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 기저귀, 천 기저귀

가톨릭부산 2015.10.19 06:45 조회 수 : 66

호수 2064호 2010.08.29 
글쓴이 생명환경사목 

일회용 기저귀, 천 기저귀

한 시민단체에서 실험을 했습니다. 107명의 아기 엄마들이 참여해서 한 달은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하고 한 달은 천 기저귀를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앞으로 아기들을 위해서 어떤 기저귀를 사용할 지 선택하게 했습니다. 어떻게 되었을까요? 25명은 여전히 일회용을 선택했지만 82명은 천 기저귀를 선택했습니다. 현재 기저귀를 착용하는 아기는 매년 90만 명 정도로 추정합니다. 이중 70에서 80% 정도가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실험에 참여한 아기 엄마들의 경우에는 천 기저귀를 선택한 비율이 77%로 나왔습니다. 일단 천 기저귀를 사용해본 엄마들의 선택은 예상을 훨씬 뛰어넘었습니다.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요?

우선, 천 기저귀를 쓰면 한 달에 2회 정도 엉덩이가 짓무르는데, 일회용 기저귀를 쓰면 6회 정도 아기 엉덩이가 짓무른답니다. 일회용 기저귀가 흡수력은 뛰어나지만,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분비물이 묻은 상태에서 오랫동안 착용하다보니까 더 짓무르게 됩니다. 또 일회용 기저귀가 면보다 바람이 잘 통하지 않아서도 그렇고요. 한 해 동안 우리나라에서 판매된 일회용 기저귀가 20억8천4백만 개입니다. 다른 일회용 제품은 재활용이라도 되지만, 일회용 기저귀는 재활용도 못하고 전부 다 쓰레기로 소각되고 매립됩니다. 썩는 데 백년이 넘게 걸립니다. 정말 글자 그대로 일회용품입니다. 환경도 생각하고 아이 건강도 생각해서 천 기저귀 사용이 늘어났으면 좋겠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85 2140호 2012.01.01  식량과 무기 그리고 도시 농부 우리농본부  31
84 2040호 2010.03.14  사순, 초록 회개와 서약 - 물과 먹을거리 생명환경사목  31
83 2004호 2009.08.02  하느님, 모기는 왜 만드셨나요? 생명환경사목  31
82 1966호 2008.11.23  껍질 옆에서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31
81 2329호 2015.05.24  새로운 시대의 정결례 우리농 본부  30
80 2302호 2014.11.30  숨어 계신 하느님, 숨어 있는 우리쌀 우리농 본부  30
79 2256호 2014.01.26  먹고살기 힘들기에 친환경! 우리농 본부  30
78 2165호 2012.06.17  살림살이에 보탬이 되는 길 우리농 본부  30
77 2343호 2015.08.30  생명의 선교사 우리농 본부  29
76 2152호 2012.03.25  고향으로 돌아갈 수 없는 사람들 우리농본부  29
75 2271호 2014.05.04  “지구에 대한 책임을 가르치는 교육” 우리농 본부  28
74 2261호 2014.02.23  위생적인 것은 언제나 깨끗한 것일까? 우리농 본부  28
73 2038호 2010.02.28  엘리베이터 앞에서 생명환경사목  28
72 2048호 2010.05.09  할미꽃과 아카시아 생명환경사목  27
71 2013호 2009.09.24  쓰레기 시멘트 생명환경사목  27
70 2275호 2014.06.01  시대의 징표? 계절의 징표? 우리농 본부  26
69 2169호 2012.07.15  농민이 없는 농민 주일 우리농 본부  26
68 2104호 2011.05.08  방사능을 예방하는 게 가능할까? 생명환경사목  26
67 2334호 2015.06.28  우리를 위한 선택 우리농 본부  25
66 2292호 2014.09.21  생태적인 사랑의 계명 우리농 본부  25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