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시멘트 2

가톨릭부산 2015.10.16 06:59 조회 수 : 25

호수 2016호 2009.10.09 
글쓴이 생명환경사목 

시멘트에 산업폐기물을 넣어서 만든다는 애기를 지난번에 했습니다. 정부나 시멘트 업계에서는 골치 덩어리인 국내의 산업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으니까, 그 정도는 감수해야 한다고 하지만, 사실 국내에서 발생하는 산업폐기물만 처리하는 게 아니라, 외국에서 발생한 산업 쓰레기도 돈을 받고 수입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전에는 일본의 화력발전소에서 타고 남은 석탄재를 수입해서 시멘트를 만들었는데, 그 석탄재에는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이 기준치를 훨씬 초과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런데도 연간 100만 톤이나 수입합니다. 정부나 시멘트 업계에서는 선진국에서도 시멘트를 만드는데 산업폐기물을 투입한다고 주장합니다. 맞는 애기입니다. 하지만, 외국은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이 기준치를 넘어가는 제품은 시장 출하를 금지시킨 게 벌써 20년 전 일입니다. 먼지부터 중금속, 방사성물질까지 수십 가지의 항목에 일일이 기준치를 정하고 검사를 합니다. 그러니까, 일본이나 미국산 시멘트에서는 발암물질인 전혀 나오지 않거나 극히 미량이 나오는데, 우리나라의 시멘트는 납, 카드뮴, 수은, 니켈, 같은 중금속에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이 외국의 기준치를 훨씬 초과해서 검출됩니다. 몇 년 전부터 이런 쓰레기 시멘트에 대해서 문제점과 그 대안을 제시한 한 시민이 있습니다. blog.daum.nat/cbs5012 이곳에 들어가면 쓰레기 시멘트 문제뿐 아니라 지금 정부에서 4대강에 벌이려는 시멘트 공사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상세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65 2300호 2014.11.16  저당 잡힌 풍년 우리농 본부  10
64 2302호 2014.11.30  숨어 계신 하느님, 숨어 있는 우리쌀 우리농 본부  30
63 2307호 2014.12.28  가장 오래된 직업 = 농부 우리농 본부  91
62 2312호 2015.01.25  강 건너 불구경 우리농 본부  8
61 2316호 2015.02.22  94명을 위한 6명의 노고 우리농 본부  35
60 2320호 2015.03.22  이 시대의 가난한 이, 농민 우리농 본부  23
59 2321호 2015.03.29  새벽형 인간 우리농 본부  19
58 2325호 2015.04.26  농사의 農 (농) 우리농 본부  21
57 2329호 2015.05.24  새로운 시대의 정결례 우리농 본부  30
56 2330호 2015.05.31  농업의 예외성 우리농 본부  47
55 2334호 2015.06.28  우리를 위한 선택 우리농 본부  25
54 2338호 2015.07.26  때론 잘 먹으려고 살아야 할 우리 우리농 본부  34
53 2342호 2015.08.23  인간을 품고도 넉넉한 자연 우리농 본부  16
52 2343호 2015.08.30  생명의 선교사 우리농 본부  29
51 2347호 2015.09.27  동상이몽(同床異夢) 우리농 본부  19
50 2351호 2015.10.25  생태적 빚 우리농 본부  74
49 2355호 2015.11.22  작은 것에서 출발하기 우리농 본부  107
48 2356호 2015.11.29  ‘농업(農業)’유감 우리농 본부  24
47 2361호 2015.12.27  도시를 위한 또 하나의 가능성, 농촌 우리농 본부  54
46 2366호 2016.01.24  온전한 성숙을 위한 교회의 선택 우리농 본부  43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