귤은 껍질도

가톨릭부산 2015.10.13 09:24 조회 수 : 78

호수 1968호 2008.12.07 
글쓴이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이제 귤의 시대입니다. 사과도 나오고 배도 나오고 감도 있지만, 겨우내 먹기에 감귤만한 게 없습니다. 귤은 게으른 사람이 제일 좋아하는 과일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사과만 하더라도 물에 씻고 쟁반과 칼을 가져다가 껍질을 조심스레 벗겨서 포크로 찍어먹습니다. 필요한 도구가 상당하고 몇 걸음리라도 떼야 먹을 수 있죠.
하지만 귤은 아무것도 필요 없습니다. 텔레비전을 보던 자세에서 발 좀 뻗어서 비닐봉지를 잡아당겨서 먹고 껍질은 비닐봉지 근처에 대충 집어던졌다가 나중에 치우면 됩니다. 귤 먹는데는 별다른 도구가 필요 없으니 게으른 사람도 잘 먹는 과일이 귤이라고 합니다. 하여간 우리는 보통 알맹이는 먹고 귤껍질은 휙 집어던지고 맙니다. 하지만 귤껍질 말린 것을 한의학에서는 진피라고 해서 가래를 없애고 기침을 멎게 하는 약재로 사용합니다. 귤을 재배해 온 역사가 긴 만큼, 귤의 효능도 잘 알아서 의학에 이용해왔습니다. 이런 사정은 외국도 마찬가지인가 봅니다.
영국에서 최근에 밝혀진 연구결과에 따르면, 귤에 들어 있는 살배스트롤이라는 성분이 암세포를 공격해서 파괴하고 암세포의 효소작용을 억제해서 폐암이나 전립선암, 유방암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가 탁월하다고 합니다. 그런데 신기한 건, 농약을 치고 재배한 귤과 농약을 치지 않고 재배한 귤을 비교했는데, 농약을 치지 않은 귤에는 암을 예방하는 살베스트롤 성분이 들어있지만, 농약을 친 귤에는 그 성분이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역시나 신기한 것은 암을 예방하는 성분이 귤 알맹이에 들어있는 것이 아니라 귤껍질에 들어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귤먹을 때, 껍질을 전부는 못 먹겠지만, 조금만이라도 같이 먹으면 좋다고 합니다. 그리고 남은 껍질은 말렸다가 차를 끓여먹으면 됩니다. 다만 약 친 귤에는 암 예방 성분이 없다는 것을 재차 적어둡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65 2184호 2012.10.21  소농, 지구의 마지막 희망 우리농 본부  23
164 2210호 2013.04.07  아주 작은 일부터 우리농 본부  23
163 2320호 2015.03.22  이 시대의 가난한 이, 농민 우리농 본부  23
162 2356호 2015.11.29  ‘농업(農業)’유감 우리농 본부  24
161 2016호 2009.10.09  쓰레기 시멘트 2 생명환경사목  25
160 2292호 2014.09.21  생태적인 사랑의 계명 우리농 본부  25
159 2334호 2015.06.28  우리를 위한 선택 우리농 본부  25
158 2104호 2011.05.08  방사능을 예방하는 게 가능할까? 생명환경사목  26
157 2169호 2012.07.15  농민이 없는 농민 주일 우리농 본부  26
156 2275호 2014.06.01  시대의 징표? 계절의 징표? 우리농 본부  26
155 2013호 2009.09.24  쓰레기 시멘트 생명환경사목  27
154 2048호 2010.05.09  할미꽃과 아카시아 생명환경사목  27
153 2038호 2010.02.28  엘리베이터 앞에서 생명환경사목  28
152 2261호 2014.02.23  위생적인 것은 언제나 깨끗한 것일까? 우리농 본부  28
151 2271호 2014.05.04  “지구에 대한 책임을 가르치는 교육” 우리농 본부  28
150 2152호 2012.03.25  고향으로 돌아갈 수 없는 사람들 우리농본부  29
149 2343호 2015.08.30  생명의 선교사 우리농 본부  29
148 2165호 2012.06.17  살림살이에 보탬이 되는 길 우리농 본부  30
147 2256호 2014.01.26  먹고살기 힘들기에 친환경! 우리농 본부  30
146 2302호 2014.11.30  숨어 계신 하느님, 숨어 있는 우리쌀 우리농 본부  30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