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2권 이렇게 설명하세요

 
기도

69. 하느님께 내 소망을 들어주길 기도하는 것과 하느님의 능력을 시험하는 것은 어떻게 다른가요
70. 
간혹 기도 생활이 현실 도피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71. 
자신을 위한 기도보다 이웃을 위해서 기도하면 더 잘 들어주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그저 제 느낌일까요
72. 
기도의 응답이 꼭 있다고 하셨는데하느님의 응답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지 않습니까
73. 
기도 방법이 다양하던데요가장 좋은 기도를 배우고 싶습니다. (문제 13) 
74. 끊임없이 기도하라 하셨는데하루 종일 기도하면서 살아가는 방법에 조언을 구합니다
75. 
기도 후에는 꼭 주님의 이름으로”, 혹은 예수님을 통하여라는 말을 붙여야 합니까
76. 
성체조배를 하고 싶습니다어떤 방법으로 또 어떤 마음으로 언제어느 때에 드리면 좋은지요? (문제 14)
 

75. 기도 후에는 꼭 주님의 이름으로”, 혹은 예수님을 통하여라는 말을 붙여야 합니까?

하느님께 기도드릴 때 예수님을 통해서 바치는 일은 마땅합니다
이는 예수님의 당부이니까요.
당신의 이름으로 청하는 일은 모두 이루어질 것을 약속하신만큼, 그 말씀에 의지하여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하는 것은 옳습니다.
하지만 말미에 그 말을 붙이지 않는다고 기도가 소용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기도를 하느님께서 들어주실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을 품지 말고 그저 기도하십시오.
사소한 말마디나 행위에 얽매여 하느님 사랑을 바르게 이해하지 못하고 예수님의 희생을 오해하면 자칫, 자신의 생각이나 뜻을 이루기 위한 주문으로 타락시킬 수 있습니다.
옳다 그르다 판단할 시간에 오히려 기도에 집중하기 바랍니다.
기도는 하느님께 내 생각을 알려서 내 뜻대로 이루어지기를 원하는 일이 아니라 어떤 것이든, 무슨 일이든 주님께서 주시는 것은 모두 좋은 것임을 고백하는 행위이니까요.
때문에 하느님을 향한 찬미와 하느님을 찬미하는 영가가 가장 아름답고 귀한 기도의 경지입니다.
기도는 모두 선한 의지이기에 옳거나 틀린 것이 없습니다. 기도는 주님께 가까이 다가가 만나는 자리, 주님과의 대화이기에 그분의 뜻에 민감해지는 은총을 얻어 주님을 느끼는 시간임을 기억하십시오.
하느님과의 만남이 없으면 아무리 아름다운 문구를 읊조릴지라도 아무런 소용이 없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2 57. 미사에 참례할 수 없는 ‘부득이한 경우’는 어떤 경우를 말하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3 131
301 58. 주일에 혼배미사나 장례미사가 겹쳤습니다. 주일미사를 빠져도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4 460
300 59. 주일미사에서는 봉헌을 하는데 평일에는 왜 봉헌을 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5 39
299 추천의 글(2008년 대림에 이 홍 기 몬시뇰)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6 13
298 60. 고해성사와 고백성사 중에 어느 것이 맞는 용어입니까 ? (문제 11)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7 71
297 61. 냉담 후 다시 성당을 나가려 할 때 반드시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8 368
296 62. 죄를 고백한다고 죄가 없어지는 것이 아닌데, 꼭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문제 12)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9 75
295 63. 남자교우와 지식층들 가운데서 고해성사에 부담을 느껴, 냉담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30 47
294 64. 고해를 한 후에도 예전과 달라지지 않는데, 거듭 고해를 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1 37
293 65. 공동 고해가 편하고 시간도 절약되는데, 금하는 까닭이 무엇입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2 18
292 66. 부끄러운 죄에 대해서는 “이밖에 알아내지 못한 죄에 대해서도 사하여 주소서”라고 얼버무리게 됩니다. 이 마음을 주님은 아시겠지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4 86
291 67. 미국의 일부 성당과 개신교에서 온라인 고해성사가 가능하다는데 정당합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5 22
290 68. “죄 짓더라도 성사보면 된다고 생각하는 그리스도인이 역겹다”는 비아냥에 지혜롭게 답하고 싶습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6 22
289 69. 하느님께 내 소망을 들어주길 기도하는 것과 하느님의 능력을 시험하는 것은 어떻게 다른가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7 31
288 70. 간혹 기도 생활이 현실 도피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8 32
287 71. 자신을 위한 기도보다 이웃을 위해서 기도하면 더 잘 들어주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저 제 느낌일까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9 65
286 72. 기도의 응답이 꼭 있다고 하셨는데, 하느님의 응답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지 않습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1 34
285 73. 기도 방법이 다양하던데요. 가장 좋은 기도를 배우고 싶습니다. (문제 13)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2 60
284 74. 끊임없이 기도하라 하셨는데, 하루 종일 기도하면서 살아가는 방법에 조언을 구합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3 45
» 75. 기도 후에는 꼭 “주님의 이름으로”, 혹은 “예수님을 통하여”라는 말을 붙여야 합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4 3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