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에 대한 예의

가톨릭부산 2017.10.18 10:32 조회 수 : 89

호수 2457호 2017.10.22 
글쓴이 우리농 본부 

자연에 대한 예의
 

우리농 본부(051-464-8495) / woori-pusan@hanmail.net
 

 “산을 손가락으로 가리키지 말아라. 그건 무례한 일이란다.”미국 인디언 아타파스칸족의 어머니가 자신의 어린 딸에게 전하는 가르침이라고 합니다. 숨을 쉬는 하나의 생명체가 아니라 수많은 생명을 너른 품에 안고 있는 산을 보고 인격체인 양 예의를 갖추라는 것은 시대에 뒤떨어진 원시적 풍습이라고 할 수만은 없습니다.‘공동의 집을 돌보는 것에 관한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회칙’이라는 말로 대변되는『찬미받으소서』의 정신도 인디언 어머니의 소박한 심정에서 그리 멀리 떨어져 있지 않습니다. 신비로운 생명의 사슬로 우리를 감싸는 자연은 분명 일시적인 방문지, 관광지가 아니라 우리의 가정입니다. 원래 창조된 상태 그대로 머물러 있는 자연에 기어코 개발의 손길을 뻗어 조작하는 것이 언제나 능사는 아닙니다. 우리는 대부분 도시에서 살아갑니다. 분명 도시의 삶은 인류 문명의 거대한 발전입니다. 도시화를 통해 인류는 과거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자연과 우주의 비밀을 조금이나마 들여다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어떤 일을 성취했다고 해서 뽐내거나 지나치게 자랑할 건 없습니다. 게리 슈나이더라는 교수는“우리는 영원히 살려는 희망을 포기할 수 있고 쓰레기와 싸우는 일을 중단할 수도 있습니다.”라고 했습니다. 결국 죽음의 신비 앞에 겸손되이 무릎 꿇어야 할 인간이라는 존재는 자연을 파괴하고 무한한 소비 문명에 기대어 결국 쓰레기로 버려질 욕망에 사로잡혀서는 안 됩니다. 물론 우리가 원시림에서 벌거벗고 사는 것이 낙원이라는 말은 결코 아닙니다. 다만 우리가 죽음을 넘어선 부활의 삶을 희망하고, 그리스도교의 창조와 구원의 신비를 믿으며 살아간다면, 자연은 우리의 가정이며, 그에 걸맞게 우리가 예의를 갖추어야 할 하느님의 선물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25 2030호 2010.01.03  2010년, 새해 결심 생명환경사목  2
224 2073호 2010.10.24  배추대란과 정부의 4대강 사업 생명환경사목  4
223 2163호 2012.06.03  밥상을 받을 자격 우리농 본부  5
222 2050호 2010.05.23  4대강 생명 평화 미사 강론 생명환경사목  6
221 2208호 2013.03.24  참 편리한 그러나 참 ‘불편한’ 우리농 본부  7
220 2155호 2012.04.08  부활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우리농본부  8
219 2240호 2013.10.20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십자가 우리농 본부  8
218 2269호 2014.04.20  가족농, 농촌의 미래 우리농 본부  8
217 2312호 2015.01.25  강 건너 불구경 우리농 본부  8
216 2116호 2011.07.31  더위가 찾아오네요 생명환경사목  9
215 2147호 2012.02.12  다시 우리밀 살리기 운동을… 우리농본부  9
214 2251호 2013.12.29  새해에는 절망을 희망으로 우리농 본부  9
213 2085호 2011.01.02  2011년, 새해 결심 생명환경사목  10
212 2092호 2011.02.13  공장식 축산과 구제역 생명환경사목  10
211 2134호 2011.11.20  석면 없는 세상을 바라며 우리농본부  10
210 2178호 2012.09.09  함께 잘 살 수 있는 지름길 우리농 본부  10
209 2214호 2013.05.05  내일이면 늦습니다 우리농 본부  10
208 2300호 2014.11.16  저당 잡힌 풍년 우리농 본부  10
207 2114호 2011.07.17  농민의 주님 생명환경사목  11
206 1974호 2009.01.04  또다시, 새해 결심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12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