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7권 헷갈리는 게 너무 많아요

 

 

희망으로 달리기

 

313. 2021년은 김대건 신부님 탄생 200주년으로 희년이 선포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희년을 잘 보낼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314. 기도 중에 어떤 생각이 자꾸 떠오릅니다그럴 때 그것이 제 뜻인지 하느님의 뜻이지 구분을 할 수가 없어서 답답합니다그래서 제 뜻이라면 제발 그 생각을 멈추게 해달라고 기도합니다그런데 멈추어지지가 않고 이제는 기도 때만 아니라 하루 종일 생각할 때도 있습니다제 뜻과 주님의 뜻을 어떻게 구분할 수가 있을까요?

 

315. 마음속으로 상대를 비교하며 수없이 판단했습니다죄는 밖으로 드러나 행동으로 표현되는 것이라 하던데마음속으로 짓는 생각의 죄는 어떻게 됩니까혹시 죄가 아닌가요?

 

316. 지는 게 싫었고 능력 있는 친구를 보면 미웠고 이기기 위해 노력했습니다그런데 예능전공이라서 의사 친구들보다 못한 처지로 살게 되다니하느님은 너무 불공평합니다하느님께서 옆에 있음 진짜 한 대 확 때리고 싶습니다.

 

317. 시어머니의 행동 때문에 정말 힘이 듭니다모두가 잘못된 행동이라고 수군대는데도 당신만 모르시니 심히 딱합니다그래서 만류하면 호통이 떨어지니 더욱 난감합니다주위에서는 몰라서 하시는 행동이니 너무 신경 쓰지 마라고 합니다어떻게 하는 것이 자식된 도리일까요?

 

318. 어머니여동생과 갈등과 불화를 겪고 있습니다가족에게 환영받지 못하는 저를 주님은 제 치부를 들추지 않고 괜찮다고사랑한다고 안아주셨습니다그래서 성당에서는 너무 행복하고 평화롭습니다하지만 집에서는 여전히 죄인이고 분노의 대상입니다.

 

319. 복사도 하고 착하기만 하던 아이가 중학생이 된 후에는 왜 종교를 강요하느냐?”며 따집니다무어라 답을 해야 좋을지 모르겠고 속상합니다.

 

320. 세무사 시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그런데 복음서에 세리라는 직업에 대해 굉장히 부정적으로 묘사되어 있는 것을 보고 고민이 됩니다세무관련 직업이 자본주의의 핵심에 해당되고 왠지 주님께서 그리 좋아하지 않으실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321. 최근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에 부업을 하고 있습니다근데 이 일이 공정하지도 않고 정의롭지도 못하다는 생각이 듭니다돈을 생각하면 이 일을 해야 하고계속 하자니 주님의 노여움을 피할 수 없을 것 같고……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322. 사실 이번이 처음 개명이 아닙니다첫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아 순간적으로 앞뒤 구분 없이 무속인에게 작명을 받아서 개명을 하였지요마음에 들지 않는 이름을 벗어버리고 새 삶을 살아간다고 생각하니 마냥 미래가 밝고 행복할 줄 알았습니다하지만 어느 날 미신을 믿고 내 소중한 이름을 바꾼 것도 모자라 그 이름으로 성당을 다니고 일상생활을 하려 했던 제 자신이 한없이 부끄러워지더군요하루 빨리 이 이름을 떨쳐 버려야겠단 마음에 신부님께 부탁을 드립니다

 

323. 미사참례 중에 다리를 포개고 앉아 있는 교우를 흔히 봅니다어른 앞에서도 그러지 않는데하물며 하느님의 제사에 참례하면서 어떻게 이럴 수가 있는지…… 꾸짖게 됩니다.

 

324. 스마트 폰으로 성경을 읽다가 성경책을 안 가지고 다니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을 당했습니다너무 당황하여 난생 그렇게 얼굴 붉어지기는 처음이었습니다스마트폰으로 성경을 읽는 것이 잘못입니까?

 

325. 막내며느리가 될 집안은 독실한 개신교입니다결혼하면 격주로 번갈아서 교회와 성당을 가자고 언약했다는데관면 혼배 등의 절차를 어떻게 해야 가장 현명한 일일지 알고 싶습니다

 

326. 악한 사람을 동물 같다고 표현하는 것이 불만입니다제가 키우는 강아지는 너무나 착하고 예쁜데 어떻게 그런 표현을 사용할까요?

 

327. “(당신은 4 이내에  메시지 20통을 가족이나 친구에게 또는 아는 사람에게 보내면당신은 4일 전에 놀라운 사실을 들을 것입니다. (귀찮더라도 이행하세요!” 이런 비슷한 문자를 신앙심이 깊다는 사람도 자꾸 보내와 이젠 내가 틀렸나 하는 의구심도 듭니다.

 

328. 강의에서 우리에게 일정량의 분노는 있어야 한다죄라고 생각 말고 하느님이 주신 감정임을 기억하여 스스로를 방어하는 수단과 에너지로 사용해야 한다라는 말씀을 들었습니다분노가 죄인지 아닌지를 구별하는 방법이 무엇인지어떻게 참아내야 할지조언을 구합니다.

 

329. 육신의 부활을 믿기에 화장을 금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어머니의 유지에 따라서 화장을 선택한 일이 마음에 걸립니다.

330. 가경자 최양업 신부님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324. 스마트 폰으로 성경을 읽다가 성경책을 안 가지고 다니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을 당했습니다. 너무 당황하여 난생 그렇게 얼굴 붉어지기는 처음이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성경을 읽는 것이 잘못입니까?

