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756호 2023. 5. 7 
글쓴이 홍성민 신부 
중독으로부터의 해방

 

 
홍성민 신부
부산가톨릭대학교 평생교육원장


 
   안녕하세요? 저는 부산가톨릭대학교에서 중독 관련으로 상담과 강의하고 있는 홍성민 신부라고 합니다. 여러분들은 중독이 뭐라고 생각하세요? 술이나, 마약, 도박이나 게임과 같은 것에 빠져나오지 못하는 걸 보통 중독이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중독은 술이나 마약과 같은 특정한 물질을 사용했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 혹은 도박이나 게임과 같은 좋지 않은 행위를 반복해서 하다 보니 생기는 문제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독은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보편적인 문제이고, 꼭 술이나 약물 같은 특정 물질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정말 많은 대상을 통해 중독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운동, 쇼핑, 일, 성형, 설탕(당), 탄수화물, 매운맛, 관계(relationship), 성(sex) 등 정말 다 말할 수 없을 만큼 많습니다. 그래서 어떤 것이 중독인지 헷갈리고, 또, 어떻게 예방하고 대처하는 게 좋을지 알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먼저 중독이라는 말이 어떤 뜻인지 생각해 보면서, 하나씩 살펴봅시다.
 
   중독은 두 가지 뜻이 있는데, 이 두 가지 뜻이 우리말로는 구분되지 않은 채 같은 말로 사용되면서 혼란이 있습니다.
   먼저 살펴볼 중독의 첫 번째 의미는 영어로 ‘poisoning’ 또는 ‘intoxication’라고 하는 것입니다. Poison은 ‘독’입니다. Poisoning이라고 하면, 우리말의 중독(中毒)과 같은 뜻입니다. 우리 말의 중독은 한자어인데, 단어의 뜻 그대로를 생각하면 독이 몸에 들어온 걸 말합니다. 요즘 해독(detoxication)이라는 뜻으로 ‘디톡스’라는 말이 유행인데, ‘해독’은 여기서 말하는 ‘중독’의 반대 뜻입니다. 식중독에 걸리거나 연탄가스에 중독이 되면 병원에서 해독치료를 받습니다. 그리고 해독이 다 되면 여기서 말하는 중독치료가 완료된 거예요.
 
   그런데 지금 우리가 이야기하고 있는 중독은 이런  뜻이 아닙니다. 앞의 중독과는 다른 뜻으로의 중독은 영어로는 addiction’이라고 하는데, 노예가 된다는 뜻입니다. addiction의 어원은 라틴어 addicere(양도하다, 굴복하다)에서 오는데, 라틴어는 고대 로마 시대 때 썼던 말입니다. 로마는 이웃 나라와 자주 전쟁하곤 했는데, 전쟁에서 진 쪽은 이긴 쪽에게 항복하고, 자기들이 가지고 있던 모든 것을 넘겨주어야 했습니다. 즉 주인이 바뀌는 것입니다. 중독자라는 뜻의 addict는 고대 로마 법정에서 잡혀서 감금된 노예나 주인에게 넘겨진 사람입니다. 노예는 자유가 없습니다. 원래 사람은 자기 뜻으로 움직이지만, 노예는 자기 뜻으로 살지 못합니다. 주인의 뜻에 따라 움직이고, 주인의 뜻에 복종해야 하는 사람입니다.
 
   여기에서 우리 친구들과 같이 한번 생각해 봤으면 하는 게 있습니다. 많은 사람이 중독에 관해 이야기하면서 술이나 약물, 도박이나 게임을 조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그것도 맞습니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어떤 행동을 할 때 내가 정말 원해서 하는 것인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많은 경우, 우리는 자신이 어떤 것을 선택할 때 뭘 원하는지, 왜 이것을 하고자 하는지 제대로 생각하지 않고 할 때가 많습니다. 중독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중독에 빠질 위험이 있는 것을 안 하는 게 아니라, 내가 진정한 주인으로 사는 겁니다. 하루하루 주어지는 수많은 선택 앞에서, 내가 정말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여러분 자신에게 물어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중독의 반대는 자유입니다. 자유롭기 위해서는 먼저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야 하겠죠? 그리고 뭘 하면 기쁘고 행복한지를 알아야 그것을 선택할 수 있을 겁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756호 2023. 5. 7  [젊은이에게 보내는 편지] 중독으로부터의 해방 홍성민 신부 
2757호 2023. 5. 14  영원한 스승이신 예수님 원성현 스테파노 
2759호 2023. 5. 28  청소년(청년)의 해를 준비하며 이원용 신부 
2760호 2023. 6. 4  삼위일체 친교의 실현 우세민 윤일 요한 
2761호 2023. 6. 11  아니 계시면서도 그득하신 노옥분 글라라 
2762호 2023. 6. 18  친교의 길 조광우 신부 
2763호 2023. 6. 25  AI는 할 수 없는 것 탁은수 베드로 
2764호 2023. 7. 2  진로 선택과 삶의 방향 잡기 file 김지영 마틸다 
2765호 2023. 7. 9  철부지들에게는 드러내 보이시니 최순덕 세실리아 
2766호 2023. 7. 16  “그동안 감사했습니다. 안녕히 가세요.” 오창석 신부 
2768호 2023. 7. 30  그리스도의 향기 강은희 헬레나 
2769호 2023. 8. 6  시간이 없다구요? 정재분 아가다 
2770호 2023. 8. 13  고문서 속, 잊힌 순교자들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771호 2023. 8. 20  작지만 중요한 각자의 역할 원성현 스테파노 
2772호 2023. 8. 27  우리를 성장시켜주는 노동 김서율 사도요한 
2773호 2023. 9. 3  연애와 결혼 file 김성숙 아멜리아 
2774호 2023. 9. 10  시련이 왜 하느님의 은총인가? 구옥순 베아따 
2775호 2023. 9. 17  사회교리학교 입문과정에 여러분들을 초대합니다. 정의평화위원회 
2776호 2023. 9. 24  형제복지원 피해자 윤경일 아오스딩 
2777호 2023. 10. 1  고산 위에서 만난 목자 박선정 헬레나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