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61호 2017.11.19 
글쓴이 장재봉 신부 

“성경에 명시되지 않은 미사를 거행하는 것은 이단이 아니냐?”는 개신교 신자의 말에 곤혹스러웠습니다.
 

장재봉 신부 / 선교사목국장 gajbong@hanmail.net
 

  미사는 예수님의 최후 만찬에 뿌리를 둡니다. 하지만 유다교에서도 가족과 함께 하는 식탁 공동체로서의 만찬이 거행되었지요. 식사에서 가장은 빵을 들고 축복한 후에 여러 조각을 내어 둘러앉은 가족에게 건네줍니다. 식사가 끝날 무렵에는 축복의 잔을 들고 감사를 드리는 만찬 기도문을 봉독하였습니다. 이 식탁 기도는 하느님께서 당신 백성에게 행하신 위대한 모든 구원 업적에 대한 찬미와 감사의 내용입니다.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님께서 빵을 들고 축복하신 후“이는 여러분을 위하는 내 몸입니다. 여러분은 나를 기억하여 이를 행하시오.”라고 말씀하신 것과“만찬 후에”잔을 들고 축복한 다음 제자들에게 건넨 것과 매우 유사합니다. 때문에 이 모든 것이 미사의 표본이 되었습니다.(루카 22,19∼20 참조) 또한 성경에서는 초대 공동체가 거행했던 미사가 유대교의 만찬 예식과 예수님의 최후 만찬을 그대로 답습한 식탁 공동체의 형태였다는 것을 분명히 알려주는데요.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 그리고 부활을 포함한 구원 사업을 기념하기 위해서 함께 모여 성체와 성혈을 나누어 먹은 성찬례 예식을 행했다는 것이 확인됩니다.(사도 2,42. 46 참조) 가톨릭 교회는 예수님과 함께 살다가 예수님의 말씀에 근거하여 초대 공동체를 이루며 성찬례를 거행했던 제자들의 미사를 고스란히 계승하고 있는 것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 2461호 2017.11.19  “성경에 명시되지 않은 미사를 거행하는 것은 이단이 아니냐?”는 개신교 신자의 말에 곤혹스러웠습니다. 장재봉 신부  369
315 2416호 2017.01.08  사실 이번이 처음 개명이 아닙니다. 첫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아 순간적으로 앞뒤 구분 없이 무속인에게 작명을 받아서 개명을 하였지요. 마음에 들지 않는 이름을 벗어버리고 새 삶을 살아간다고 생각하니 마냥 미래가 밝고 행복할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어느 날 미신을 믿고 내 소중한 이름을 바꾼 것도 모자라 그 이름으로 성당을 다니고 일상생활을 하려 했던 제 자신이 한없이 부끄러워지더군요. 하루빨리 이 이름을 떨쳐 버려야겠단 마음에 신부님께 장재봉 신부  369
314 2263호 2014.03.09  대학생 아들이 인터넷으로 도박하였습니다. 빚이 엄청난데, 대신 갚아주어야 하는 게 맞는 건지, 아님 그냥 두어야 하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홍성민 신부  367
313 2453호 2017.09.24  반모임에 가면 부담스럽습니다. 저는 신앙심이 깊지 않아서 성경을 읽어도 아무 생각이 안 나고, 말주변이 없어서 어떻게 말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다른 반원들은 기도면 기도, 나눔이면 나눔, 유창하게 잘도 합니다. 어떻게 하면 다른 반원들처럼 반모임에서 기도나 나눔을 잘 할 수 있을까요? 권순호 신부  365
312 2451호 2017.09.10  노아는 방주에 날짐승과 들짐승을 쌍 맞추어 태웠는데, 바다의 고기 이야기는 없습니다. 어떻게 되었나요? 홍수에 다 죽었다면 다시 번성할 수 없었을 텐데… 궁금합니다. 장재봉 신부  365
311 2438호 2017.06.11  본당에서 자신의 의견만이 옳다고, 자신의 의견만을 강요하는 신부님들을 만나게 됩니다. 다른 사람들의 다양한 성향과 의견을 인정해주는 다원주의 사회에 이런 권위적인 신부님들은 많은 신자들을, 특히 젊은이들을 교회에서 멀어지게 하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360