 

스마트폰으로 읽는다고 하느님의 말씀이 변질하는 것도 아닌 만큼, 당황스러웠을 자매님의 처지가 십분 이해됩니다.
아울러 젊은이들에게는 간편하고 신속하게 주님의 말씀과 친해질 수 있는 방편으로 스마트폰 성경 읽기를 적극적으로 권장하는 것도 좋을 것이라 여깁니다.
그럼에도 사제단 연수에서 젊은 사제들이 스마트 폰으로 성무일도서를 하는 모습에서 강렬한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나는군요.
그리고 일일이 양피지에 필사하던 성경이 종이에 인쇄되어 나왔을 때,
많은 사람이 종이에 인쇄된 것은 성경일 수 없다는 거부감에 시달렸다는 옛날 얘기도 생각납니다.
문화는 명사가 아니라 동사라는 말이 있듯이 세상은 변화하며 발전합니다.
악이 아니라면 변화를 수용하는 열린 마음이 필요한 이유겠지요.
그럼에도 서로가 상대를 사랑으로 대하는 덕목이 가장 소중합니다.
이 최고의 진리를 벗어나면 모두 자기주장일 뿐입니다.
사사건건, 일상 속에서 속 좁게 삐딱하게, 치사하고 저급하게 살게 만들려는 사탄의 계략입니다.
무안했던 마음을 털고 외려 이해하고 포용하는 마음을 챙기면 좋겠습니다.
상대의 행위에 일희일비하지 않는 것,
뱀처럼 슬기롭게살아가는 지혜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2 33.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①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6 41
241 22. 우리는 모두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3 41
240 343. 하느님은 사랑이라고 하셨는데 천주교 신자들은 너무 쌀쌀 맞습니다. 심신단체도 권위적이고 계급사회 같아 상처를 많이 받았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9 40
239 318. 어머니, 여동생과 갈등과 불화를 겪고 있습니다. 가족에게 환영받지 못하는 저를 주님은 제 치부를 들추지 않고 괜찮다고, 사랑한다고 안아주셨습니다. 그래서 성당에서는 너무 행복하고 평화롭습니다. 하지만 집에서는 여전히 죄인이고 분노의 대상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2 40
238 297. 성경을 효율적으로 읽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에는 어떤 성경을 선택하면 좋을까요? 신부님께서 기쁠 때와 슬플 때 용기가 필요할 때에 읽고 도움을 얻는 성경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39
237 275. 신부님 저는 미사 시간에 주로 눈을 감고 집중을 합니다. 그런데 성찬례 때도 눈을 감고 하는데 이것이 틀린 건가 싶어서요. 사실 눈을 뜨고하니 사람들의 움직이는 여러 가지 것들에서 분심이 생기더라구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39
236 219. 주일미사 예물 봉헌 시간에 평신도는 예물 봉헌을 하는데 신부님이나 수녀님들은 예물 봉헌을 하는 것을 보질 못했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성직자나 수도자들은 몸과 마음을 주님께 봉헌하셨기 때문이라고 이해를 하고 싶은데 제 생각이 맞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39
235 168. 저희 가족이 함께 구일기도를 올리는 중입니다. 청원기도를 마치고 감사기도를 시작했는데 여의치 않는 사정으로 하루가 빠졌습니다.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나요? 아버지 혼자서 기도하셨다고 하지만 가족이 같이 바쳤던 기도라 자꾸 찜찜한 기분이 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39
234 59. 주일미사에서는 봉헌을 하는데 평일에는 왜 봉헌을 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5 39
233 95. 성경이 여러 권 있는데도 굳이 새 성경을 구입해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6 38
232 87. 성모님을 믿지 않으면서 성모님께 기도를 하는 것은 모순이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8 38
231 ​​​​​​​77. 고3입니다. 미사에 빠지지 않기 위해 애쓰지만, ‘공부하지 않는 학생’으로 취급당할 때는 힘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6 38
» 324. 스마트 폰으로 성경을 읽다가 성경책을 안 가지고 다니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을 당했습니다. 너무 당황하여 난생 그렇게 얼굴 붉어지기는 처음이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성경을 읽는 것이 잘못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8 37
229 64. 고해를 한 후에도 예전과 달라지지 않는데, 거듭 고해를 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1 37
228 기도드리며 다시 묶어바칩니다. 장재봉 신부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4 36
227 75. 기도 후에는 꼭 “주님의 이름으로”, 혹은 “예수님을 통하여”라는 말을 붙여야 합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4 36
226 339. 주일학교 교사입니다. 방학 때에는 어린이 미사를 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의견이 있습니다. 물론 “부모님과 주일미사에 참여해야 한다”는 당부를 하지만 부모님이 신자가 아닌 아이들의 처지는 난처해집니다. 오히려 방학에는 미사 개근상을 만들어서 열악한 환경의 아이들에게 활기를 주고 싶은 것이 제 개인적인 소망입니다. 얼마 전 주일학교 방학소식에 ‘아쉬워 서글픈’ 표정을 짓던 아이의 눈망울을 잊을 수가 없어서 이 글을 올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5 35
225 169. 묵주기도의 매 단이 끝날 때마다 구원송을 바치는데 이 정체불명의 기도문을 공식전례에서 사용하는 점이 의문스럽습니다. (문제 32)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35
224 93. 복음서에는 “예수님의 형제들이 예수님을 만나기 위해 찾아왔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성모님께서 '평생' 동정이 아니라는 뜻으로 읽게 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4 35
223 97. 1년 전, 성경필사를 시작했는데 끝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성이 부족한 것일까요? 도와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9 3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