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궁이 불을 지피며

가톨릭부산 2021.10.20 10:15 조회 수 : 20

호수 2674호 2021. 10. 24 
글쓴이 박선정 헬레나 
아궁이 불을 지피며

 
박선정 헬레나 / 남천성당 · 인문학당 달리 소장
whitenoise99@hanmail.net

 
    내가 자랐던 시골집에는 정지라 불리던 부엌과 아궁이가 있다. 그러다 보니 시골집에 갈 때면 아궁이에 불부터 지핀다. 혼자서 버텨주는 오래된 집에 대한 고마움의 표현이다. 그러나 아궁이에 불을 지피는 게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우선 성냥 하나를 켜서 마른 짚에 불을 붙인 후 아궁이 속에 넣고, 잘 마른 잔가지들을 조심스레 그 위에 얹는다. 그리고는 아궁이 속을 들여다보면서 불이 잔가지에 옮겨붙도록 조심스레 부채질을 한다. 잔가지에 불이 붙으면 그제야 나무 장작을 아주 조심스레 넣는다. 이때 장작의 무게가 잔가지의 불꽃을 꺼뜨릴 정도가 되어선 안 된다. 마치 깃털을 얹은 듯 가볍게 느껴져야만 서로 불을 나눠 갖는다. 그렇게 옮겨붙은 장작불은 아궁이 안에서 함께 춤을 추며 가마솥을 데우고 아궁이 속과 구들장을 데우고 방을 데워 온 집을 따뜻하게 만든다. 얼마 전에는 아궁이에 불을 지피려고 일부러 시골집엘 들렀다. 흙과 돌과 나무로 된 혼자 남겨진 이 낡은 집이 잦은 비에 혹시라도 힘을 잃고 주저앉아버릴까 염려되어서다. 그런데 좀처럼 불길이 살아나질 않았다. 애써 종이에 불을 붙여 잔가지를 얹으면 어느새 꺼져버리고, 잔가지에 용케 불이 붙었다 싶어 장작을 얹으면 또다시 힘없이 꺼져 버렸다. 아궁이 안을 들여다보며 부채질을 하느라 눈물 콧물이 뚝뚝 떨어지고 연기로 목이 아팠지만 포기할 수는 없다. 그렇게 한참을 아궁이와 불과 장작을 바라보며 애를 태우다 그제야 알았다. 한참 동안 온기가 없었던 아궁이 안은 더없이 차고 습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그러니 불을 제대로 지피려면 우선 아궁이 안의 차고 습한 기운부터 달래야 했던 것이다. 
 
   사람도 아궁이 같다. 따뜻함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일수록 더 어둡고 차가울 수 있다. 이때의 ‘그’는 내 이웃일 수도, 내 가족일 수도, 그리고 ‘나 자신’일 수도 있다. 이러한 그를 위해서는 한층 더 부드러운 인내의 사랑이 요구된다. 그러니, 왜 빨리 불씨가 살아나지 않느냐며 불 지피기를 금세 포기해 버려서는 안 된다. 이처럼 사랑은 나와 세상을 데우기 위해 아궁이 속을 들여다보며 눈물 콧물 흘려가며 부채질하는 낮춤이자 정성이자 노력일 것이다. 사랑이 하찮은 것처럼 무시되는 물질만능의 현대 사회에서 다시금 ‘그중에 제일은 사랑’이 되길 기도한다. “사랑은 참고 기다립니다. 사랑은 친절합니다. 사랑은 불의에 기뻐하지 않고 진실을 두고 함께 기뻐합니다.”(1코린 13,4.6)
호수 제목 글쓴이
2810호 2024. 4. 28  나를 찾아오신 때 최옥 마르타 
2809호 2024. 4. 21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제61차 성소 주일 담화(요약) 프란치스코 교황 
2808호 2024. 4. 14  “평화가 너희와 함께!” 하창식 프란치스코 
2807호 2024. 4. 7  나의 행복 리스트 한미현 에스텔 
2806호 2024. 3. 31  무덤을 허물고 일어나 탁은수 베드로 
2804호 2024. 3. 17  뿌리 찾기와 순교자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803호 2024. 3. 10  참 삶의 길 윤경일 아오스딩 
2802호 2024. 3. 3  나에게 새로운 삶을 주신 분 유효정 마리스텔라 
2801호 2024. 2. 25  일상 속 작은 실천 김도아 프란체스카 
2799호 2024. 2. 11  신비롭게 연결되어 있는 인간의 몸처럼 손주희 레지나 
2798호 2024. 2. 10  배우고, 배운 것을 버리고, 새로 배우자! 원성현 스테파노 
2796호 2024. 1. 28.  “없는 이에게 베푸는 일을 미루지 마라.”(집회 4,3) 조수선 안나 
2795호 2024. 1. 21  연중의 삶 속에서 강은희 헬레나 
2794호 2024. 1. 14  새 사제 모토 및 감사인사 file 가톨릭부산 
2793호 2024. 1. 7  일상 가운데 함께 계시는 하느님 박수현 가브리엘라 
2791호 2023. 12. 31  세상을 건강하게 하는 백신, 성가정 우세민 윤일요한 
2785호 2023. 11. 26  제39회 성서 주간 담화 (2023년 11월 26일-12월 2일) 신호철 주교 
2783호 2023. 11. 12  “깨어 있어라. 너희가 그 날과 그 시간을 모르기 때문이다.”(마태 25,13) 최재석 사도요한 
2782호 2023. 11. 5  나만의 고유한 인생길 file 임성근 판탈레온 신부 
2781호 2023. 10. 29  아버지의 이름으로 탁은수 베드로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