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816호 2024. 6. 9 
글쓴이 우세민 윤일 요한 
작은 노력으로 지구를 구할 수 있습니다
 
 

우세민 윤일 요한
가톨릭신문 기자
 
 
   요즘 세상에 가장 안타까운 특징을 꼽으라면 ‘물질만능주의’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돈과 같은 ‘물질’은 인간 삶에 꼭 필요하다고 볼 수 있지만, 무엇이든 지나친 것은 없는 것만 못하지요.
 
   물질에 대한 집착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한 단면은 초등학교 교실에서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언제부턴가 아이들의 마음에는 어떻게 자라겠다는 ‘꿈’보다는 돈을 많이 벌고 싶다는 ‘욕심’이 앞서 있는 것 같습니다. 어떤 집에 사느냐가 친구 관계의 중요한 기준이 돼 버렸습니다. 이런 아이들의 모습은 어른들의 과욕이 투영된 결과가 아닐까 싶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인간을 창조하실 때 물질에 집착하도록 만드셨을까요? 적어도 지나친 욕심은 하느님의 뜻과는 다를 것입니다. “당신의 모습으로”(창세 1,27) 인간을 창조하신 하느님께서는 “손수 만드신 모든 것이 참 좋았다.”(창세 1,31)고 하셨습니다. 그 좋았던 창조적 조화와 균형의 상태는 아담과 하와가 하느님께서 먹지 말라고 이르신 “동산 한가운데에 있는 나무 열매”(창세 3,3)를 따먹은 사건으로 그만 깨졌습니다. ‘하느님과 같아지고 싶다.’는 그들의 과욕에서 우리는 인류의 원죄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물질에 대한 집착은 불평등 경제로 인해 가난한 사람들을 양산했습니다. 급기야 인간 중심의 물질만능주의는 이 지구를 훼손하고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인간의 과욕이 불러온 재앙입니다. 하느님께서 보시니 좋았던 상태가 아니라 창조적 조화와 균형이 깨어진 ‘하느님 뜻과 멀어진 세상’입니다.
 
   100%는 아니겠지만, 되돌릴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인 한 사람 한 사람이 물질적 욕심을 버리고, 하느님 뜻에 맞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작은 일부터 실천하면 좋겠습니다. 그런 사람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그 가치가 확산된다면, 물질만능주의가 지배하는 지금의 세상을 치유할 수 있을 거라고 확신합니다. 많은 분들은 제 이야기를 ‘황당한 몽상’ 쯤으로 치부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저는 지난해 발표된 교황 권고 「하느님을 찬미하여라」에 나오는 프란치스코 교황님 말씀을 근거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가정들의 노력은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고 있습니다. … 당장 대단히 의미 있는 결과가 나오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사회 깊숙한 곳에서 작동하는 중요한 변화의 과정을 실현하는 데에 이바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합니다.”(71항)
호수 제목 글쓴이
2816호 2024. 6. 9  작은 노력으로 지구를 구할 수 있습니다 우세민 윤일 요한 
2815호 2024. 6. 2  천국에서 별처럼 빛나게 하소서 박서현 로사리아 
2814호 2024. 5. 26  하느님 사랑의 환대와 시노드적인 경청 이원용 신부 
2813호 2024. 5. 19  인간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이영훈 신부 
2811호 2024. 5. 5  라파엘라, 교사가 되다 허수진 라파엘라 
2810호 2024. 4. 28  나를 찾아오신 때 최옥 마르타 
2809호 2024. 4. 21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제61차 성소 주일 담화(요약) 프란치스코 교황 
2808호 2024. 4. 14  “평화가 너희와 함께!” 하창식 프란치스코 
2807호 2024. 4. 7  나의 행복 리스트 한미현 에스텔 
2806호 2024. 3. 31  무덤을 허물고 일어나 탁은수 베드로 
2804호 2024. 3. 17  뿌리 찾기와 순교자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803호 2024. 3. 10  참 삶의 길 윤경일 아오스딩 
2802호 2024. 3. 3  나에게 새로운 삶을 주신 분 유효정 마리스텔라 
2801호 2024. 2. 25  일상 속 작은 실천 김도아 프란체스카 
2799호 2024. 2. 11  신비롭게 연결되어 있는 인간의 몸처럼 손주희 레지나 
2798호 2024. 2. 10  배우고, 배운 것을 버리고, 새로 배우자! 원성현 스테파노 
2796호 2024. 1. 28.  “없는 이에게 베푸는 일을 미루지 마라.”(집회 4,3) 조수선 안나 
2795호 2024. 1. 21  연중의 삶 속에서 강은희 헬레나 
2794호 2024. 1. 14  새 사제 모토 및 감사인사 file 가톨릭부산 
2793호 2024. 1. 7  일상 가운데 함께 계시는 하느님 박수현 가브리엘라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