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7권 헷갈리는 게 너무 많아요


 

믿음으로 걷기



 

298. 천주교는 기도 끝에 우리 주 예수님을 통하여 비나이다라고 하고 개신교는 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라고 합니다의미는 같겠지만 천주교의 표현 비나이다의 어감이 왠지 범신론적 신앙대상에게 하는 샤머니즘적 표현 같습니다개신교 측 표현이 좀 더 그리스도적이지 않나요성경에서 기도하라고 말씀하셨지빌어라(비나이다)는 표현은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299. 구약성경을 읽으면 하느님의 뜻이 너무 오락가락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죄송한 표현이지만 변덕쟁이 같습니다.

300. 창세기에 4,13-16 의하면 아담과 하와 전에 카인을 죽일 사람들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데 이것은 뭐라 해석하나요아담과 하와가 아닌 다른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인가요아담과 하와가 첫 조상이 아니지 않느냐는 질문에 말문이 막혔습니다.

301. 노아는 방주에 날짐승과 들짐승을 쌍 맞추어 태웠는데바다의 고기 이야기는 없습니다어떻게 되었나요홍수에 다 죽었다면 다시 번성할 수 없었을텐데…… 궁금합니다.

302. 백성을 멸하려고 했던 불뱀이 인류 구원자이신 예수님의 예표라는 논리가 이해되지 않습니다하느님의 방식이 너무 모순적으로 다가옵니다.

303. 예수님은 빵을 많게 하는 능력자신데 왜 제자들이 밀 이삭을 뜯을 만큼 궁핍한 지경에 이르도록 방치하셨을까요결국 논쟁에 휘말리셨던 이유가 무엇인지요?

304. 예수님께서 차라리 태어나지 않았으면 자신에게 더 좋았을 것이다라는 말을 들었던 이스카리옷 유다에 관한 질문입니다비록 하느님의 뜻이 아니라 스스로의 판단으로 그릇된 결정을 했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영원히 용서로부터 제외된다는 선언이 혹독해 보입니다. “성경에 쓰여진 대로 그리 되려고 일이 일어났다라는 말씀은 인간의 자유의지와 관계없이 미리 정해진 운명에 따른다는 의미 아닙니까?

305. 미사 중에 바치는 신앙고백(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혹은 사도신경)은 어떤 의미의 기도인가요주일미사에서 신경을 뺀 적이 있는데사제에게 이 기도문에 대한 선택의 고유 권한이 있는 겁니까?

306. 사도신경에 죄의 용서와 육신의 부활을 믿으며라는 구절이 있는데 육신의 부활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데 왜 육신의 부활이라고 표현하였는지 궁금합니다차라리 영혼의 부활이라고 하는 것이 맞지 않나요?

307. 전대사를 받을 때마다 고해성사를 새로 봐야하나요?

308. “정말로 성사로 모든 잘못이 없어집니까그리고 그런 사람도 안고 가야 합니까?”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불의도 죄라고 했습니다먼저 상대편에게 용서를 구한 후에 하느님께 사함을 청하는 것이 순서라고 봅니다.

309. 왠지 하느님께서는 저를 용서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310. 그저 착하게 살면 되지 주일마다 성당에 가는 것은 형식적인 신앙생활이 아닌가요?

311. 세례 받지 않은 사람이 성체를 영했을 때어떻게 설명을 해야 합니까?

312. 코로나19로 마음이 불안합니다성당에 가는 것도 두려워 방송미사로 대체하는데 안전하고 편리하며 다양한 강론도 듣게 되어마음이 윤택해지는 기분입니다점점 더 성당에 갈 마음이 사라지는 것 같지만 이렇게라도 신앙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그릇된 것은 아니라 생각됩니다.


07. 전대사를 받을 때마다 고해성사를 새로 봐야하나요?

 

