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199호 2013.01.20 
글쓴이 홍성민 신부 

아들이 어릴 때는 주일학교에도 다니고 복사까지 하였는데, 대학 간 이후로는 신앙생활을 제대로 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결혼할 때는 관면혼배까지 다 시켰는데, 며느리도 신자가 아니다 보니 손자 손녀들은 유아세례도 받지 않은 상태입니다. 다 제 잘못인 것 같아서 마음이 아픕니다.

홍성민 신부(임호성당 보좌) parvus@hanmail.net

많은 부모가 자녀의 신앙문제로 마음 아파하십니다. 자녀의 냉담이 모두 부모의 탓만은 아니니까 너무 자책하지는 마셨으면 좋겠습니다. 가정에서의 신앙교육이 부족한 것도 사실이지만, 우리의 신앙생활과 교육이 너무 교회 안에서의 활동에만 치우친 것도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어린 시절, 주말마다 주일학교에 참여하였기에 그때는 신앙생활을 했다고 여길 수도 있지만, 그 활동이 전부인 경우가 많습니다. 성당이라는 공간에서 토요일과 주일을 사람들과 함께 보내지만, 하느님 앞에서 기도하는 시간은 거의 없습니다.
아이들만이 아니라 어른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신앙생활을 신앙활동으로 여기고, 열심히 그 활동에 매진하지만, 그 활동을 멈추게 되면 바로 신앙생활 전부가 사라지곤 합니다. 주일 학교 교사를 하다가, 자모회를 하다가, 사목회 간부를 맡다가, 그 맡은 직책에서 벗어나면 신앙생활에서도 벗어나 버립니다.
자녀에게 다시 성당 가라고 권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신앙생활이 나에게 가져다주는 기쁨과 위로, 삶의 희망이 무엇인지 부모님이 먼저 스스로 돌아보시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진정 신앙이 나에게 위로가 되었고, 힘이 되었다면 바로 그것을 자녀들에게 알려주시고,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 2199호 2013.01.20  아들이 어릴 때는 주일학교에도 다니고 복사까지 하였는데, 대학 간 이후로는 신앙생활을 제대로 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결혼할 때는 관면혼배까지 다 시켰는데, 며느리도 신자가 아니다 보니 손자 손녀들은 유아세례도 받지 않은 상태입니다. 다 제 잘못인 것 같아서 마음이 아픕니다. 홍성민 신부  201
135 2236호 2013.09.22  성체를 모시면서 제가 깨끗하지 못한 것 같아 죄스럽고, 이게 모령성체면 어쩌나 하는 생각에 불안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매번 같은 내용으로 고해성사를 보는 것도 부담됩니다. 홍성민 신부  202
134 2301호 2014.11.23  그러지 말자고 하면서도 하느님의 존재를 자꾸 의심하게 됩니다. 의심하는 것이 죄라는 생각이 들어 괴롭기까지 합니다. 하느님을 의심하는 것이 정말 죄가 되나요? 홍경완 신부  202
133 2460호 2017.11.12  제가 아는 8살 아이가 불치의 병에 걸려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 어린아이가 무슨 죄가 있어 이런 고통을 겪어야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홍성민 신부  202
132 2499호 2018.07.29  미사나 기도할 때 손을 꼭 모아야 하나요? 홍경완 신부  202
131 2359호 2015.12.20  하느님께 기도를 어떻게 올려야 하는지... 예비신자이니, 쉬운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장재봉 신부  203
130 2448호 2017.08.20  천주교 신부님들의 신앙심은 잘 모르겠지만, 애국심에 있어서는 다른 종교 지도자들보다 못하는 것 같습니다. 국가와 민족이 있어야, 신앙도 있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한국 사람으로서 자긍심이 없이 어떻게 신앙인으로도 살아갈 수 있겠습니까? 권순호 신부  204
