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님, 제 형제가 저에게 죄를 지으면 몇 번이나 용서해 주어야 합니까? 

일곱 번까지 해야 합니까?"


 

99EAD9395C98BE12111F61


 

하느님께서 자비하시다는 사실은 모두가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우리는 하느님의 말씀을 실천할 때 아버지의 자비로움을 다 닮지는 못할 때가 많습니다. 우리는 싫어하는 사람이나, 미워하는 사람까지 사랑하기에는 일정한 한계를 세워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실천하는 하느님의 말씀이 아주 좁은 범위를 지닐 때가 많습니다. 


 

그때에 베드로가 예수님께 다가와, “주님, 제 형제가 저에게 죄를 지으면 몇 번이나 용서해 주어야 합니까? 일곱 번까지 해야 합니까?” 하고 물었다. 


 

우리에게 익숙한 용서에 관한 이야기이지만, 오늘은 베드로의 첫 질문에 조금 더 집중해 보려 합니다. 그는 죄를 지은 이가 "제 형제"라고 범위를 정합니다. 누구나 형제라고 부를 수 있지만 베드로의 형제는 그 앞에 "제"라는 자신과의 거리를 표시하고 있습니다. 곧 자신이 형제로 인정하는 이가 자신에게 잘못을 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는 자신이 생각하는 최고의 숫자를 부릅니다. 그것이 "일곱 번"입니다. 


 

그의 질문에는 우선 용서할 것이라는 전제가 표현되어 있습니다. 자신의 형제이기에 용서해야 하는 사이라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 그에게 베풀 수 있는 자비의 정도가 어느 정도여야 할지를 묻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가 내 민 일곱이라는 숫자는 하느님의 말씀에 충실한 자신의 최선을 뜻합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그의 한계를 없는 것으로 만들어 버리십니다.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곱 번이 아니라 일흔일곱 번까지라도 용서해야 한다."


 

일곱 번이 일흔일곱으로 바뀌는 것도 놀랍지만 예수님의 말씀은 일흔일곱을 말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 용서에는 한계가 없다는 말입니다. 우리가 모든 이에게 용서를 논하기 전에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베풀 수 있는 한계를 세우려 할 때 예수님은 단호하게 '그래서는 안된다'라고 말씀하고 계신 것입니다. 우리는 예수님의 이 말씀을 굳이 미워하거나 싫어하는 이까지 확대해서 생각할 이유가 없습니다. 예수님의 비유 역시도 어떤 관계를 말하고 있으니 말입니다. 


 

그러므로 하늘 나라는 자기 종들과 셈을 하려는 어떤 임금에게 비길 수 있다. 임금이 셈을 하기 시작하자 만 탈렌트를 빚진 사람 하나가 끌려왔다. 그런데 그가 빚을 갚을 길이 없으므로, 주인은 그 종에게 자신과 아내와 자식과 그 밖에 가진 것을 다 팔아서 갚으라고 명령하였다. 그러자 그 종이 엎드려 절하며, ‘제발 참아 주십시오. 제가 다 갚겠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그 종의 주인은 가엾은 마음이 들어, 그를 놓아주고 부채도 탕감해 주었다. 그런데 그 종이 나가서 자기에게 백 데나리온을 빚진 동료 하나를 만났다. 그러자 그를 붙들어 멱살을 잡고 ‘빚진 것을 갚아라.’ 하고 말하였다. 그의 동료는 엎드려서, ‘제발 참아 주게. 내가 갚겠네.’ 하고 청하였다. 그러나 그는 들어주려고 하지 않았다. 그리고 가서 그 동료가 빚진 것을 다 갚을 때까지 감옥에 가두었다. 동료들이 그렇게 벌어진 일을 보고 너무 안타까운 나머지, 주인에게 가서 그 일을 죄다 일렀다. 그러자 주인이 그 종을 불러들여 말하였다. ‘이 악한 종아, 네가 청하기에 나는 너에게 빚을 다 탕감해 주었다. 내가 너에게 자비를 베푼 것처럼 너도 네 동료에게 자비를 베풀었어야 하지 않느냐?’ 그러고 나서 화가 난 주인은 그를 고문 형리에게 넘겨 빚진 것을 다 갚게 하였다."


