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2권 이렇게 설명하세요

 
성사

60. 고해성사와 고백성사 중에 어느 것이 맞는 용어입니까 ? (문제 11)
61. 냉담 후 다시 성당을 나가려 할 때 반드시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지요?
62. 
죄를 고백한다고 죄가 없어지는 것이 아닌데꼭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문제 12)
63. 남자교우와 지식층들 가운데서 고해성사에 부담을 느껴냉담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어떻게 할까요?
64. 
고해를 한 후에도 예전과 달라지지 않는데거듭 고해를 한들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65. 
공동 고해가 편하고 시간도 절약되는데금하는 까닭이 무엇입니까?
66. 부끄러운 죄에 대해서는 이밖에 알아내지 못한 죄에 대해서도 사하여 주소서라고 얼버무리게 됩니다이 마음을 주님은 아시겠지요?
67. 
미국의 일부 성당과 개신교에서 온라인 고해성사가 가능하다는데 정당합니까?
68. “
죄 짓더라도 성사보면 된다고 생각하는 그리스도인이 역겹다는 비아냥에 지혜롭게 답하고 싶습니다.


64. 고해를 한 후에도 예전과 달라지지 않는데, 거듭 고해를 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신앙인들이 성사를 꺼리게 되는 가장 큰 빌미일 것입니다.
그러나 성사는 단 한 번의 고해로 치유되는 만병통치약이 아닙니다. 거듭 넘어졌다 해서, 그 자리에 주저앉아 살아가지 않지요.
우리가 지닌 죄에 대한 나약함과 그것을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은 평생 동안 짊어지고 가는 삶의 과제입니다.
또한 죄를 씻어내기 위한 나와 하느님의 공동 작업이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성사를 보아도 변하지 않는 너의 모습을 보라. 성사 보아도 아무 소용이 없지 않으냐라면서 하느님께 다가가려는 걸음을 방해하는 것은 마귀의 유혹입니다.
우리의 약점을 꿰뚫는 것이 마귀의 특기이지요.
그런 만큼 하느님의 계산법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가 넘어진 횟수를 헤아리지 않으시고 일어서려는 의지만 꼽으십니다. 때문에 입으로 고백하는 용기와 숨기고 싶은 마음을 극복하는 일이 소중합니다.
우리의 자유의지를 존중하시는 하느님께서는 우리가 원하지 않을 때에는, 아무리 좋은 것이라 해도 주지 못하신다는 것에 유념하여, 죄를 뛰어넘으려는 의지와 자신의 죄를 고발하는 정의로운 마음을 빼앗기지 않도록 하십시오.
저지른 잘못을 인정하고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는 약함을 고백하는 모습은 하느님 보시기에 아름답습니다.
주님께 죄를 고함으로써 하느님 편으로 살아가려는 다짐이야말로 신앙을 건강하게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2 33.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①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6 41
241 22. 우리는 모두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3 41
240 343. 하느님은 사랑이라고 하셨는데 천주교 신자들은 너무 쌀쌀 맞습니다. 심신단체도 권위적이고 계급사회 같아 상처를 많이 받았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9 40
239 318. 어머니, 여동생과 갈등과 불화를 겪고 있습니다. 가족에게 환영받지 못하는 저를 주님은 제 치부를 들추지 않고 괜찮다고, 사랑한다고 안아주셨습니다. 그래서 성당에서는 너무 행복하고 평화롭습니다. 하지만 집에서는 여전히 죄인이고 분노의 대상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2 40
238 297. 성경을 효율적으로 읽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에는 어떤 성경을 선택하면 좋을까요? 신부님께서 기쁠 때와 슬플 때 용기가 필요할 때에 읽고 도움을 얻는 성경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39
237 275. 신부님 저는 미사 시간에 주로 눈을 감고 집중을 합니다. 그런데 성찬례 때도 눈을 감고 하는데 이것이 틀린 건가 싶어서요. 사실 눈을 뜨고하니 사람들의 움직이는 여러 가지 것들에서 분심이 생기더라구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39
236 219. 주일미사 예물 봉헌 시간에 평신도는 예물 봉헌을 하는데 신부님이나 수녀님들은 예물 봉헌을 하는 것을 보질 못했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성직자나 수도자들은 몸과 마음을 주님께 봉헌하셨기 때문이라고 이해를 하고 싶은데 제 생각이 맞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39
235 168. 저희 가족이 함께 구일기도를 올리는 중입니다. 청원기도를 마치고 감사기도를 시작했는데 여의치 않는 사정으로 하루가 빠졌습니다.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나요? 아버지 혼자서 기도하셨다고 하지만 가족이 같이 바쳤던 기도라 자꾸 찜찜한 기분이 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39
234 59. 주일미사에서는 봉헌을 하는데 평일에는 왜 봉헌을 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5 39
233 95. 성경이 여러 권 있는데도 굳이 새 성경을 구입해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6 38
232 87. 성모님을 믿지 않으면서 성모님께 기도를 하는 것은 모순이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8 38
231 ​​​​​​​77. 고3입니다. 미사에 빠지지 않기 위해 애쓰지만, ‘공부하지 않는 학생’으로 취급당할 때는 힘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6 38
230 324. 스마트 폰으로 성경을 읽다가 성경책을 안 가지고 다니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을 당했습니다. 너무 당황하여 난생 그렇게 얼굴 붉어지기는 처음이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성경을 읽는 것이 잘못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8 37
» 64. 고해를 한 후에도 예전과 달라지지 않는데, 거듭 고해를 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1 37
228 기도드리며 다시 묶어바칩니다. 장재봉 신부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4 36
227 75. 기도 후에는 꼭 “주님의 이름으로”, 혹은 “예수님을 통하여”라는 말을 붙여야 합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4 36
226 339. 주일학교 교사입니다. 방학 때에는 어린이 미사를 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의견이 있습니다. 물론 “부모님과 주일미사에 참여해야 한다”는 당부를 하지만 부모님이 신자가 아닌 아이들의 처지는 난처해집니다. 오히려 방학에는 미사 개근상을 만들어서 열악한 환경의 아이들에게 활기를 주고 싶은 것이 제 개인적인 소망입니다. 얼마 전 주일학교 방학소식에 ‘아쉬워 서글픈’ 표정을 짓던 아이의 눈망울을 잊을 수가 없어서 이 글을 올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5 35
225 169. 묵주기도의 매 단이 끝날 때마다 구원송을 바치는데 이 정체불명의 기도문을 공식전례에서 사용하는 점이 의문스럽습니다. (문제 32)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35
224 93. 복음서에는 “예수님의 형제들이 예수님을 만나기 위해 찾아왔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성모님께서 '평생' 동정이 아니라는 뜻으로 읽게 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4 35
223 97. 1년 전, 성경필사를 시작했는데 끝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성이 부족한 것일까요? 도와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9 3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