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에 대한 단상

가톨릭부산 2015.10.20 19:44 조회 수 : 17

호수 2281호 2014.07.13 
글쓴이 우리농 본부 

쌀에 대한 단상

우리농 본부 051-464-8495 / woori-pusan@hanmail.net

1978년 우리나라 쌀농사는 때아닌 냉해를 입어 생산량이 급감했습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1980년 또다시 냉해로 대흉년이 들고 말았습니다. 그렇게 수확량이 예년에 비해 30% 이상 줄어들어 우리나라의 쌀이 부족하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국제시장에서 쌀 가격이 급등하였습니다. 결국 우리나라는 3배 가까운 가격에 쌀을 수입해야 했고, 그것도 모자라 다음 해 풍년이 들어 쌀이 남아돌더라도 쌀을 추가로 수입하겠다는 조건을 달고서야 쌀을 수입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은 식량이 왜 안보나 주권이라는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된 중요한 문제인지를 잘 가르쳐줍니다. 곧 식량 주권, 식량 안보는 국민의 생존과 직결된 사항이라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올해 9월까지 전면 쌀개방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기로에 서 있습니다. 쌀 자급률이 이미 2012년에 86.1%로 추락했고, 쌀 1인당 연간소비량도 한 가마니(80kg)에도 못 미치는 69.8kg이며, 농가인구도 1997년 450만 명인 것에 비해 2012년 267만 명으로 급격히 줄어든 상황을 고려하면 아예 문호를 전면 개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미 쌀개방을 20년 유예하는 조건으로 먹든 안 먹든 상관없이 무조건 매년 수입해야 하는 물량은 2014년 40만 톤이 넘어섰습니다.

이런 암울한 지표를 들여다보고서도 누군가는 다른 산업을 발전시켜 선진국에 진입하면 농산물은 수입하더라도 우리 경제는 안정적으로 운영될 것이니 걱정 없다고도 합니다. 그러나 모든 선진국이 가입해 있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우리나라는 식량자급률이 꼴찌라는 점을 깊이 고민해야 할 것입니다. 국가는 제일 먼저 국민이 다른 나라의 도움 없이 입에 풀칠이라도 하게 해 준 뒤에 발전을 논하는 것이 상식이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65 2254호 2014.01.12  일회용품 사용과 형제의 설거지 우리농 본부  32
164 2256호 2014.01.26  먹고살기 힘들기에 친환경! 우리농 본부  30
163 2259호 2014.02.09  유기농이 아닌 우리농! 우리농 본부  121
162 2261호 2014.02.23  위생적인 것은 언제나 깨끗한 것일까? 우리농 본부  28
161 2263호 2014.03.09  우리농은 “우리 교회 각 사제관의 부엌에서부터” 우리농 본부  109
160 2265호 2014.03.23  음식물 쓰레기 유감 우리농 본부  20
159 2267호 2014.04.06  ‘가농소’를 아십니까? 우리농 본부  72
158 2269호 2014.04.20  가족농, 농촌의 미래 우리농 본부  8
157 2271호 2014.05.04  “지구에 대한 책임을 가르치는 교육” 우리농 본부  28
156 2273호 2014.05.18  음식, 사 먹는 것과 해 먹는 것 우리농 본부  21
155 2275호 2014.06.01  시대의 징표? 계절의 징표? 우리농 본부  26
154 2277호 2014.06.15  지속가능한 세상을 향한 첫걸음 우리농 본부  20
153 2279호 2014.06.29  도시의 생존 전략 우리농 본부  17
» 2281호 2014.07.13  쌀에 대한 단상 우리농 본부  17
151 2283호 2014.07.27  유기농 커피가 없는 우리농매장 우리농 본부  50
150 2285호 2014.08.10  텃밭의 여유 우리농 본부  49
149 2288호 2014.08.24  음식은 과학이 아닙니다! 우리농 본부  16
148 2290호 2014.09.07  추석, 덜 익은 과일의 잔치! 우리농 본부  164
147 2292호 2014.09.21  생태적인 사랑의 계명 우리농 본부  25
146 2294호 2014.10.05  한 뼘 더 소중한 것 우리농 본부  19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