 

임금과 종은 이미 소유의 관계로 맺어져 있습니다. 그럼에도 임금은 자신의 종에게 자신의 재산을 빌려 줍니다. 그리고 셈하는 자리에서 그 종의 모든 것을 다 빼앗을 수 있음에도 그 종의 눈물어린 호소에 모든 것을 없던 것으로 풀어줍니다. 


 

우리는 이 관계를 임금과 종이라는 엄청난 신분 격차로 보며 하느님과 우리의 관계로 보게 되지만, 사실 이 용서는 임금이 이 종을 자기 형제라고 여겼다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임금은 종의 처지를 자신의 처지와 같은 것으로 여겨 그 빚을 탕감해 주었습니다. 


 

그리고 다음 용서 받은 종이 자신에게 또 빚을 진 친구에게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등장합니다. 여기 빚진 친구는 정말 '자기 형제'입니다. 그런데 그는 용서하지 않고 그에게 빚을 받기 위해 모진 일을 서슴지 않습니다. 


 

결국 이 일로 그는 자신의 형제는 물론 주변의 모든 사람에게 신뢰를 잃어버립니다. 그렇게 해서 자신을 형제로 대해 준 임금의 신뢰까지 잃어버리면서 주인과 종, 그리고 심판자와 죄인의 관계로 돌아가게 됩니다. 


 

회개하지 않으면 우리가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시는 예수님의 말씀은 뉘우침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을 말하고 있습니다. 곧 참회의 눈물이 아닌 한계 없는 용서를 먼저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 이 가르침의 내용입니다. 그래서 예수님의 결론도 이와 같이 끝납니다. 


 

"너희가 저마다 자기 형제를 마음으로부터 용서하지 않으면, 하늘의 내 아버지께서도 너희에게 그와 같이 하실 것이다.”


 

고해소에서 이루어지는 용서는 하느님이 우리를 자기 형제로 여기신다는 것이고, 그래서 이 용서는 일흔일곱 번이 아니라 끝없이 이어집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 한 번의 용서 때문에 어려워하고 불편해 할 것이 아니라 도대체 하느님이 우리를 왜 용서하시는지를 생각하고 자기 형제들부터 한계 지었던 그 숫자의 고리를 허물고 선한 마음으로 그들을 대할 각오를 해야 합니다. 그 문이 곧 세상 모든 이들을 위한 사랑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하느님의 사랑을 스스로 되돌리는 어리석음은 그분의 사랑을 오히려 우리가 제한하고 스스로 막아서는 것에서부터 시작될지도 모릅니다. 그러니 마음을 풀어 문을 열어야 합니다. 우선자기 형제들에게 시작하는 오늘 하루이길 바라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 2019년 4월 2일 사순 제4주간 화요일 별지기 2019.04.02 14
70 2019년 4월 1일 사순 제4주간 월요일 별지기 2019.04.01 29
69 2019년 3월 31일 사순 제4주일 별지기 2019.03.30 17
68 2019년 3월 30일 사순 제3주간 토요일 별지기 2019.03.30 34
67 2019년 3월 29일 사순 제3주간 금요일 2 별지기 2019.03.28 24
66 2019년 3월 28일 사순 제3주간 목요일 1 별지기 2019.03.27 9
65 2019년 3월 27일 사순 제3주간 수요일 1 별지기 2019.03.27 15
» 2019년 3월 26일 사순 제3주간 화요일 1 별지기 2019.03.25 14
63 2019년 3월 25일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 1 별지기 2019.03.24 21
62 2019년 3월 24일 사순 제3주일 1 별지기 2019.03.23 12
61 2019년 3월 23일 사순 제2주간 토요일 1 별지기 2019.03.23 9
60 2019년 3월 22일 사순 제2주간 금요일 1 별지기 2019.03.22 14
59 2019년 3월 21일 사순 제2주간 목요일 1 별지기 2019.03.20 23
58 2019년 3월 20일 사순 제2주간 수요일 1 별지기 2019.03.20 16
57 2019년 3월 19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배필 성 요셉 대축일 1 별지기 2019.03.18 11
56 2019년 3월 18일 사순 제2주간 월요일 1 별지기 2019.03.18 14
55 2019년 3월 17일 사순 제2주일 1 별지기 2019.03.16 14
54 2019년 3월 16일 사순 제1주간 토요일 1 별지기 2019.03.15 13
53 2019년 3월 15일 사순 제1주간 금요일 1 별지기 2019.03.14 17
52 2019년 3월 14일 사순 제1주간 목요일 1 별지기 2019.03.13 16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