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238호 2013.10.06 
글쓴이 홍경완 신부 

흔히 기복신앙은 잘못된 것이라고 합니다. 약하고 부족한 인간이라면 살아가면서 부족하고 아쉬운 부분을 하느님께 청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하는데, 그걸 왜 잘못되었다고 하는지 이해가 안 갑니다.

홍경완 신부(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학장) mederico@cup.ac.kr

복을 구하는 신앙이라고 해서 구복(救福)신앙, 혹은 복을 빈다고 해서 기복(祈福)신앙이라고 합니다. 복을 비는 신앙행위가 잘못이 아니라는 사실은, 성경에도 ‘복’이란 단어가 숱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지적만으로도 충분합니다. 특별히 구약에서 하느님은 무엇보다 복을 내려주시는 분으로 묘사됩니다. “주님께서는 모든 일마다 아브라함에게 복을 내려 주셨다.”(창세24, 1)와 같은 구절들이 이를 잘 말해줍니다. 이 하나만으로도 복을 비는 행위가 신앙의 중심 요소임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문제는 어떤 복을 비느냐 하는 것에 있습니다. 대부분의 기복신앙은 현실 중심적이고, 현세 구복적 신앙입니다. 당장 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에 필요한 복을 구합니다. 합격이니 승진이니 하는 것도 그렇고, 가족 중심주의적인 기원도 그 내용을 들여다보면 마찬가지입니다. 이러한 신앙의 배후에는 ‘나를 위한 하느님’이라는 사고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곧 내가 하느님을 섬기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께서 나를 위해 봉사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됩니다. 그것이 잘못된 이유입니다. 하느님이 나를 섬기게 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하느님을 섬겨야 합니다. 하느님은 모든 이의 하느님이기 때문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96 2388호 2016.06.26  자녀들이 좋은 대학과 좋은 회사에 들어가 성공하기를 기도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 내 자녀가 좋은 대학에 들어가면 다른 사람들은 못 들어가는 것인데, 그런 기도는 이기적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자녀들을 위해 어떻게 기도할지 막막합니다. 권순호 신부  314
295 2243호 2013.11.10  초등부 주일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에게 교리를 가르치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이들은 간식이 무엇이 나올까만 관심이 있지, 딱딱한 교리나 미사 참례에는 무관심한 것 같습니다. 오히려 성인이 되어서 신앙 교육을 받는 것이 낫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314
294 2409호 2016.11.20  겸손하라는 성경 말씀이 있습니다.(1베드 5, 5 참조) 어느 정도 겸손해야 하나요? 요즘은 자기 표현(PR)시대인데 교만하지만 않으면 되지 않나요? 염철호 신부  313
293 2318호 2015.03.08  개신교와 천주교의 구약성경은 왜 서로 다른 거죠? 염철호 신부  311
292 2162호 2012.05.27  자녀 결혼식 날짜를 받은 이후에는 남의 집 행사에 참석하면 ‘복을 뺏긴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장례식은 궂은 일이라 더 피해야 한다는데요. 하느님께서 주신 모든 날이 복된 날이고, 좋은 날이라 생각하면서도 자식을 아끼는 마음에서 망설여집니다. 현명한 선을 그어주세요. 장재봉 신부  307
291 2218호 2013.06.02  저는 재미로 인터넷에서 점이나 사주팔자, 오늘의 운세나 타로점을 보기도 합니다. 운수, 사주팔자 등을 재미로 그저 참고로 보는 것이 그렇게 큰 죄는 아니지요? 권순호 신부  306
290 2483호 2018.04.08  마지막 날 부활 때 헤어진 가족들을 다시 만날 수 있을까요? 부모님께서 아프실 때 해드리지 못한 것이 못내 아쉽습니다. 다시 만나면 꼭 해드리고 싶은 것이 있어요. 염철호 신부  305
