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77호 2018.02.25 
글쓴이 변미정 모니카 

세상 사람들도 꿰뚫어 보고 있겠지요
 

변미정 모니카 / 초량성당, 노동사목 free6403@hanmail.net
 

  매스컴을 통해 접하는 교회 소식,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남모르게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성직자, 교우들 기사나, 언제나 가난한 이들 편에서 말씀하며 세상의 불의를 외면하지 않는 교황님 소식은 참으로 반갑기도 하고 신자로서 뿌듯한 자긍심도 느낍니다. 하지만 그렇지 못한 교회 혹은 관련 단체에서 일어난 사건, 사고 소식은 그 죄를 같이 지은 것 마냥 마음이 힘들기도 하지요.
  지난달 보도된 두 기사를 접하는 제 마음은 참으로 복잡했습니다.
  오랜 진통 끝에 KTX 해고승무원에게 짊어지워졌던‘부당이득금’이라 불린 환수금 문제가 일단락되었습니다. 천주교 서울대교구 교구장 염수정 추기경님을 포함한 종교계의 중재안을 KTX 해고승무원과 철도공사가 수용하였고, 법원이 이를 토대로 조정 결정 권고를 내렸습니다. 3년 전 감당할 수 없는 환수금 때문에 세 살 난 딸 아이를 두고 스스로 목숨을 버렸던 한 여승무원의 아픈 기억도 되살아났지만 어쨌든 해고노동자들의 삶을 벼랑 끝으로 내몰았던 임금반환 소송이 끝난 게 얼마나 반가운 기사였는지요. 그리고, 사회적 갈등 속에 중요한 중재 역할을 한 종교계가 참으로 든든하고 고마웠습니다.
  그러나 가톨릭교회에서 운영하는 병원의 노사문제에서 노조원을 상대로 교회(단체)가 제기한 손해배상청구 항소심에서 교회가 패소했다는 기사는 참담하기 그지없었습니다.‘손배, 가압류’는 2000년대 들어 노동탄압 수단으로 사용자들에 의해 악용되어 왔고, 가톨릭교회는 다른 이의 노동을 방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손배, 가압류라는 재산권을 행사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사회교리를 통해 가르쳐왔기 때문입니다. 교회 밖 노동문제와 교회 안 노동문제를 대하는 교회의 태도가 어떠한지 스스로 돌아볼 수밖에 없는 기사였습니다.
  지난 사제서품식에서 황철수 주교님 말씀이 참으로 와 닿았습니다. 신부의 본질은 오로지‘그리스도를 얼마나 잘 드러내는가’에 있고 그것을‘교우님들이 꿰뚫어 보고 있습니다.’라는 말씀은 노동사목을 하며 현장에서 노동자들을 만나고 있는 저에게는‘교회는 즉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를 얼마나 잘 드러내는가’에 있고‘그것을 세상 사람들은 꿰뚫어 봅니다.’라는 아프지만 정신이 번쩍 드는 말씀으로 전달되었기 때문입니다.
  아무리 거룩함과 그리스도의 사랑을 말할지라도 세상과 교회 내의 부당함에 대해 우리가 얼마나 그리스도를 잘 드러내고 있는가를 세상 사람들도 꿰뚫어 보고 있겠지요.

호수 제목 글쓴이
2010호 2009.09.06  노인 사목에 대해 이원우 아우구스티노 
2759호 2023. 5. 28  청소년(청년)의 해를 준비하며 이원용 신부 
2814호 2024. 5. 26  하느님 사랑의 환대와 시노드적인 경청 이원용 신부 
2639호 2021.02.21  고개 숙인 볏짚에서 밀알이 자라다. 이완기 니꼴라오 
2366호 2016.01.24  ‘쉼’의 계명 이영훈 신부 
2376호 2016.04.03  침묵의 의미와 영성생활 이영훈 신부 
2391호 2016.07.17  불공평한 땀 이영훈 신부 
2406호 2016.10.30  ‘성과’라는 새로운 질서 이영훈 신부 
2416호 2017.01.08  거짓증언이란? 이영훈 신부 
2436호 2017.05.28  어디서 시작해야 하나? 이영훈 신부 
2451호 2017.09.10  살충제와 원전, 그리고 원죄 이영훈 신부 
2486호 2018.04.29  노동의 가치 기준 이영훈 신부 
2508호 2018.09.30  ‘천주교 부산교구 노동사목센터’ 문을 열며…. 이영훈 신부 
2525호 2019.01.13  아기 예수님, ‘자녀 잃은 부모’에게 오소서 이영훈 신부 
2584호 2020.02.16  우상을 숭배하는 그리스도인 이영훈 신부 
2626호 2020.12.06  어느 청년노동자의 꿈 이영훈 신부 
2680호 2021. 12. 05  행복을 전하는 이방인들 이영훈 신부 
2692호 2022. 2. 13  우리의 이웃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 이영훈 신부 
2734호 2022. 12. 4  아픈 세대를 위한 미안함과 위로 그리고 연대 이영훈 신부 
2751호 2023. 4. 2  “나는 한국 사람인데.” 이영훈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