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312호 2015.01.25 
글쓴이 권순호 신부 

성령 묵상회에 갔다 왔는데 성령을 받으면 어떨 땐 악마가 보인다고 하는데 저에게 악마가 보일까 무섭습니다. 그리고 간혹 잘못될 경우, 성령이 내리기는커녕 악마에게 씌기도 한다고 하던데요. 교회에 구마경이라는 것이 있다던데 필요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나요?

권순호 신부 / 주례성당 주임 albkw93@hotmail.com

교회 전통 안에는 구마 의식이 있습니다. 지금은 없어졌지만 예전에는 사제가 되기 전에 구마품이라고 것을 받았습니다. 성경에서도 예수님은 악한 영을 쫓아내십니다. 악한 영은 당연히 존재합니다. 문제는 우리가 악령이나 악마라고 하면 괴기 영화에 나오는, 머리에 뿔 달리고 무섭게 생긴 괴물이며 사람들을 육체적으로 해를 가하고 우리가“아! 무서운 사탄이잖아! 도망가야지.”라고 바로 알 수 있다고 생각하는 데 있습니다. 대부분의 악마는 그렇게 허술하지 않습니다. 예수님께서 세례를 받고 광야에 가셔서 악마의 유혹을 받으십니다. 하지만 복음서는 악한 영이 어떻게 생겼는지 묘사하지 않고, 오로지 어떻게 접근하는 지만을 알려줍니다. 악마는 성경을 인용하며 예수님을 합리적으로 유혹합니다. 이처럼 악마는 우리와 가장 친숙한 모습으로, 친숙한 방법으로, 친숙한 목소리로, 친숙한 논리로 다가옵니다. 친구의 목소리로, 가족의 목소리로, 나 자신의 목소리로, 나의 생각으로 다가옵니다. 후에 베드로가 예수님의 십자가 길을 막자 예수님은 베드로에게“사탄아! 물러가라.”고 꾸짖습니다. 예수님은 악마가 첫째 제자 베드로의 목소리로 친근하게 다가오는 것을 아셨던 것입니다. 우리가 일상 속에서 행동이나 생각으로 죄를 짓는다면 이미 우리는 악령과 친하게 지내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의 모든 삶이 악한 영을 물리치고 성령을 받아들여야 하는 영적인 투쟁입니다. 어쩌면 우리의 모든 기도가 구마경인 것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16 2375호 2016.03.27  삼위일체 교리가 이해하기 너무나 어렵습니다. 머리로 알아듣는 교리가 아니라 마음으로 믿는 교리라고 배웠지만, 그래도 어떻게든 알아듣고 싶습니다. 홍성민 신부  165
215 2374호 2016.03.20  약은 집사 이야기(루카 16, 1~8)에서 주인의 재물을 마음대로 탕감해준 집사를 주인이 도리어 칭찬하는 모습이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염철호 신부  221
214 2373호 2016.03.13  매월 한 번 봉사 활동을 하러 근처 요양병원에 갑니다. 하지만, 노인들을 위해 봉사할 때 마음속에 우러나오는 사랑의 감정이 없습니다. 그렇다고 저의 본 모습을 숨기고, 가식적으로 그들을 위하는 척할 수도 없고, 그럴 바엔 봉사를 그만두는 것이 낫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416
213 2372호 2016.03.06  가족들끼리 함께 하는 시간이 줄면서 대화도 점점 없어져 하숙집이 되어버렸습니다. 단란한 가족은 환상일 뿐인가요? 홍경완 신부  173
212 2371호 2016.02.28  전대사를 받을 때마다 고해성사를 새로 봐야 하나요? 장재봉 신부  564
211 2370호 2016.02.21  성찬의 예식에서“스스로 원하신 수난이 다가오자”라는 사제의 기도가 머리에서 계속 맴돕니다. 십자가의 고통과 죽음을 스스로 원하셨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을 보면서,‘하느님께서는 왜 이들을 도와주지 않으실까?’라는 의문이 들곤 하였는데,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이 그러셨듯이 우리도 고통을 스스로 원해서 겪기를 바라시는 것입니까? 홍성민 신부  246
