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002호 2009.07.19 
글쓴이 생명환경사목 

이번 주일은 농민주일입니다. 나무의 뿌리인 우리농촌이 건강하게 살아 있어야 나무의 꽃인 도시의 가정들과 그 가정의 열매인 우리아이들도 활짝 피어납니다. 농촌과 도시는 한 그루의 나무처럼 하나로 이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자녀들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려면 안전한 생명의 밥상을 차릴 수 있어야 하고, 생명의 밥상을 제대로 차리기 위해서는 생명농업을 하는 우리 농촌이 건강하게 살아 있어야 합니다. 오늘날 우리 농촌의 현실 앞에서 윤봉길 의사의 농민독본을 읽으며 시대를 꿰뚫어 보는 그의 놀라운 혜안과 통찰에 무릎을 칩니다.

우리나라는 농민의 나라입니다. 과거 4천여 년 동안의 역사를 돌아볼 때 어느 때에 비록 하루라도 농업을 아니하고 살아 본 적은 없었습니다. 역사의 첫머리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전혀 농민의 나라인 것은 감출 수 없는 사실입니다. 농사는 천하의 대본이라는 말은 결단코 묵은 문자가 아닙니다. 이것은 억만년을 가고 또 가도 변할 수 없는 대 진리입니다. 사람이 먹고 사는 식량품을 비롯하여 의복, 주옥의 재료는 말할 것도 없고 상업, 공업의 원료까지 하나도 농업생산에 기대지 않는 것이 없느니만큼 농민은 세상인류의 생명창고를 그 손에 잡고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돌연히 상공업의 나라로 변하여 하루아침에 농업은 그 자취를 잃어버렸다 하더라도 이 변치 못할 생명창고의 열쇠는 의연히 지구상 어느 나라의 농민이 잡고 있을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므로 농민의 세상은 무궁무진합니다. -농민독본 중에서-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 2002호 2009.07.19  농민주일과 윤봉길 의사의 '농민 독본' 생명환경사목  115
204 2004호 2009.08.02  하느님, 모기는 왜 만드셨나요? 생명환경사목  31
203 2007호 2009.08.16  천렵과 낚시 생명환경사목  33
202 2009호 2009.08.27  에너지를 절약하는 자동차 정비 생명환경사목  35
201 2011호 2009.09.11  4대강 개발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응답 생명환경사목  18
200 2013호 2009.09.24  쓰레기 시멘트 생명환경사목  27
199 2016호 2009.10.09  쓰레기 시멘트 2 생명환경사목  25
198 2018호 2009.10.22  만땅, 혹은 가득 채워주세요 생명환경사목  144
197 2020호 2009.11.05  수렵 제도 바로 알기 생명환경사목  44
196 2022호 2009.11.19  장난감 살 때는 KPS 마크를 확인하세요 생명환경사목  219
195 2024호 2009.12.03  폐휴대폰 수거 캠페인 생명환경사목  46
194 2026호 2009.12.17  예수님의 성탄과 6도의 악몽 생명환경사목  22
193 2030호 2010.01.03  2010년, 새해 결심 생명환경사목  2
192 2032호 2010.01.17  쩨쩨해 보여서 싫은 가요? 생명환경사목  45
191 2034호 2010.01.31  평화의 날 담화문과 4대강 개발 사업 생명환경사목  13
190 2036호 2010.02.14  된장, 최고의 발효식품 생명환경사목  52
189 2038호 2010.02.28  엘리베이터 앞에서 생명환경사목  28
188 2040호 2010.03.14  사순, 초록 회개와 서약 - 물과 먹을거리 생명환경사목  31
187 2042호 2010.03.28  무궁화와 버드나무 생명환경사목  99
186 2044호 2010.04.11  이스터 섬과 4대강 개발 사업 생명환경사목  12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