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2이렇게 설명하세요

 

전례(미사)

 

50. 예수님의 십자가상 위에 있는 INRI의 뜻이 무엇입니까? (문제 8)

51. “우리의 파스카 양이신 그리스도께서 희생되셨다”(1코린 5, 7)라는 말씀의 파스카는 무슨 의미입니까?

52. 영세한 사람은 모두 구원받습니까? (문제 9)

53. 재의 수요일에 머리에 재를 뿌리는 예식의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문제 10)

54. 재의 수요일과 성금요일에 단식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 주일 미사에는 꼭 참석해야 하나요?

56. 주일에는 미사에만 참석하면 의무를 다하나요?

57. 미사에 참례할 수 없는 부득이한 경우는 어떤 경우를 말하는지요?

58. 주일에 혼배미사나 장례미사가 겹쳤습니다. 주일미사를 빠져도 됩니까?

59. 주일미사에서는 봉헌을 하는데 평일에는 왜 봉헌을 하지 않습니까?

 

57. 미사에 참례할 수 없는 부득이한 경우는 어떤 경우를 말하는지요?

첫째, 물리적으로 미사참례를 못하는 경우입니다.
성당을 가기 위해서 몇 시간을 걸어야 하거나 몇 시간동안 차를 타고 가야 할 때에 해당됩니다.
이 규정은 주일에 배나 비행기를 타고 있는 상태와 성당이 없는 섬이나 시골에서 지낼 경우가 포함됩니다. 한마디로 시간과 장소가 미사참례를 불가능하도록 할 때입니다.
둘째, 몸이 불편해서 미사에 참례할 수 없는 경우입니다.
병원에 입원한 상태이거나 몸살, 감기가 거동이 어려울 정도로 심하다면 부득이한 경우겠지요.
그렇지만 생업으로 인해서 주일을 성수하기 어려운 운전기사, 노동자와 농부 혹은 직장인의 회사사정 등은 부득이한 경우에서 제외됩니다.
주일 미사는 그리스도인의 신앙생활에 주어진 최소한의 기준입니다. 미사에 참례함으로 얻는 은혜는 엄청난 것입니다. 살아계신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성체를 모시며 하늘나라의 생활을 앞당겨 맛보는 축복의 시간이기 때문입니다.
미사는 하느님을 아버지로 모신 가족이 모여서 무신론적이고 물질적인 세상에 당당한 그리스도인의 표양으로 살아갈 힘을 얻게 해줍니다.
단잠을 줄이는 희생과 시간을 쪼개 달려가는 걸음을 하느님께서는 기꺼워하시고 귀하게 여기십니다. 그리고 기다리시지요. 때문에 미사에 참례하는 일은 잠깐 바치는행위가 아니라 내 아버지를 향한 귀가입니다.
집을 두고 어디에 계시려하십니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57. 미사에 참례할 수 없는 ‘부득이한 경우’는 어떤 경우를 말하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3 131
301 58. 주일에 혼배미사나 장례미사가 겹쳤습니다. 주일미사를 빠져도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4 460
300 59. 주일미사에서는 봉헌을 하는데 평일에는 왜 봉헌을 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5 39
299 추천의 글(2008년 대림에 이 홍 기 몬시뇰)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6 13
298 60. 고해성사와 고백성사 중에 어느 것이 맞는 용어입니까 ? (문제 11)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7 71
297 61. 냉담 후 다시 성당을 나가려 할 때 반드시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8 369
296 62. 죄를 고백한다고 죄가 없어지는 것이 아닌데, 꼭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문제 12)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9 75
295 63. 남자교우와 지식층들 가운데서 고해성사에 부담을 느껴, 냉담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30 47
294 64. 고해를 한 후에도 예전과 달라지지 않는데, 거듭 고해를 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1 37
293 65. 공동 고해가 편하고 시간도 절약되는데, 금하는 까닭이 무엇입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2 18
292 66. 부끄러운 죄에 대해서는 “이밖에 알아내지 못한 죄에 대해서도 사하여 주소서”라고 얼버무리게 됩니다. 이 마음을 주님은 아시겠지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4 86
291 67. 미국의 일부 성당과 개신교에서 온라인 고해성사가 가능하다는데 정당합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5 22
290 68. “죄 짓더라도 성사보면 된다고 생각하는 그리스도인이 역겹다”는 비아냥에 지혜롭게 답하고 싶습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6 22
289 69. 하느님께 내 소망을 들어주길 기도하는 것과 하느님의 능력을 시험하는 것은 어떻게 다른가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7 31
288 70. 간혹 기도 생활이 현실 도피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8 32
287 71. 자신을 위한 기도보다 이웃을 위해서 기도하면 더 잘 들어주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저 제 느낌일까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9 65
286 72. 기도의 응답이 꼭 있다고 하셨는데, 하느님의 응답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지 않습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1 34
285 73. 기도 방법이 다양하던데요. 가장 좋은 기도를 배우고 싶습니다. (문제 13)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2 60
284 74. 끊임없이 기도하라 하셨는데, 하루 종일 기도하면서 살아가는 방법에 조언을 구합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3 45
283 75. 기도 후에는 꼭 “주님의 이름으로”, 혹은 “예수님을 통하여”라는 말을 붙여야 합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4 3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