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6권 이런 질문해도 되나요?” 


 

신앙생활이 정말 헷갈립니다.


 

265. 2014년 전례력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3월 4일 연중 제8주간이 화요일에 끝나고 재의 수요일을 시작으로 사순 시기에 들어간 것은 이해가 되는데요사순과 부활 시기에 이어 시작된 연중 시기즉 6월 9일이 연중 제10주간으로 되어 있습니다연중 9주간은 어디로 사라졌나요?

266. “프리메이슨이라는 단체가 무엇입니까유럽의 교회가 그 영향으로 잘못된 길에 들어섰던 연유도 알고 싶습니다.

267. 어떻게 하느님의 목소리를 알아 들을 수 있을까요어떤 방식으로 응답해 주시는 걸까요응답해 주시는 것을 모르고 지나친 건 아닐까요?

268. 개신교 복지관에서는 매일 기도 모임을 갖고 매달 전 직원이 공동예배를 드립니다가톨릭 신자로서 그 모임과 예배에 참석은 하지만 따로 기도합니다제가 직장을 잘못 선택했나요?

269. 세상을 살아가는데 유혹이 없을 수가 없지 않나요어찌해야 좋을지 난감합니다.

270. 자녀 결혼식 날짜를 받은 이후에는 남의 집 행사에 참석하면 복을 뺏긴다는 말을 들었습니다장례식은 궂은 일이라 더 피해야 한다는데요하느님께서 주신 모든 날이 복된 날이고좋은 날이라 생각하면서도 자식을 아끼는 마음에서 망설여집니다현명한 선을 그어주세요.

271. 우리 조상들의 부엌 신뒷방 신 등을 모시는 것과 가톨릭에서 직업의 주보성인이나 본당성인을 정하여 공경하는 일이 어떻게 다른가요?

272. 신부님께서 연도(제사)를 망자의 사망일에 맞춰 지내라 하십니다하지만 통상적으로 제사는 사망 하루 전날에 지내지 않습니까?

273. 제 세례명이 '마리아'인데 저희 아들은 '요셉'입니다주위에서 모자의 세례명이 어색하다 합니다고쳐줄까요?

274. 친정 어머니께서 비르지타 15기도를 열심히 바치십니다구원을 약속하신 15인에 사위도 포함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275. 신부님 저는 미사 시간에 주로 눈을 감고 집중을 합니다그런데 성찬례 때도 눈을 감고 하는데 이것이 틀린 건가 싶어서요사실 눈을 뜨고하니 사람들의 움직이는 여러 가지 것들에서 분심이 생기더라구요.

276. 타종교인과 대화를 해보면 종교간의 소통은 요원하다는 생각이 듭니다타 종교인과는 논쟁만 가능할 것 같습니다.

277. 구약의 하느님과 신약의 예수님의 가르침이 다르다는 생각이 듭니다구약의 하느님은 악인을 멸하고 그분께 원수되면 모조리 없애는 폭력을 사용하셨는데 예수님은 원수도 사랑하라고 우리에게 죄지은 자를 용서해주라고 요구합니다동일한 하느님인지 헷갈립니다.

278. 주일미사에 참석하지 못해서 교회에 가면 성사를 안 봐도 되나요? ‘교회의 법일뿐이기에 같은 하느님 믿는 개신교의 예배에 참석하면 고해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정말 그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279. 29세 청년입니다늘 지고 양보하고 남을 배려하며 살았습니다타협적이고 주체성 없는 모습이라서 싫습니다이름 탓은 아니겠지만 새로 시작하는 의미에서 바꾸고 싶은데신부님께서 지어주실 수 있나요?

 

275. 신부님 저는 미사 시간에 주로  감고 집중을 합니다. 그런데 성찬례 때도 눈을 감고 하는데 이것이 틀린 건가 싶어서요. 사실 눈을 뜨고하니 사람들의 움직이는 여러 가지 것들에서 분심이 생기더라구요

 