289 2215호 2013.05.12  딸 아이가 사춘기라서 그런지 저랑 다투는 날이 많아집니다. 아이에게 화를 내고 나면 참지 못한 것이 후회스럽고 엄마로서 자격이 없는 것 같아 자책하게 됩니다. 하지만 일단 화가 나면 참기가 어렵고, 화가 나면 아이에게 손이 올라가기도 하고, 상처를 주는 심한 말도 하게 됩니다. 그런 일이 있고 나면 제 모습이 부끄러워 아이에게 더 다가가지 못하게 됩니다. 홍성민 신부  305
288 2382호 2016.05.15  미사와 기도를 비롯한 신앙생활도 열심히 하고, 봉사활동도 나름 부지런히 하려고 애쓰며 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사는 것이 기쁘지 않습니다. 어디에서 기쁨을 찾을 수 있을까요? 홍경완 신부  303
287 2260호 2014.02.16  원하지 않은 이혼으로 힘들었지만 신앙 안에서 위로를 받았습니다. 감사하는 마음으로 본당 활동도 열심히 했지요. 그런데 의견 차이가 생기자, 함께 봉사하던 분이 “이혼한 여자가 감히 신성한 제대 봉사를 한다”고 제 이혼 사실을 소문냈습니다. 이혼녀는 본당 활동을 못 합니까? 장재봉 신부  296
286 2491호 2018.06.03  신부님 제의에 IHS라는 글자가 무슨 뜻인가요? 임성근 신부  290
285 2431호 2017.04.23  미사 중에 바치는 신앙고백(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혹은 사도신경)은 어떤 의미의 기도인가요? 주일미사에서 신경을 뺄 수도 있습니까? 사제에게 선택의 고유 권한이 있는 겁니까? 장재봉 신부  290
284 2402호 2016.10.02  물질적인 것에도 그렇고, 자녀도 그렇고, 너무 많은 것들에 애착하며 살아갑니다. 자신을 버리라는 복음의 요청 앞에서 부끄럽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버리고 사는 게 과연 가능한지도 의문입니다. 홍경완 신부  290
283 2405호 2016.10.23  미사 시작 때마다 하는 고백의 기도도 그렇고, 훈계 같은 신부님의 강론을 들으면 제 마음에서 죄책감과 수치감이 듭니다. 요즘 TV에서 하는 강연에서는 위로나 격려의 메시지가 많은데, 성당에서는 오히려 우리 죄와 부족함을 더 강조하는 듯합니다. 홍성민 신부  289
282 2420호 2017.02.05  미사나 기도 중에 분심이 많이 듭니다. 저는 정말 집중해서 기도하고 싶은데, 자꾸만 쓸데없는 생각들이 들어서 속상합니다. 어떤 때는 죄책감마저 들어 고해성사를 본 적도 있는데, 그래도 여전히 여러 가지 분심에 늘 시달립니다. 홍성민 신부  288
281 2430호 2017.04.16  하느님의 말씀을 들으며 마음의 위로를 얻지만, 이웃을 사랑하고 보살피시라는 말씀에는 죄책감이 들기도 합니다. 저는 감정의 기복이 심하고, 상처도 쉽게 받아 다른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기 위해서는 혼자만의 시간이 많이 필요한데, 이런 제 모습이 이기적인 것 같아 죄책감이 듭니다. 홍성민 신부  282
280 2434호 2017.05.14  창세기에서 야곱은 어머니 레베카의 계략에 따라 형 에사우의 복을 가로챕니다. (창세 27, 1∼40 참조) 인간적 술수로 하느님의 축복을 가로챌 수 있는 것인가요? 염철호 신부  277
279 2279호 2014.06.29  대학생 딸이 음식을 많이 먹은 뒤, 화장실에 가서 토하곤 합니다. 밤에 혼자 엄청난 양의 음식을 먹고는 토하고, 다음날 또 그럽니다. 요즘 많이 예민해져 있어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홍성민 신부  275
278 2226호 2013.07.28  개신교에서 개종하여 얼마 전에 천주교에서 세례를 받은 신자입니다. 천주교에선 성인들, 특히 성모님에게 기도도 부탁하고 죽은 이들을 위해 미사도 드리는데, 구원을 받기 위해서 예수님과 직접 통하면 되지 않나요? 왜 굳이 성인들이 필요한가요? 권순호 신부  275
277 2463호 2017.12.03  고등학생과 중학생 자녀를 둔 부모입니다. 솔직히 자녀들을 주일학교에도 보내고 신앙 교육도 시키고 싶지만, 당장 대학입시가 더 급하다고 생각합니다. 자녀들이 좋은 대학에도 가고 좋은 직장도 얻고 삶의 안정과 여유가 있을 때, 신앙을 찾아도 되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274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