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8. 천주교는 기도 끝에 “우리 주 예수님을 통하여 비나이다”라고 하고 개신교는 “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라고 합니다. 의미는 같겠지만 천주교의 표현 ‘비나이다’의 어감이 왠지 범신론적 신앙대상에게 하는 샤머니즘적 표현 같습니다. 개신교 측 표현이 좀 더 그리스도적이지 않나요? 성경에서 기도하라고 말씀하셨지, 빌어라(비나이다)는 표현은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Feb 02,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출처 : 소곤소곤 장재봉(스테파노) 지음(, 부산 가톨릭신학원 원장)

부산교구 주보 소곤소곤집필 내용

워드 편집 모달호(힐라리오) (, 월평성당 평협회장)

 

 

7헷갈리는 게 너무 많아요

 

 

믿음으로 걷기

 

298. 천주교는 기도 끝에 우리 주 예수님을 통하여 비나이다라고 하고 개신교는 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라고 합니다. 의미는 같겠지만 천주교의 표현 비나이다의 어감이 왠지 범신론적 신앙대상에게 하는 샤머니즘적 표현 같습니다. 개신교 측 표현이 좀 더 그리스도적이지 않나요? 성경에서 기도하라고 말씀하셨지, 빌어라(비나이다)는 표현은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299. 구약성경을 읽으면 하느님의 뜻이 너무 오락가락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죄송한 표현이지만 변덕쟁이 같습니다.

 

300. 창세기에 4,13-16 의하면 아담과 하와 전에 카인을 죽일 사람들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데 이것은 뭐라 해석하나요? 아담과 하와가 아닌 다른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인가요? 아담과 하와가 첫 조상이 아니지 않느냐는 질문에 말문이 막혔습니다.

 

301. 노아는 방주에 날짐승과 들짐승을 쌍 맞추어 태웠는데, 바다의 고기 이야기는 없습니다. 어떻게 되었나요? 홍수에 다 죽었다면 다시 번성할 수 없었을텐데…… 궁금합니다.

 

302. 백성을 멸하려고 했던 불뱀이 인류 구원자이신 예수님의 예표라는 논리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하느님의 방식이 너무 모순적으로 다가옵니다.

 

303. 예수님은 빵을 많게 하는 능력자신데 왜 제자들이 밀 이삭을 뜯을 만큼 궁핍한 지경에 이르도록 방치하셨을까요? 결국 논쟁에 휘말리셨던 이유가 무엇인지요?

 

304. 예수님께서 차라리 태어나지 않았으면 자신에게 더 좋았을 것이다라는 말을 들었던 이스카리옷 유다에 관한 질문입니다. 비록 하느님의 뜻이 아니라 스스로의 판단으로 그릇된 결정을 했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영원히 용서로부터 제외된다는 선언이 혹독해 보입니다. “성경에 쓰여진 대로 그리 되려고 일이 일어났다라는 말씀은 인간의 자유의지와 관계없이 미리 정해진 운명에 따른다는 의미 아닙니까?

 

305. 미사 중에 바치는 신앙고백(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혹은 사도신경)은 어떤 의미의 기도인가요? 주일미사에서 신경을 뺀 적이 있는데, 사제에게 이 기도문에 대한 선택의 고유 권한이 있는 겁니까?

 

306. 사도신경에 죄의 용서와 육신의 부활을 믿으며라는 구절이 있는데 육신의 부활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데 왜 육신의 부활이라고 표현하였는지 궁금합니다. 차라리 영혼의 부활이라고 하는 것이 맞지 않나요?

 

307. 전대사를 받을 때마다 고해성사를 새로 봐야하나요?

 

308. “정말로 성사로 모든 잘못이 없어집니까? 그리고 그런 사람도 안고 가야 합니까?”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불의도 죄라고 했습니다. 먼저 상대편에게 용서를 구한 후에 하느님께 사함을 청하는 것이 순서라고 봅니다.

 

309. 왠지 하느님께서는 저를 용서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310. 그저 착하게 살면 되지 주일마다 성당에 가는 것은 형식적인 신앙생활이 아닌가요?

 

311. 세례 받지 않은 사람이 성체를 영했을 때,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합니까?

 

312. 코로나19로 마음이 불안합니다. 성당에 가는 것도 두려워 방송미사로 대체하는데 안전하고 편리하며 다양한 강론도 듣게 되어, 마음이 윤택해지는 기분입니다. 점점 더 성당에 갈 마음이 사라지는 것 같지만 이렇게라도 신앙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그릇된 것은 아니라 생각됩니다.

 

 

298. 천주교는 기도 끝에 우리 주 예수님을 통하여 비나이다라고 하고 개신교는 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라고 합니다. 의미는 같겠지만 천주교의 표현 비나이다의 어감이 왠지 범신론적 신앙대상에게 하는 샤머니즘적 표현 같습니다. 개신교 측 표현이 좀 더 그리스도적이지 않나요? 성경에서 기도하라고 말씀하셨지, 빌어라(비나이다)는 표현은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빌다는 바르고 고운 순 우리말이며 소원대로 되기를 바라며 기도하다의 뜻과 간절히 청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비나이다라며 기도를 마치는 것은 샤머니즘적 표현이 아닙니다.
성경도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믿는 이들을 위해서 기도드릴 때 저는 이들을 위하여 빕니다라고 하셨고 거푸 저를 믿는 이들을 위해서도 빕니다라고 말씀하신 것을 전하는데요.
구약에도 소돔을 위해서 말씀드리고 감히아뢴 아브라함의 간청을 아브라함이 소돔을 위하여 빌다라는 소제목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빌다는 표현을 가장 애용한 분이 바오로 사도가 아니었을까 싶은데요.
그의 서간을 읽으면
쉬지 않고 기도할 수 있었던 비결이 바로
빕니다라는 말을 시도 때도 없이 사용했던 덕이라 확신하게 됩니다.
세상이 이만큼 유지되는 것이 주님과 성인들이 힘껏 빌어주는 기도 덕임을 그리스도인은 알고 있지 않습니까?
이제 교회와 이웃을 위해서 많이 빌어주는 신앙인이 되시길 예수님께 빕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