주님을 온 마음으로 모시려는 자매님의 열정이 고맙습니다.
그럼에도 자꾸 분심이 들어서 눈을 감아야 미사에 집중할 수 있다니, 안타깝습니다.
생각컨데 분심은 십중팔구 누군가의 맘에 들지 않는 표정이나 자세때문이리라 짐작이 됩니다.
반갑고 어여쁜 사람 때문에 생길 리가 만무하니 말입니다.
그런 까닭에 자기 최면을 걸 듯 눈을 감고서 홀로 미사에 집중하려고 애를 쓰기보다는 누군가가 싫고’ ‘밉고’ ‘마음에 들지 않아서돋아난 마음 뾰루지부터 치료하는 것이 급선무라는 것을 말씀 드립니다.
미사에서의 분심은 반드시 척결시켜 할 신앙인의 악습입니다.
성령께 간곡히 기도해야할 사항입니다.
흩어져 달아나는 마음과 외람된 생각에 붙들리곤 하는 잡념을 싹 씻어내어 주님께로 고정시켜주시기를 청하십시오.
사제는 공동체를 대표하여 전례를 거행합니다.
그런만큼 미사에서는 본인의 집중도와 함께 교회 공동체 구성원으로써의 역할 또한 매우 소중합니다.
공동체적 전례인 미사에서 주로 눈을 감고 집중하는 모습은 지양되어야 합니다.
미사는 홀로 심취하는 개인 신심행위가 아닙니다.
주님 공동체의 일원으로 함께 하는 전례의 기쁨을 만끽하게 되시길 기도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2 33.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①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6 41
241 22. 우리는 모두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3 41
240 343. 하느님은 사랑이라고 하셨는데 천주교 신자들은 너무 쌀쌀 맞습니다. 심신단체도 권위적이고 계급사회 같아 상처를 많이 받았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9 40
239 318. 어머니, 여동생과 갈등과 불화를 겪고 있습니다. 가족에게 환영받지 못하는 저를 주님은 제 치부를 들추지 않고 괜찮다고, 사랑한다고 안아주셨습니다. 그래서 성당에서는 너무 행복하고 평화롭습니다. 하지만 집에서는 여전히 죄인이고 분노의 대상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2 40
238 297. 성경을 효율적으로 읽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에는 어떤 성경을 선택하면 좋을까요? 신부님께서 기쁠 때와 슬플 때 용기가 필요할 때에 읽고 도움을 얻는 성경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39
» 275. 신부님 저는 미사 시간에 주로 눈을 감고 집중을 합니다. 그런데 성찬례 때도 눈을 감고 하는데 이것이 틀린 건가 싶어서요. 사실 눈을 뜨고하니 사람들의 움직이는 여러 가지 것들에서 분심이 생기더라구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39
236 219. 주일미사 예물 봉헌 시간에 평신도는 예물 봉헌을 하는데 신부님이나 수녀님들은 예물 봉헌을 하는 것을 보질 못했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성직자나 수도자들은 몸과 마음을 주님께 봉헌하셨기 때문이라고 이해를 하고 싶은데 제 생각이 맞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39
235 168. 저희 가족이 함께 구일기도를 올리는 중입니다. 청원기도를 마치고 감사기도를 시작했는데 여의치 않는 사정으로 하루가 빠졌습니다.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나요? 아버지 혼자서 기도하셨다고 하지만 가족이 같이 바쳤던 기도라 자꾸 찜찜한 기분이 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39
234 59. 주일미사에서는 봉헌을 하는데 평일에는 왜 봉헌을 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5 39
233 95. 성경이 여러 권 있는데도 굳이 새 성경을 구입해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6 38
232 87. 성모님을 믿지 않으면서 성모님께 기도를 하는 것은 모순이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8 38
231 ​​​​​​​77. 고3입니다. 미사에 빠지지 않기 위해 애쓰지만, ‘공부하지 않는 학생’으로 취급당할 때는 힘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6 38
230 324. 스마트 폰으로 성경을 읽다가 성경책을 안 가지고 다니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을 당했습니다. 너무 당황하여 난생 그렇게 얼굴 붉어지기는 처음이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성경을 읽는 것이 잘못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8 37
229 64. 고해를 한 후에도 예전과 달라지지 않는데, 거듭 고해를 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1 37
228 기도드리며 다시 묶어바칩니다. 장재봉 신부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4 36
227 75. 기도 후에는 꼭 “주님의 이름으로”, 혹은 “예수님을 통하여”라는 말을 붙여야 합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4 36
226 339. 주일학교 교사입니다. 방학 때에는 어린이 미사를 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의견이 있습니다. 물론 “부모님과 주일미사에 참여해야 한다”는 당부를 하지만 부모님이 신자가 아닌 아이들의 처지는 난처해집니다. 오히려 방학에는 미사 개근상을 만들어서 열악한 환경의 아이들에게 활기를 주고 싶은 것이 제 개인적인 소망입니다. 얼마 전 주일학교 방학소식에 ‘아쉬워 서글픈’ 표정을 짓던 아이의 눈망울을 잊을 수가 없어서 이 글을 올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5 35
225 169. 묵주기도의 매 단이 끝날 때마다 구원송을 바치는데 이 정체불명의 기도문을 공식전례에서 사용하는 점이 의문스럽습니다. (문제 32)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35
224 93. 복음서에는 “예수님의 형제들이 예수님을 만나기 위해 찾아왔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성모님께서 '평생' 동정이 아니라는 뜻으로 읽게 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4 35
223 97. 1년 전, 성경필사를 시작했는데 끝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성이 부족한 것일까요? 도와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9 3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