210 2369호 2016.02.14  성경을 읽다 보면‘할렐루야’라는 표현이 종종 나옵니다. 전례 때도 자주 사용되던데, 어느 나라 말이며, 무슨 뜻인가요? 염철호 신부  274
209 2368호 2016.02.07  저는 오랫동안 레지오 단장 등 여러 단체의 간부를 맡아 왔습니다. 지금은 본당 사목회 임원으로 활동합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 제 자신을 살펴보니 성당 일을 하기엔 정말 형편없는 죄인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되겠습니까? 권순호 신부  269
208 2367호 2016.01.31  청소년기에 접어든 자녀들과의 관계가 서먹서먹해져서 힘이 듭니다. 대화상대자가 되는 좋은 부모이고 싶은데 그 길을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229
207 2366호 2016.01.24  하느님은 사랑이라고 하셨는데 천주교 신자들은 너무 쌀쌀맞습니다. 신심단체도 권위적이고 계급사회 같아 상처를 많이 받았습니다. 장재봉 신부  387
206 2365호 2016.01.17  짜증이 너무나 많이 납니다. 자연히 술, 담배도 늘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짜증이 없어질까요? 홍성민 신부  126
205 2364호 2016.01.10  성경을 읽다보면 ‘아멘’이라는 말이 종종 나오는데, 무슨 뜻인가요? 염철호 신부  337
204 2363호 2016.01.03  하루 중 문득 문득 나쁜 생각이 납니다. 그리고 어떨 때는 그 생각이 하루를 지배할 때도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이런 생각들을 떠오르지 않게 할 수 있겠습니까? 권순호 신부  215
203 2361호 2015.12.27  본당에서 여러 가지 활동을 하는데, 힘들다는 생각이 자꾸 듭니다. 좀 지친 것 같습니다. 활동을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될까요? 홍경완 신부  199
202 2359호 2015.12.20  하느님께 기도를 어떻게 올려야 하는지... 예비신자이니, 쉬운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장재봉 신부  203
201 2358호 2015.12.13  마음이 불안해서 견디기가 힘듭니다. 머리로는 불안해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마음은 여전히 불안해서 잠도 잘 자지 못하고, 해야 하는 일에도 집중하지 못합니다. 이런 불안함을 어떻게 해야 없앨 수 있을까요? 홍성민 신부  273
200 2357호 2015.12.06  창세 2, 2은“하느님께서는 하시던 일을 이렛날에 다 이루셨다.”라고 말하는데, 하느님께서 6일 동안 창조하시고 이렛날은 쉬지 않으셨나요? 염철호 신부  190
199 2356호 2015.11.29  결혼하려고 생각하는 여자가 있습니다. 그런데 그녀에게 생명에 위험한 것은 아니지만 유전적인 장애가 있습니다. 2세를 생각하여 그녀와 결혼을 하지 말라고 부모님은 말씀하십니다. 어쩌면 좋겠습니까? 솔직히 그녀를 사랑하지만, 부모님 말씀에 망설여집니다. 권순호 신부  223
198 2355호 2015.11.22  ‘깨어있으라’라는 복음 말씀을 자주 듣습니다. 그럴 때마다 어디에, 어떻게 깨어있어야 하는지 스스로 물어보지만 답을 찾기 쉽지 않습니다. 홍경완 신부  180
197 2354호 2015.11.15  사도신경에“죄의 용서와 육신의 부활을 믿으며”라는 구절이 있는데 육신의 부활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데 왜 육신의 부활이라고 표현하였는지 궁금합니다. 차라리 영혼의 부활이라고 하는 것이 맞지 않나요? 장재봉 신부  330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