310 2338호 2015.07.26  가끔 성경의 역사가 6,000년이라는 소리를 듣는데, 무슨 뜻인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예수님 이후 신약 2,000년, 그리고 앞서 구약 4,000년이라는 이야기인데 그러면 천지창조 이래 예수님 탄생까지 4,000년 밖에 안 된다는 것은 말이 안 되지 않습니까? 염철호 신부  354
309 2449호 2017.08.27  마리아와 마르타 이야기(루카 10, 38∼42)에서 말씀만 듣는 마리아가 열심히 시중드는 마르타보다 더 좋은 몫을 택했다는 예수님 말씀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염철호 신부  347
308 2380호 2016.05.01  성사를 볼 때마다 찝찝한 의무감에 성사를 봅니다. 저 자신이 완벽한 것은 분명히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회개’해야 할 만큼 큰 죄가 있다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이런 제가 교만하다고 느껴지지만, 회개해야 한다면 저 자신의 어떤 점을 뉘우쳐야 하는지 솔직히 모르겠습니다. 홍성민 신부  347
307 2391호 2016.07.17  미사참례 중에 다리를 포개고 앉아 있는 교우를 흔히 봅니다. 어른 앞에서도 그러지 않는데, 하물며 하느님의 제사에 참례하면서 어떻게 그럴 수가 있는지… 꾸짖어 주고 싶습니다. 장재봉 신부  342
306 2232호 2013.09.01  세례 대부님과는 연락이 없습니다. 견진 대부님을 새로 정하라는데, 그 의미를 모르겠습니다. 장재봉 신부  339
305 2411호 2016.12.04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불의도 죄라고 했습니다. 먼저 상대편에게 용서를 구한 후에 하느님께 사함을 청하는 것이 순서라고 봅니다. 성사로 모든 잘못이 없어집니까? 그리고 그런 사람도 안고 가야 합니까? 장재봉 신부  338
304 2364호 2016.01.10  성경을 읽다보면 ‘아멘’이라는 말이 종종 나오는데, 무슨 뜻인가요? 염철호 신부  337
303 2393호 2016.07.31  천주교는 세례를 받기 위해 최소한 6개월 이상 교리를 받아야 합니다. 다른 일로 바쁜 현대인들에게 부담스러운 일입니다. 개신교처럼 천주교도 입교의 문턱을 낮추어 짧은 기간의 교육으로 세례를 받게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333
302 2403호 2016.10.09  저는 가톨릭 집안에서 자란 서른살 청년입니다. 어릴 때부터 부모님은 계속 신앙을 강요하시만 저의 자유에 대한 구속이라는 생각이 들어 성당에 더 가고 싶지 않습니다. 왜 저의 자유를 구속하며 신앙생활을 계속 해야 하는가요? 권순호 신부  332
301 2354호 2015.11.15  사도신경에“죄의 용서와 육신의 부활을 믿으며”라는 구절이 있는데 육신의 부활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데 왜 육신의 부활이라고 표현하였는지 궁금합니다. 차라리 영혼의 부활이라고 하는 것이 맞지 않나요? 장재봉 신부  329
300 2332호 2015.06.14  창세기 1장 27절의 말씀에서는 하느님께서 우리를 당신 모상으로 창조하셨다고 말하는데, 창세기 2장 7절의 말씀은 사람을 흙의 먼지로 빚어진 존재라고 말합니다. 사람은 처음부터 하느님 모습을 닮은 귀하고 선한 존재인가요? 아니면 흙의 먼지로 만들어진 비천한 존재인가요? 염철호 신부  325
299 2508호 2018.09.30  하느님의 아들들과 사람의 딸들이 사이에서 태어난 나필족(창세 6,4)이 하늘에서 떨어진 타락한 천사들이라는데, 정말인가요? 염철호 신부  324
298 2478호 2018.03.04  죄가 있는 상태에서 성체를 모시면, 모령성체라는 말을 듣고 불안해서 인터넷을 찾아보니, 성체를 모독한 죄는 고해성사로도 사함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을 보고 더 불안해졌습니다. 사실 미사 전에 고해성사를 볼 시간이 없어서, 그냥 성체를 영한 적도 많기 때문에 벌 받을까 봐 두렵습니다. 홍성민 신부  318
297 2424호 2017.03.05  왜 하느님은 카인과 아벨 가운데 아벨의 제물만 굽어보시는 건가요? 하느님은 사람을 차별하는 분이신가요? 염철호 신부  316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