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농, 지구의 마지막 희망

가톨릭부산 2015.10.20 17:42 조회 수 : 23

호수 2184호 2012.10.21 
글쓴이 우리농 본부 

소농, 지구의 마지막 희망

고용인을 두지 않고 가족끼리 짓는 소규모의 농사, 또는 그러한 농민을 소농(小農)이라 합니다. 중농(中農)과 대농(大農)은 말씀드리지 않아도 알 수 있겠지요. 사람들은 가끔 이런 질문을 자주 합니다. “정부에서는 대농을 키우는 정책을 우선하는 것 같은데 왜 소농이 소중하다고 하는지요? 왜 소농을 살려야 안전한 먹을거리를 공급받을 수 있나요? 왜 유기농업은 소농이 해야 하나요? 땅을 넓히고 기계를 이용하여 한 사람이 대단위 유기농업을 하면 많은 사람이 건강한 먹을거리를 조금 더 싼 값으로 사 먹을 수 있지 않을까요?” 그럼 지금부터 궁금한 점을 하나씩 하나씩 풀어 보겠습니다.
소농은 여러 가지 농작물을 돌려가며 짓고(윤작), 같은 땅에 두 가지 이상 농작물을 섞어 짓습니다(혼작). 그렇게 하면 저절로 땅심이 살아나고 천적이 생겨 농약과 화학비료 따위를 쓰지 않아도 됩니다. 소농은 생산한 농작물의 소비가 지역 안에서 이루어지므로, 지역 경제를 살리고 식량 주권을 지킬 수 있습니다. 더구나 농작물을 운반하거나 저장하는 데 들어가는 여러 경비(석유, 인건비, 자동차 유지비, 보관비, 운송비 등)를 줄일 수 있고, 몸에 해로운 방부제 따위를 쓰지 않아도 됩니다. 그 밖에도 소농을 살려야만 하는 까닭은 수백 가지가 넘습니다. 자급자족할 수 있는 삶을 통해 사회를 안정시키고, 식량자급률을 높여 식량 안보에 버팀목이 되고, 지역마다 알맞은 토종 종자를 보존하여 종자 주권을 지켜나가고, 생물의 다양성을 연구하여 사람과 자연을 살리는 데 이바지할 수 있습니다. 소농을 살려야 사람과 자연이 살아납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 2184호 2012.10.21  소농, 지구의 마지막 희망 우리농 본부  23
164 2210호 2013.04.07  아주 작은 일부터 우리농 본부  23
163 2320호 2015.03.22  이 시대의 가난한 이, 농민 우리농 본부  23
162 2356호 2015.11.29  ‘농업(農業)’유감 우리농 본부  24
161 2016호 2009.10.09  쓰레기 시멘트 2 생명환경사목  25
160 2292호 2014.09.21  생태적인 사랑의 계명 우리농 본부  25
159 2334호 2015.06.28  우리를 위한 선택 우리농 본부  25
158 2104호 2011.05.08  방사능을 예방하는 게 가능할까? 생명환경사목  26
157 2169호 2012.07.15  농민이 없는 농민 주일 우리농 본부  26
156 2275호 2014.06.01  시대의 징표? 계절의 징표? 우리농 본부  26
155 2013호 2009.09.24  쓰레기 시멘트 생명환경사목  27
154 2048호 2010.05.09  할미꽃과 아카시아 생명환경사목  27
153 2038호 2010.02.28  엘리베이터 앞에서 생명환경사목  28
152 2261호 2014.02.23  위생적인 것은 언제나 깨끗한 것일까? 우리농 본부  28
151 2271호 2014.05.04  “지구에 대한 책임을 가르치는 교육” 우리농 본부  28
150 2152호 2012.03.25  고향으로 돌아갈 수 없는 사람들 우리농본부  29
149 2343호 2015.08.30  생명의 선교사 우리농 본부  29
148 2165호 2012.06.17  살림살이에 보탬이 되는 길 우리농 본부  30
147 2256호 2014.01.26  먹고살기 힘들기에 친환경! 우리농 본부  30
146 2302호 2014.11.30  숨어 계신 하느님, 숨어 있는 우리쌀 우리농 본부  30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