죄는 고해성사를 통해서 용서받습니다.
하지만 잊고 고백하지 못한 죄에 대한 벌이 남을 수 있고 고해신부가 부여한 보속이 죄에 비례되지 못할 수도 있지요(보속이 적다고 좋아할 것만은 아닌 겁니다.^^).
전대사는 하루에 한 번 허용되지만 한 번의 고해성사로써 8일간 전대사를 이어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듯 큰 은총을 주신 주님께 감사드리는 교회는 전대사를 받기 위한 조건을 제시하여 충족시킬 것을 요구합니다.
모든 신자들이 조건을 실천함에 사랑과 정성이 깃들기를 청합니다.
죄악에 대한 애착을 끊어내는 의미의 고해성사와
성체를 모시고 교황님의 지향에 따른 기도를 진심으로 바치는 것이 필수인 것이지요
.
진정한 영적 회개만이 우리를 고쳐줍니다.
주님의 자비를 닮게 합니다.
주님처럼 가난하고 상처받은 이에게 마음의 문을 활짝 여는 사랑으로 살게 합니다.
그런 만큼 자신을 위해서, 가까운 이들을 위해서 전대사를 얻는다는 의미만으론 주님께 너무 송구한 행위일 것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는
죄를 고백할 줄 아는 것은 하느님의 선물이요 하느님의 작품이라 하셨습니다.
두려워하지 말고 고해소를 찾으라고 재촉하셨습니다.
전대사는 보속되지 못한 잠벌을 면제받고 영혼이 정화되는 은총의 작업임을 잊지 마세요.
무엇보다 고해성사가 신앙생활의 짐이나 걸림돌이 아니라
깊고 따순 주님의 엄청난 자비의 열매라는 걸 기억해주세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2 130. 혼자 세례를 받았습니다. 종교가 다른 부모님의 반대가 심한데 어찌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8 23
181 136. TV에서 가톨릭 신앙인이 무속인으로 살아가는 것을 보았습니다. 영세를 받은 사람에게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났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5 23
180 187. 오래 전에 성당 건축헌금을 약속했는데 이후에 냉담했습니다. 이사를 해서 본당도 바뀌고 세월도 많이 지났지만 주님의 것을 떼어 먹은 느낌 탓에 찝찝합니다. 하느님 것을 가로챈 것만 같은 마음의 짐을 털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23
179 273. 제 세례명이 '마리아'인데 저희 아들은 '요셉'입니다. 주위에서 모자의 세례명이 어색하다 합니다. 고쳐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23
178 281. 하느님께 기도를 어떻게 올려야 하는지... 예비신자이니, 쉽게 설명해 주세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23
177 한 말씀 올립니다 (2008년 안식년 끝자락에 장 재 봉 신부)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9 24
176 246. 요즘 아기 백일에 삼신상을 차려서 삼신할머니께 비는 것이 유행입니다. 우리의 전통풍습이니 이벤트행사로 해주고 싶습니다. 기도이니까 괜찮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24
175 123. 성경에는 “어떤 신상도 만들어서는 안 되고 경배하지도 말라”(탈출 20,5) 하는데 성상에 절하고 비는 것은 말씀을 거역하는 것이 아닌가요? (문제 24)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0 25
174 152. 독서 후에 낭독자가 “주님의 말씀입니다”라고 하면 모두 “하느님 감사합니다.”라고 응답하는 반면에 복음이 낭독된 후에는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라고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문제 28)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25
173 165. 신부님의 설명대로라면 세례명을 바꿀 기회는 영영 없는 것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25
172 212. 성탄절과 다르게 부활절은 매년마다 날짜가 바뀌는데 그 날짜 계산법은 어떻게 되나요? (문제 38)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26
171 304. 예수님께서 “차라리 태어나지 않았으면 자신에게 더 좋았을 것이다”라는 말을 들었던 이스카리옷 유다에 관한 질문입니다. 비록 하느님의 뜻이 아니라 스스로의 판단으로 그릇된 결정을 했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영원히 용서로부터 제외된다는 선언이 혹독해 보입니다. “성경에 쓰여진 대로 그리 되려고 일이 일어났다”라는 말씀은 인간의 자유의지와 관계없이 미리 정해진 운명에 따른다는 의미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8 26
170 28. “마귀가 마음을 유혹할 때 어떻게 해야 하죠?”라고 물어 왔습니다. 무엇이라고 답을 주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0 27
169 116. 지난 호, 신부님의 주장은 주일헌금을 10만원씩 내자는 것이 아닌지요? 예수님께서 부자의 헌금보다 과부의 두 렙돈을 더 칭찬하셨다는 걸 잘 아실 줄로 믿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1 27
168 244. 주일 미사에 빠졌으면서도 뻔뻔스럽게 성체를 영하는 신자들을 위한 재교육이 필요할 듯하여 건의합니다. 성사를 봐야 한다고 슬쩍 일러주어도 못들은 척하는 모습을 보면 정말 속이 상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27
167 290. 엠티에서 남녀가 함께 하는 게임벌칙이 무척 민망했습니다. 벌칙에 반대하니까 별나게 군다며 친구들이 아우성을 쳐서 난감했습니다. 속 좁고, 구식으로 보이기가 싫었지만 그런 벌칙에 응하는 것은 신앙인의 태도가 아니라서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말세의 징조 같았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27
166 81. 향주삼덕을 통하여 하느님과 일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생활 방법을 일러 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1 28
165 170. 개신교 신자가 예수님께 바로 기도하지 않고 성모님을 통해 기도하는 것은 우상숭배라고 합니다. 뭐라고 설명할까요? (문제 33)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28
164 236. 사정상 다른 본당 미사에 참석했다가 ‘명찰을 달지 않았다’고 지적을 당했습니다. 명찰을 갖고 다닐 수는 없잖아요? 이제 본당 미사가 아니면 참석하지 못하겠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28
163 320. 세무사 시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복음서에 세리라는 직업에 대해 굉장히 부정적으로 묘사되어 있는 것을 보고 고민이 됩니다. 세무관련 직업이 자본주의의 핵심에 해당되고 왠지 주님께서 그리 좋아하지 않으실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4 28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