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5권 이건 알아두세요” 


 

이렇습니다


 

210. “사람의 아들을 거슬러 말하는 자는 모두 용서받을 것이다그러나 성령을 모독하는 말을 하는 자는 용서받지 못할 것이다”(루카 12,10)라는 말씀이 어렵습니다.

211. 세례의 은총으로 신앙생활은 충분한데굳이 견진을 받아야 합니까(문제 37)

212. 성탄절과 다르게 부활절은 매년마다 날짜가 바뀌는데 그 날짜 계산법은 어떻게 되나요? (문제 38)

213. 김대건 신부님의 축일이 왜 7월 5일인지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려 주세요(문제 39)

214. 예전에는 8월 15일을 성모몽소승천 대축일이라는 말을 사용한 것으로 기억합니다몽소의 뜻을 알고 싶습니다.

215. 성경에는 성모몽소승천에 관한 언급이 전혀 없지 않습니까?

216. 대천사들은 실존 인물이 아닌데어떻게 축일이 있습니까?

217. 사순 시기라도 주일은 작은 부활이라 십자가의 길 기도를 하지 않는다고 배웠습니다그런데 신자들이 주일날 바쳐도 신부님과 수녀님께서 묵인하십니다

218. ‘자비의 예수님’ 성화에는 예수님 가슴에서 붉고 푸른 빛이 나오는 것이 그려져 있는데 어떤 의미입니까?

219. 주일미사 예물 봉헌 시간에 평신도는 예물 봉헌을 하는데 신부님이나 수녀님들은 예물 봉헌을 하는 것을 보질 못했습니다제 생각으로는 성직자나 수도자들은 몸과 마음을 주님께 봉헌하셨기 때문이라고 이해를 하고 싶은데 제 생각이 맞는지요?

220. 미사예물을 바치지 않고서도 미사 중에 죽은 영혼을 위해 간절히 기도하면 연미사가 됩니까?

221. 하느님께서 죄인을 끝까지 사랑하신다는 점은 이해되지만예수님도 사람들의 잘못을 냉정하게 나무라지 않았습니까?

222. 성당을 다니다가 교회를 다니면 냉담자이지요그런데 성당 다닐 때보다 더 열심히 활동하는 동생과 친구를 보면 하느님을 깨닫고 열심히 다니면 되는 것이라 싶네요.

223. 일본 쓰나미 사건을 보며 선하신 하느님께서 이 세상을 선하게 창조하셨는데왜 이런 대재앙이 이어지고 있는지 의문이 듭니다.


222. 성당을 다니다가 교회를 다니면 냉담자이지요? 그런데 성당 다닐 때보다 더 열심히 활동하는 동생과 친구를 보면 하느님을 깨닫고 열심히 다니면 되는 것이라 싶네요.

 