129 2348호 2015.10.04  세상에는 나쁜 사람이 성공하고 착한 사람들이 고통을 겪는 일들이 많은데, 하느님께서는 왜 그냥 내버려두시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하느님을 믿고 살면 구원을 받는다고 하지만, 죽은 후에 삶만이 아니라 살아있는 동안에는 하느님의 힘에 의지할 수 없는 건가요? 홍성민 신부  207
128 2435호 2017.05.21  화를 내고 싶지 않은데, 자꾸 화가 납니다. 운전할 때, TV를 보다 마음에 안 드는 정치인이 나왔을 때, 제가 생각해도 지나치다 싶을 만큼 화가 납니다. 가끔은 제가 놀랄 정도의 말이나 행동을 합니다. 그리고 화를 내고 나면 마음이 불편해집니다. 홍성민 신부  209
127 2340호 2015.08.09  스마트 폰으로 성경을 읽다가 성경책을 안 가지고 다니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을 당했습니다. 너무 당황하여 난생 그렇게 얼굴 붉어지기는 처음이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성경을 읽는 것이 잘못입니까? 장재봉 신부  210
126 2165호 2012.06.17  요즘 들어 부쩍 가족들이나 친구들에게 짜증을 냅니다. 별것 아닌 일에 화를 내게 되고, 또 그렇게 화를 내고 나면 저 자신이 싫어집니다. 참으려고 노력도 하고, 또 결심도 해 보지만, 다시 그렇게 하는 제 모습에 화가 납니다. 홍성민 신부  211
125 2315호 2015.02.15  엠티에서 남녀가 함께 하는 게임벌칙이 무척 민망했습니다. 벌칙에 반대하니까 별나게 군다며 친구들이 아우성을 쳐서 난감했습니다. 속 좁고, 구식으로 보이기가 싫었지만 그런 벌칙에 응하는 것은 신앙인의 태도가 아니라서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말세의 징조 같았습니다. 장재봉 신부  211
124 2172호 2012.08.05  성경에 보면 보지 않고 믿는 사람은 행복하다고 예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그런데 성당에 오면 십자가나 성물에 예수님의 모습이 새겨져 있는데, 왜 예수님의 말씀과 달리 성당에서는 사람들에게 보여주면서 믿게 하려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권순호 신부  212
123 2322호 2015.04.05  미사 전에 기도하려고 일찍 성당에 가면 시끄럽게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을 보면 마음 속에 화가 치밀어 올라 미사 내내 분심이 듭니다. 식구들이나 다른 사람들이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는 등 공중도덕을 지키지 않는 모습을 봐도 화가 납니다. 그런데 주위 사람들은 저의 이런 모습을 갑갑해 합니다. 제가 잘못된 걸까요? 권순호 신부  212
122 2440호 2017.06.25  이해할 수 없는 이유로 나를 비난한 사람 때문에 마음이 너무나 괴롭습니다. 제가 잘못한 것도 없고, 상처를 준 것도 없는데 저한테 왜 그랬을까요? 그렇다면 저는 어떻게 해야 이 마음이 풀릴까요? 홍성민 신부  213
121 2363호 2016.01.03  하루 중 문득 문득 나쁜 생각이 납니다. 그리고 어떨 때는 그 생각이 하루를 지배할 때도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이런 생각들을 떠오르지 않게 할 수 있겠습니까? 권순호 신부  215
120 2410호 2016.11.27  성경에 나오는 부정직한 집사에 대한 비유는 요즘 우리 사회를 혼란으로 빠트린 사건과 비슷해 보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은, 주인이 그 불의한 종을 오히려 칭찬했다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이런 비유를 드신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홍성민 신부  215
119 2517호 2018.12.2  왜 미사예물을 따로 바쳐야 하나요? 장재봉 신부  215
118 2473호 2018.01.28  왜 성당에서는 침묵해야 하나요? 임성근 신부  217
117 2374호 2016.03.20  약은 집사 이야기(루카 16, 1~8)에서 주인의 재물을 마음대로 탕감해준 집사를 주인이 도리어 칭찬하는 모습이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염철호 신부  221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