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2권 이렇게 설명하세요

 
성사

60. 고해성사와 고백성사 중에 어느 것이 맞는 용어입니까 ? (문제 11)
61. 냉담 후 다시 성당을 나가려 할 때 반드시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지요?
62. 
죄를 고백한다고 죄가 없어지는 것이 아닌데꼭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문제 12)
63. 남자교우와 지식층들 가운데서 고해성사에 부담을 느껴냉담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어떻게 할까요?
64. 
고해를 한 후에도 예전과 달라지지 않는데거듭 고해를 한들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65. 
공동 고해가 편하고 시간도 절약되는데금하는 까닭이 무엇입니까?
66. 부끄러운 죄에 대해서는 이밖에 알아내지 못한 죄에 대해서도 사하여 주소서라고 얼버무리게 됩니다이 마음을 주님은 아시겠지요?
67. 
미국의 일부 성당과 개신교에서 온라인 고해성사가 가능하다는데 정당합니까?
68. “
죄 짓더라도 성사보면 된다고 생각하는 그리스도인이 역겹다는 비아냥에 지혜롭게 답하고 싶습니다.

62. 죄를 고백한다고 죄가 없어지는 것이 아닌데, 꼭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고해성사는 잘못 때문에 일어난 사건을 없애는 작업이 아닙니다.
다만 그 죄에 대한 책임이 면제됩니다.
공놀이를 하다가 유리창을 깨뜨린 아이가 자신의 처지를 어른께 알리는 일은 제일 빠른 사건 수습 방법이지만, 깨진 유리창은 그대로인 것과 같지요.
죄를 지었을 때에도 잘못을 하느님께 말씀드림으로 용서를 얻는 것입니다. 하지만 자기 잘못을 인정하고 스스로 말하는 일이 쉽지가 않습니다.
고백을 하는 일이 왠지 망설여지고 두렵기도 해서 때론 은근 슬쩍 넘어갈 궁리도 하게 됩니다. 교부들이 고해성사를 고통스러운 세례요, 일종의 정화라고 말한 까닭이겠지요.
그러나 우리를 위해 다짐하신 하느님의 용서와 자비의 계약에는 취소조항이 없습니다. 만기날짜도 휴일도 없이 늘 유효합니다.
단 한 가지, 언제든 무슨 죄이든 내 스스로 그분의 용서를 원해야한다는 것입니다.
고해성사는 죄를 없애는 마술이나 아픔을 치유하는 만병통치약은 아니지만 나은 삶을 향한 구체적인 각오를 돕습니다.
회개가 단 한 번에 끝나지 않고 거듭될 수 있다는 사실도 나아감의 길에 놓인 징검다리로 생각해보면 정말 든든한 은혜임을 깨닫게 됩니다.
하느님의 크신 자비가 느껴지나요?
죄가 없어지는지, 벌만 면하게 되는지를 셈하기보다 그분께로부터 온 자비의 계약이 얼마나 풍성한지 새겨보기를 권합니다.
 

문제 12. 죄를 고백한다고 죄가 없어지는 것이 아닌데 꼭 고해성사를 봐야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12-1) 죄를 고백한다고 그 죄를 다시 반복하지 않는 것도 아닌데 꼭 고해성사를 봐야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용서와 정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2 57. 미사에 참례할 수 없는 ‘부득이한 경우’는 어떤 경우를 말하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3 131
301 58. 주일에 혼배미사나 장례미사가 겹쳤습니다. 주일미사를 빠져도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4 460
300 59. 주일미사에서는 봉헌을 하는데 평일에는 왜 봉헌을 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5 39
299 추천의 글(2008년 대림에 이 홍 기 몬시뇰)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6 13
298 60. 고해성사와 고백성사 중에 어느 것이 맞는 용어입니까 ? (문제 11)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7 71
297 61. 냉담 후 다시 성당을 나가려 할 때 반드시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8 368
» 62. 죄를 고백한다고 죄가 없어지는 것이 아닌데, 꼭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문제 12)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9 75
295 63. 남자교우와 지식층들 가운데서 고해성사에 부담을 느껴, 냉담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30 47
294 64. 고해를 한 후에도 예전과 달라지지 않는데, 거듭 고해를 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1 37
293 65. 공동 고해가 편하고 시간도 절약되는데, 금하는 까닭이 무엇입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2 18
292 66. 부끄러운 죄에 대해서는 “이밖에 알아내지 못한 죄에 대해서도 사하여 주소서”라고 얼버무리게 됩니다. 이 마음을 주님은 아시겠지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4 86
291 67. 미국의 일부 성당과 개신교에서 온라인 고해성사가 가능하다는데 정당합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5 22
290 68. “죄 짓더라도 성사보면 된다고 생각하는 그리스도인이 역겹다”는 비아냥에 지혜롭게 답하고 싶습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6 22
289 69. 하느님께 내 소망을 들어주길 기도하는 것과 하느님의 능력을 시험하는 것은 어떻게 다른가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7 31
288 70. 간혹 기도 생활이 현실 도피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8 32
287 71. 자신을 위한 기도보다 이웃을 위해서 기도하면 더 잘 들어주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저 제 느낌일까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9 65
286 72. 기도의 응답이 꼭 있다고 하셨는데, 하느님의 응답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지 않습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1 34
285 73. 기도 방법이 다양하던데요. 가장 좋은 기도를 배우고 싶습니다. (문제 13)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2 60
284 74. 끊임없이 기도하라 하셨는데, 하루 종일 기도하면서 살아가는 방법에 조언을 구합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3 45
283 75. 기도 후에는 꼭 “주님의 이름으로”, 혹은 “예수님을 통하여”라는 말을 붙여야 합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4 3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