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08호 2016.11.13 
글쓴이 탁은수 베드로 

불확실한 세상, 확실한 하느님

탁은수 베드로 / 부산MBC 보도국 부장 fogtak@naver.com

  승용차의 후방카메라가 고장 났습니다. 후진을 하거나 주차할 때 여간 불편한 게 아닙니다. 아예 후방카메라 없는 차를 몰 때에는 불편함을 몰랐는데 어느새 카메라에 의존해 운전을 해온 것 같습니다. 사실 요즘은 내비게이션 없이는 초행길은 찾아가기 힘듭니다. 만일 휴대폰을 잃어버린다면, 그건 끔찍한 일입니다. 저장된 전화번호, 일정을 어떻게 기억해 낼 수 있을까요. 예전엔 가까운 이들의 전화번호 몇 개쯤은 외웠고 수첩의 메모로도 일정관리에 차질이 없었는데 말입니다. 기계에 대한 의존이 커질수록 기억력, 감각 같은 본래의 능력을 자꾸 잃어가는 것 같습니다.
‘게르트 기거렌처’라는 독일의 학자는 세상을 확실성의 세계 (예: 천문학), 확률의 세계(복권, 슬롯머신), 그리고 불확실한 세계(건강, 사업, 연애)로 분류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인생의 대부분을 불확실성의 세계에서 살고 있으며 불확실성의 세계에선 정보보다 직관이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 예를 들어 연인을 만날 때 사회관계망의 이런저런 정보를 따지는 것보다 직접 만나서 느끼는 감정과 태도가 훨씬 중요하다는 겁니다. 예기치 못한 사건사고, 갑작스러운 건강의 이상, 지진과 같은 천재지변을 어떻게 내 마음대로 제어할 수 있을까요? 어쩌면 인간은 머리카락 하나 내 마음대로 자라게 할 수 없는 불확실한 세상에 던져진 나약한 존재들인지도 모릅니다.
  세상은 지금 가상의 세계에서 소통하고 클릭 한번 잘 못하면 날아갈 디지털을 기반으로 인공지능을 만들어 냅니다. 생명의 질서를 어지럽힐 배아줄기까지 만드는 걸 보면 지금 인간은 창조질서를 벗어나 불확실의 불안을 해소할 바벨탑을 쌓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신앙인에게 확실한 건 하느님의 나라, 구원의 약속입니다. 세상은 불확실하지만 하느님은 확실합니다. 하느님의 나라를 알아 가는 방법은 하느님이 내신 것들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잠시라도 세상의 문을 닫고 스쳐가는 바람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햇볕의 따스함을 느껴보는 건 어떨까요? 꽃이 피고 잎이 지는 계절의 신비에 마음을 모으는 건요? 그렇게 하느님이 내신 것들과 소통하다 보면 하느님의 창조질서를 조금씩 깨닫고 세상의 불안에 가려졌던 나의 본래 마음을 다시 찾을 수 있지 않을까요. 하느님의 품에서 마냥 행복한 어린아이와 같은 마음 말입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394호 2016.08.07  나를 딛고 일어나라 윤철현 프란치스코 
2262호 2014.03.02  마른 강에 그물을 던지지 마라 윤미순 데레사 
2278호 2014.06.22  거리 윤미순 데레사 
2291호 2014.09.14  내민 손에 담아준 당신의 빛 윤미순 데레사 
2346호 2015.09.20  꽃 한 송이조차 윤미순 데레사 
2422호 2017.02.19  사랑을 할 수 있을까 윤미순 데레사 
2658호 2021.07.04  어머니의 믿음 윤미순 데레사 
2524호 2019.1.6  기도는 최고의 동아줄 윤경일 아오스딩 
2543호 2019.05.19  그들은 지금 어디에... 윤경일 아오스딩 
2564호 2019.10.13  공감 윤경일 아오스딩 
2579호 2020.01.12  사랑 안에 머무는 것 윤경일 아오스딩 
2593호 2020.04.19  불안할수록 그 분께 의지하며 윤경일 아오스딩 
2608호 2020.08.02  좋은 본보기 윤경일 아오스딩 
2623호 2020.11.15  바이러스보다 더 무서운 가난 윤경일 아오스딩 
2637호 2021.02.07  공존의 삶 윤경일 아오스딩 
2656호 2021.06.20  호박 같은 인생 윤경일 아오스딩 
2669호 2021.09.19  장기 숙성 와인처럼 윤경일 아오스딩 
2689호 2022. 1. 23  영적인 아스피린 윤경일 아오스딩 
2702호 2022. 4. 24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윤경일 아오스딩 
2716호 2022. 7. 31  일희일비하지 말고 윤경일 아오스딩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