질문이 당황스러웠습니다.
하지만 의아한 부분을 숙지하지 않은 결과임을 생각하니 고마웠습니다.
교회의 냉담자 분류는 행정상의 조처이며 교회 살림과 교우들의 상황을 관리하기 위한 방편입니다.
냉담자란 하느님을 믿지 않는 사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교회를 등져서 믿음의 행보가 파악되지 않는 사람을 말합니다.
예수님께서 세상의 모든 교회가 하나되기를 원하신다는 점을 생각하면 현재 분리된 교회의 모습이 그분 마음을 아프게 후벼대리라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여 교회는 일치할 날을 기도하며 소원합니다.
자매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교회의 선택은 지극히 개인적인 자유 영역에 속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개신교에는 그분께 인호를 받은 사제가 없는 까닭에 성찬의 전례가 거행되지 않습니다.
주님께서 손수 세워주신 가톨릭 교회의 전례 전통이 과감히 생략되고 무시되고 있습니다.
믿음은 자신의 입맛에 맞추어 취향에 따라서 고르는 취미 활동이 아닙니다.
더 재밌고 신나고 내내 흥겨운 것이 믿음의 척도일 수 없습니다.
가톨릭 교회의 풍요하고 귀한 진리의 증거자가 되기 위하여 도약할 것을 기대하겠습니다.
예수님께서 손수 세우신 정통 교회의 은총을 잃어 버린 손해를 깨닫게 하는 참 일꾼이 되십시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2 114. 식당에서 외인들과 식사할 때, 혼자서 십자성호를 긋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마음 속으로만 기도하면 안 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9 135
241 115. 주일 헌금 봉사자입니다. 십여 년 동안 똑같은 헌금액수가 심히 민망합니다. 주일헌금에 관한 적절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문제 23) 월평모힐라리오 2021.11.30 125
240 116. 지난 호, 신부님의 주장은 주일헌금을 10만원씩 내자는 것이 아닌지요? 예수님께서 부자의 헌금보다 과부의 두 렙돈을 더 칭찬하셨다는 걸 잘 아실 줄로 믿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1 27
239 117. 복음이 “형제와 부모를 미워하라”니 의아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3 16
238 118. 에사우가 야곱에게 맏아들의 권리를 판 것은 잘못이지만 레베카와 야곱이 모의하여 눈먼 아버지 이사악을 속여 장자의 축복을 가로챈 것은 공평과 정의가 아닙니다. 불의를 인정하신 하느님이 의아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5 18
237 119. 요셉성인처럼 꿈에 천사가 나타나 말씀하신다면, 신앙이 쉽게 자랄 것 같은데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6 12
236 120. 믿지 않는 사람들보다 못사는 교우들 탓에 축복의 하느님을 전하기 어렵습니다. 그리스도인은 모두 잘 살아야 하지 않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7 11
235 121. 성경공부를 권유받고 참석해 보니 ‘신천지’라는 교파였습니다. 가톨릭신자들도 참여하고 있던데 성경을 공부하는 일인 만큼 교파와는 상관이 없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8 18
234 122. 창세기 1장 26절에 “하느님께서 말씀하셨다. 우리와 비슷하게 우리 모습으로 사람을 만들자”라고 나와 있는데 하느님은 한 분이신 유일신이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9 94
233 123. 성경에는 “어떤 신상도 만들어서는 안 되고 경배하지도 말라”(탈출 20,5) 하는데 성상에 절하고 비는 것은 말씀을 거역하는 것이 아닌가요? (문제 24)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0 25
232 124. “이미 예수님께서는 부활하셨는데 왜 가톨릭에서는 굳이 십자고상을 걸어놓는 이유가 무엇이냐”는 개신교 신자의 질문에 어떻게 답해야 할까요? (문제 25)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1 42
231 125. 완전한 통회를 하지 않아도 고해성사가 유효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3 12
230 126. 사제에게 고해성사를 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밝힌 성경의 말씀 부분을 자세히 알려주세요. (문제 26)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4 15
229 127. 본당신부님이 바뀐 후에 단체 운영의 성격과 지침이 달라졌습니다. 사제에 의해서 교회 단체의 성격이 달라질 수 있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5 14
228 128. 사제와 신부님은 어떻게 다른가요? 평소에 신부님을 부를 때 사제님이라고 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6 41
227 129. “시복 시성을 위한 도보순례”라는 조끼를 입고 걷는 단체가 있던데 시복시성이 무엇인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7 8
226 130. 혼자 세례를 받았습니다. 종교가 다른 부모님의 반대가 심한데 어찌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8 23
225 131. 묵은 신자입니다. 하지만 전례 중에 앉고 일어서는 이유를 모른 채 따라서 합니다. 부끄럽지만 용기를 냈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0 12
224 132. 황당한 질문입니다만, 조상들이 믿었던 기복적인 천지신명과 지금 우리가 믿는 하느님이 같은 하느님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1 10
223 133. 연초가 되면 어머니는 스님께 사주를 보러 가십니다. 미래야 살아봐야 알겠지만 지금까지는 다 맞아요. 어떻게 해석해야 하죠?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2 1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