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089호 2011.01.30 
글쓴이 생명환경사목 

겨울 한파, 구제역 그리고 우리농 운동

이번 겨울, 참 춥습니다. 국토의 최남단 마라도까지 온 나라가 영하권으로 내려가고, 중부 지방은 폭설과 기록적인 한파가 이어졌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지구는 점점 더워지고 있다는데, 왜 그럴까요. 사실 북극해 온도는 예년보다 10도 이상 높다고 합니다. 그런데 북극의 온도가 올라가면 북극 상공에 있어야 할 찬 공기가 도리어 위도가 낮은 남쪽으로 내려온다는군요. 겨울철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삼한사온을 밀어내고 연일 계속되는 올 겨울 한파도 결국 지구 온난화로 인한 이상 기후라는 것이 정설입니다.

겨울 한파와 함께 찾아온 구제역으로 온 나라가 또 난리입니다. 살처분된 가축만 이미 200만을 넘어섰고, 집단 매몰로 인한 지하수 오염 등 2차 피해까지 우려되는 실정입니다. 구제역의 근본적인 원인은 대규모 공장식 축산과 초국가적인 장거리 유통 등을 꼽을 수 있는데요, 이는 구제역뿐 아니라 탄소를 대량 발생시켜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 시키는 요인이기도 합니다. 결국 창조 질서를 거스르고, 뭇 생명에 대한 극단적인 착취를 통해 탐욕을 채우는 현대 세계의 생산과 유통 방식이 지구온난화, 구제역, 조류 독감, 신종플루 등으로 부메랑이 되어 돌아오고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도·농 생명공동체’를 통해 로컬푸드, 지산지소, 소농중심의 우리농 축산 등 지역에서 생산된 안전한 먹을거리를 중심으로 생명의 밥상을 차리는 우리 농촌 살리기 운동은 가족의 건강뿐 아니라 겨울 한파를 녹이고 지구를 살리는 녹색운동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 2089호 2011.01.30  겨울 한파, 구제역 그리고 우리농 운동 생명환경사목  12
164 2092호 2011.02.13  공장식 축산과 구제역 생명환경사목  10
163 2094호 2011.02.27  구제역과 ‘우리 소 키우기 운동’ 생명환경사목  131
162 2096호 2011.03.13  사순 시기와 언플러그 운동 생명환경사목  36
161 2098호 2011.03.27  나무 한 그루 생명환경사목  12
160 2100호 2011.04.10  친환경 재생용지 생명환경사목  251
159 2102호 2011.04.24  부활의 기도 생명환경사목  23
158 2104호 2011.05.08  방사능을 예방하는 게 가능할까? 생명환경사목  26
157 2106호 2011.05.22  곰국을 끓이면 생명환경사목  108
156 2108호 2011.06.05  토마토가 빨갛게 익으면 생명환경사목  157
155 2110호 2011.06.19  보리는 고개를 숙이지 않습니다 생명환경사목  145
154 2112호 2011.07.03  통밀과 백밀 생명환경사목  113
153 2114호 2011.07.17  농민의 주님 생명환경사목  11
152 2116호 2011.07.31  더위가 찾아오네요 생명환경사목  9
151 2118호 2011.08.14  냉장고 속 의약품 생명환경사목  23
150 2121호 2011.08.28  안약은 가정상비약이 아닙니다 생명환경사목  52
149 2123호 2011.09.11  도자기! 알고 씁시다. 생명환경사목  76
148 2126호 2011.09.25  위험한 헤나 생명환경사목  99
147 1963호 2008.11.02  먹으면 죽는 비소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89
146 1964호 2008.11.09  만지면 위험한 비소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46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