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262호 2014.03.02 
글쓴이 권순호 신부 

개신교에서 천주교로 개종한 신자입니다. 개신교에서는 제사를 우상숭배로 금지하는 데 천주교에서 아닌 것 같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요?

권순호 신부 / 주례성당 주임 albkw93@hotmail.com

우스갯소리로 조상 제사 때문에 며느리는 개신교를 좋아하고 시어머니는 천주교를 좋아한다고 합니다. 한국 천주교 역사를 보면 조선 말기 한국에 천주교가 들어 왔을 때 천주교도 개신교와 마찬가지로 조상 제사를 우상 숭배로 여겨 금지하였습니다. 당시 우리나라는 조상 제사를 중시하는 유교 사회였기에 조상 제사를 거부한 많은 신자들이 박해를 받아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교회는 조상 제사를 조상 숭배가 아니라 조상 공경으로 받아들여 허락합니다. 그리고 지금은 미신적이고 우상 숭배적인 요소를 배제한 교회가 권장하는 방식의 조상 제사를 지내기를 가르치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개신교와 달리 천주교가 조상 제사를 허락할 수 있는 이유는 보다 근본적인 교리의 차이에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성인들의 통공입니다. 성인들의 통공은 우리 그리스도인들 즉 지상 교회는 이미 죽음을 맞이한 신앙의 선조들인 성인 성녀들과 다른 죽은 영혼들, 즉 천상 교회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죽은 이들에게 기도도 청할 수 있고 그들을 위해 기도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죽은 이들과 신앙 안에 통교할 수 있다고 믿는 천주교 신자들은 조상 제사를 조상들에게 감사하고 그들을 위해 기도하는 좋은 미풍양속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성인들의 통공을 믿지 않고, 장례식에서도 죽은 이들을 위해 기도하지 않는 개신교 신자들은 조상 제사를 받아들일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런데 가장 완전한 제사는 바로 미사이기 때문에 교회는 조상 제사보다 미사를 통해 죽은 이들을 기억하기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56 2278호 2014.06.22  개신교에서 천주교로 개종한 신자인데요. 천주교에서 성모 마리아에 대한 신심을 너무나 강조하는 것 같아 어떨 때는 마음이 불편합니다. 솔직히 성모 마리아에 대한 천주교의 가르침은 성경에도 거의 나오지 않는데, 후에 사람들이 지어낸 것이 아닌지 의심이 됩니다. 권순호 신부  242
255 2192호 2012.12.16  점을 보러 가면 안 된다고 하는데, 솔직히 철학관 같은 데에서는 저의 미래의 진로 또는 삶의 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명확한 해답을 즉시 얻습니다. 성당에서도 뜬구름 잡는 소리만 하지 말고 명확한 해답을 주었으면 합니다. 권순호 신부  241
254 2447호 2017.08.13  중요한 선택을 앞둔 젊은이입니다. 여러 가능성이 제 앞에 놓여 있습니다. 무엇이 그 기준이어야 할까요? 홍경완 신부  240
253 2200호 2013.01.27  개신교 복지관에서는 매일 기도 모임을 갖고 매달 전 직원이 공동예배를 드립니다. 가톨릭 신자로서 그 모임과 예배에 참석은 하지만 따로 기도합니다. 제가 직장을 잘못 선택했나요? 장재봉 신부  240
252 2154호 2012.04.01  길을 찾는 그대에게 장재봉 신부  239
251 2177호 2012.09.02  손녀가 생후 22개월째에 하늘나라로 갔습니다. 그후 매일 위령기도를 바치고 있는데, 사람들이 어린이들은 하늘나라에서 천사가 되어 있을 건데 위령기도를 바친다는 것이 좀 그렇다고 합니다. 위령기도를 계속해서 바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다른 기도를 해야 하는지요? 홍성민 신부  238
250 2423호 2017.02.26  성경에는 자신이 가진 것을 모두 버리고, 예수님을 따르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요즘 같은 시대에 예수님을 믿고 따르려 해도 돈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성당에 신축 기금을 내려고 해도, 주일 헌금을 내려고 해도 돈이 필요합니다. 돈을 무조건 나쁘게 봐야 하는 것일까요? 권순호 신부  233
249 2246호 2013.12.01  부부 사이가 금이 갔습니다. 그런데 배우자는 이것도 하느님의 뜻이니 받아들이자고 합니다. 반감이 생깁니다. 어디까지가 과연 하느님의 뜻인가요? 홍경완 신부  233
248 2394호 2016.08.07  창세기에서 야곱은 이사악을 속이고 하느님의 축복을 가로채는데, 이 이야기를 읽다 보면 에사오가 좀 측은해 보입니다. 염철호 신부  232
247 2352호 2015.11.01  하느님은 왜 선악과나무를 심어 사람이 유혹에 빠지게 하셨을까요? 아담과 하와는 왜 선악과나무 열매를 따 먹어 죄가 세상에 들어오게 했을까요? 염철호 신부  232
246 2265호 2014.03.23  십자가에 대해 묻습니다. 십자가를 두고 어떨 땐 희생이라고 하고, 어떨 땐 무거운 짐이라고도 하고, 또 어떨 땐 구원, 어떨 땐 영광이라고 합니다. 헷갈립니다. 홍경완 신부  232
245 2392호 2016.07.24  성당에 가면 늘‘기뻐하라’고 가르칩니다. 그런데 솔직히 말해서 내 삶이 그리 기쁘지도 않고, 또 그리스도인이라면 왜 기뻐해야 하는지 그 이유도 잘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231
244 2174호 2012.08.15  우리 조상의 부엌 신, 뒷방 신 등을 모시는 것과 가톨릭에서 직업의 주보 성인이나 본당 성인을 정하여 공경하는 일이 어떻게 다른가요? 장재봉 신부  230
243 2367호 2016.01.31  청소년기에 접어든 자녀들과의 관계가 서먹서먹해져서 힘이 듭니다. 대화상대자가 되는 좋은 부모이고 싶은데 그 길을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229
242 2356호 2015.11.29  결혼하려고 생각하는 여자가 있습니다. 그런데 그녀에게 생명에 위험한 것은 아니지만 유전적인 장애가 있습니다. 2세를 생각하여 그녀와 결혼을 하지 말라고 부모님은 말씀하십니다. 어쩌면 좋겠습니까? 솔직히 그녀를 사랑하지만, 부모님 말씀에 망설여집니다. 권순호 신부  223
241 2472호 2018.01.21  아이를 키우다 보면 힘들 때가 많습니다. 계속 고집을 피우거나 말을 안 들을 때는 화가 나서 손이 올라가기도 합니다. 그러고 나면 죄책감이 들 때도 있고, 내 성격이 이랬나 싶어서 자괴감이 들기도 합니다. 홍성민 신부  222
240 2374호 2016.03.20  약은 집사 이야기(루카 16, 1~8)에서 주인의 재물을 마음대로 탕감해준 집사를 주인이 도리어 칭찬하는 모습이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염철호 신부  221
239 2473호 2018.01.28  왜 성당에서는 침묵해야 하나요? 임성근 신부  217
238 2517호 2018.12.2  왜 미사예물을 따로 바쳐야 하나요? 장재봉 신부  215
237 2410호 2016.11.27  성경에 나오는 부정직한 집사에 대한 비유는 요즘 우리 사회를 혼란으로 빠트린 사건과 비슷해 보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은, 주인이 그 불의한 종을 오히려 칭찬했다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이런 비유를 드신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홍성민 신부  215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