8월 이전 2025년 5월 6일 부활 제3주간 화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7.19 0
425 2025년 8월 이전 2025년 5월 5일 부활 제3주간 월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7.19 2
424 2025년 8월 이전 2025년 5월 4일 부활 제3주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7.19 0
423 2025년 8월 이전 2025년 5월 2일 금요일 성 아타나시오 주교 학자 기념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7.19 0
422 2025년 8월 이전 2025년 5월 1일 목요일 노동자 성 요셉 기념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7.19 0
421 2025년 8월 이전 2025년 4월 30일 부활 제2주간 수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7.19 1
420 2025년 8월 이전 2025년 4월 29일 화요일 시에나의 성녀 카타리나 동정 학자 기념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7.10 5
419 2025년 8월 이전 2025년 4월 28일 부활 제2주간 월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7.10 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