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34호 2017.05.14 
글쓴이 염철호 신부 

창세기에서 야곱은 어머니 레베카의 계략에 따라 형 에사우의 복을 가로챕니다. (창세 27, 1∼40 참조) 인간적 술수로 하느님의 축복을 가로챌 수 있는 것인가요?

 

염철호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jubo@catb.kr

 

  성경을 읽을 때는 항상 저자가 전하려는 메시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성경의 앞뒤 문맥을 잘 살펴야 합니다. 주님께서는 창세기 25장 23절에서 이미 레베카에게 두 아들 중 형이 동생을 섬길 것이라고 알려주십니다. 하느님께서 에사우가 아니라 야곱을 선택하셨다는 말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야곱과 에사우 이야기를 읽다보면 왜 에사우가 아니라 야곱이 선택받을 수밖에 없었는지가 잘 드러납니다. 에사우는 맏아들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하느님의 축복을 대수롭지 않게 여겼기 때문에, 맏아들로서의 권리를 빵과 불 콩죽에 팔아넘기고,(창세 25, 34 참조) 히타이트 여인과 결혼해서 이사악과 레베카에게 근심거리가 됩니다.(창세 26, 35 참조) 그런데도 이사악은 에사우를 좋아해서 그를 축복하려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하느님의 계획과 뜻을 이미 들었던 레베카는 계략을 짜서 에사우에게 주려던 축복이 야곱에게 돌아가도록 만듭니다. 이는 레베카와 야곱의 인간적 욕심의 결과가 아니라 하느님의 뜻이 이루어지게 하려는 레베카의 노력이었습니다. 사실, 우리는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가 야곱의 후손이었음을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창세기는 에사우를 사랑하던 이사악보다 야곱을 사랑하던 레베카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입니다. 레베카를 다루는 부분이 이사악보다 더 길다는 말입니다. 이렇게 보면 이 이야기는 둘째였던 야곱이 어떻게 장자권을 받게 되었는지를 설명하는 이야기이지, 부정한 계략을 써서라도 하느님의 축복을 받는 것이 좋다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76 2314호 2015.02.08  운전하면서 자꾸 욕을 하게 됩니다. 성사도 보고, 여러 번 다짐도 했었는데, 막상 운전대를 잡으면 저도 모르게 욕이 튀어나오고 화를 내며 운전하게 됩니다. 홍성민 신부  114
275 2335호 2015.07.05  저희 본당에서는‘평화 예식’시간에 신부님이 제단 아래로 내려와서 신자들과 악수를 하고, 신자들에게도 권하십니다. 물론 신자들에게 좀 더 친밀감을 느끼고 활기찬 신앙생활을 하도록 유도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만 분심이 생깁니다. 장재봉 신부  114
274 2432호 2017.04.30  하느님과 세상, 복음의 가르침과 세상의 가르침을 앞에 두고 그 가운데에서 갈등을 할 때가 참 많습니다. 신앙인으로서 복음을 더 많이 선택하고는 싶은데, 결과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홍경완 신부  114
273 2442호 2017.07.09  공동체란 말을 자주 듣습니다. 이제까지 아무 생각 없이 듣다가 문득 의문이 생겼습니다. 본당이 공동체라는 말, 억지 아닌가요? 홍경완 신부  114
272 2216호 2013.05.19  자비로운 하느님이시지만 제가 그동안 지은 죄는 용서해 주지 않을 것 같습니다. 장재봉 신부  115
271 2331호 2015.06.07  갈수록 정의보다는 불의가 더 힘을 발휘하는 세상에서 정의의 하느님이 계신다면 왜 가만히 계신 것일까 하는 의심이 점점 더 많이 듭니다. 불의가 하느님께서 계시지 않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은 아닌가요? 불의와 부조리 속에서 신앙을 지킬 힘은 점점 더 약해집니다. 홍경완 신부  115
