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244호 2013.11.17 
글쓴이 우리농 본부 

‘나 하나쯤이’ 아니라 ‘나 하나라도’

우리농 본부 051-464-8495 / woori-pusan@hanmail.net

우리는 여태 ‘경제성장’에 홀려 ‘경제논리’에 혼을 빼앗긴 채 살아왔습니다. 경제만 성장하면 ‘사람 사는 세상’이 오고 모든 꿈이 이루어질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경제가 성장할수록 사람들은 부모형제와 이웃들을 돌아볼 새도 없이 바빠졌습니다. 몇 년째 아이들 자살률이 세계에서 1위라는 무서운 소식이 들립니다. 우리가 꼭 지키고 보살펴야 할 농촌은 무너졌으며, 후손들한테 물려줄 환경은 날이 갈수록 오염되어 기름값보다 비싼 물을 돈을 주고 사 먹는 안타까운 세상으로 변했습니다. 어른들이 아무 생각도 없이 타고 다니는 승용차들이 내뿜는 매연과 하수구로 마구 흘러드는 화학 세제, 공장 매연과 폐수, 농약과 방부제에 찌든 수입 농산물로 말미암아 자라나는 아이들이 아토피와 같은 온갖 무서운 병에 걸려 신음하고 있습니다.

이 모든 문제는 아이들이 만든 문제가 아니라 어리석은 어른들이 만든 문제입니다. 아이들은 어른들이 만든 세상에서 살 수밖에 없으니까요. 우리는 여태 잘못 생각하고 잘못 살아왔습니다. 아니 지금도 잘못 살고 있습니다. 우선 잘못 살고 있는 우리 삶을 철저하게 뉘우치는 데서부터 희망을 찾아야 합니다. 출퇴근 때나 여행을 떠날 때 할 수만 있다면 승용차보다는 대중교통을, 아파트나 상가에 오르내릴 때도 육칠 층 정도는 걸어서, 화학 세제보다는 우리농 직매장에서 파는 친환경 세제를 써야 합니다. 그래야만 아이들 앞에 부끄럽지 않게 설 수 있습니다. ‘나 하나쯤’이 아니라 ‘나 하나라도’ 생각을 바로잡아 실천한다면, 그만큼 세상은 나아지지 않겠습니까?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05 2453호 2017.09.24  가장 많이 피는 꽃 우리농 본부  102
104 2457호 2017.10.22  자연에 대한 예의 우리농 본부  89
103 2462호 2017.11.26  흘러넘치는 생명 우리농 본부  109
102 2466호 2017.12.24  낮은 곳에서 높은 곳을 향하여 우리농 본부  78
101 2473호 2018.01.28  환경, 믿음의 영역 우리농 본부  64
100 2477호 2018.02.25  마지막 나무를 자른 이의 심정은 어떠했을까요? 우리농 본부  65
99 2481호 2018.03.25  만물을 위한 창조 우리농 본부  57
98 2485호 2018.04.22  우리가 가진 열쇠 우리농 본부  61
97 2490호 2018.05.27  시장과 문명 우리농 본부  42
96 2498호 2018.07.22  세상은 이미 넘쳐나는데 우리농 본부  36
95 2503호 2018.08.26  작은 희망 우리농 본부  134
94 2507호 2018.09.23  청소 시간 우리농 본부  90
93 도시를 위한 농촌의 선택  도시를 위한 농촌의 선택 우리농 본부  130
92 2494호 2018.06.24  겸손과 순명 우리농 본부  93
91 2512호 2018.10.28  논과 밭이 사라진다면 우리농 본부  157
90 1963호 2008.11.02  먹으면 죽는 비소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89
89 1964호 2008.11.09  만지면 위험한 비소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46
88 1965호 2008.11.16  약 먹을 때 돼지고기 못 먹는 이유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355
87 1966호 2008.11.23  껍질 옆에서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31
86 1968호 2008.12.07  귤은 껍질도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78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