270 2481호 2018.03.25  사순 시기에 특히 회개라는 단어를 자주 접합니다. 회개가 단순히 죄를 뉘우치는 것만은 아닌 것 같아 묻습니다. 회개의 보다 깊은 의미가 있다면 그게 무엇일까요? 홍경완 신부  115
269 1869호 2007.2.11  차례나 조상의 제사를 지내는 일이 교회법에 어긋나지 않는지요? 장재봉 신부  115
268 2330호 2015.05.31  “(…) 당신은 4일 이내에 이 메시지 20통을 가족이나 친구에게 또는 아는 사람에게 보내면, 당신은 4일 전에 놀라운 사실을 들을 것입니다. (…) 귀찮더라도 이행하세요!”이런 비슷한 문자를 신앙심이 깊다는 사람도 자꾸 보내와 이젠 내가 틀렸나 하는 의구심도 듭니다. 장재봉 신부  116
267 2245호 2013.11.24  세례 성사 때에 세례명을 정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수호성인께는 어떻게 기도해야 합니까? 장재봉 신부  117
266 2170호 2012.07.22  주일미사에 참석하지 못해서 교회에 가면 성사를 안 봐도 되나요? ‘교회의 법’일 뿐이기에 같은 하느님 믿는 개신교의 예배에 참석하면 고해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 정말 그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장재봉 신부  118
265 2511호 2018.10.21  구약성경을 읽으면 하느님의 뜻이 너무 오락가락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죄송한 표현이지만 ‘변덕쟁이’ 같습니다. 장재봉 신부  118
264 1867호 2007.01.28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장재봉 신부  118
263 2227호 2013.08.04  저는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이웃사랑의 계명을 실천하고자 본당에서 활동도 나름으로 열심히 하고, 봉사활동도 많이 하는 편입니다. 그런데 요즘 제 신앙생활에 지쳐갑니다. 일은 많이 하는데, 정작 제 삶에는 진실한 사랑이 없는 듯 느껴집니다. 진실하지 못한 제 모습에 실망하게 되고, 죄책감도 느껴져서 기쁘지가 않습니다. 홍성민 신부  119
262 2477호 2018.02.25  요나 4장 1절에서 예언자 요나는 니네베 사람들이 회개하여 하느님께서 재앙을 거두시자 매우 언짢아 화를 내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염철호 신부  119
261 2294호 2014.10.05.  어떤 신부님들은 왜 경제나 가난이나 정치 문제에 대해 발언을 하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정치, 경제 문제는 정치인이나 경제인들에게 맡기고, 교회는 그저 기도와 신앙, 십계명과 같은 종교에 관한 것만을 가르쳐야 하지 않습니까? 권순호 신부  120
260 2292호 2014.09.21  인터넷에 떠도는 반 그리스도교적인 불경한 글을 읽으며 잠시 솔깃했습니다. 그런데 충격적인 이야기의 잔상이 쉬 떨쳐지지 않습니다. 이 내면의 고통을 어떻게 잠재울까요? 장재봉 신부  121
259 2414호 2016.12.25  성경의 가르침과 현실 사이에서 어떻게 하는 것이 옳은 일인지 분간이 잘 가지 않습니다. 염철호 신부  121
258 2202호 2013.02.10  신부님이 부자들은 하느님 나라에 가지 못한다고 하시던데요, 정말로 그런지요? 성실하고 착한 부자들도 있는데, 부자들은 다 하늘나라에 못갑니까? 권순호 신부  122
257 2248호 2013.12.15  구약에 묘사된 하느님의 모습에 당혹감을 느끼곤 합니다. 백성들에게 심판의 벌을 내리시기도 하고, 이스라엘 민족을 위협하는 다른 민족들에게 너무나 잔인하게 대하시기도 합니다. 예수님께서 전해주신 하느님 아버지의 모습은 그렇지 않은데, 왜 구약에서의 하느님 모습은 그러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홍성민 신부  122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